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양수업의 팀기반학습에서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팀만족도와 개인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on team satisfaction and individual academic achievement in team-based learning of general education 유경애 p. 13-43
과정 중심 대학 글쓰기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process-oriented writing course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Korean Writing> course at UNIST / 울산과학기술원의 <한국어 글쓰기> 교과를 중심으로 정윤나 p. 45-75
중학생의 동료 피드백과 글쓰기 수행의 관계 : The influ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feedback on writing activity : focused on idea generation / 내용 생성하기 단계를 중심으로 윤경훈, 김혜연 p. 77-116
서사 텍스트를 사회해석 기제로 활용하는 소통 중심 다문화 교수·학습 방안 탐색 = Exploring communication-centered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use narrative text as a mechanism for social interpretation 장현정 p. 117-154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딕토글로스 교수방법의 실제와 효과 = The practice and effect of dictogloss for teaching migrant workers' Korean writing 남현정, 김진웅 p. 155-188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과 자기주도학습 = Online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이미정 p. 191-215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표절 양상 연구 : A study on plagiarism patterns i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 focus on copy killer test results / 카피킬러 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김미선 p. 217-244
난독증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도 조사 = The percep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dyslexia 정종성, 최진오 p. 245-278
실제성 제고를 위한 모의 수업 시연 설계 시론 : A study on simulated teaching design for improving authenticity : the experience of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 예비 교사의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및 수업 실연 경험을 바탕으로 백정이 p. 279-324

「朝鮮館譯語」의 의미장 접근법으로 본 중국 사이관(회동관) 역관의 한국(조선)어 교육 방법 연구 = A study on Korean(Joseon) language education method in Chinese Sai-gwan(Hoedong-gwan) interpreter seen from the semantic field approach in 「Joseongwan-yeogeo」 이윤자 p. 325-383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학술적 오류 정정 : A critical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correction of academic errors : concentrating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Ⅱ)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by Suh Jiyoung (2005) /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Ⅱ)-‘기생조합’의 성격」을 중심으로 이정남 p. 385-422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정조 인물 재현 양상 = Aspects of the reproduction of the Jeongjo figure in video content 이재빈, 장안영 p. 423-451
허수경의 시와 산문에 내포된 고아성과 연대성 연구 = Study of orphanhood and solidarity implied in Heo Soo-Kyung's poetry and prose 박소영 p. 453-487
혼(魂)의 현상학으로 본 황동규 시의 치유적 성격 :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Hwang Dong-gyu's poetry in the phenomenology of the sou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opological poetics / 위상시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윤정 p. 489-517
대한제국 시기 학회지에 나타난 흥학 개념의 변화와 과학 담론의 영향 = Changes in the concept of Heunghak and the influence of scientific discourse in the journal of the Daehan Empire period 이정용, 문한별 p. 519-544
난민법 법률안의 비판적 담화 연구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refugee bill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bill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before and after 2018 / 2018년 전후 국회 발의 법률안 비교를 중심으로 이주희 p. 545-578
생명연장 융합기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 = Philosophical reflection on life extension fusion technology 홍병선 p. 579-596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소희(2015),허수경 시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한국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미소장
2 김순아(2014),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상상력과 언술 특징-이선영,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한어문교육 31,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205-236. 미소장
3 맹문재(2002),허수경,페미니즘과 에로티즘 문학,월인. 미소장
4 박소영(2019),허수경 시의 연대의식 연구,한국리터러시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리터러시학회,217-224. 미소장
5 방소현(2015),허수경 시 이미지 연구,고려대 석사 학위 논문. 미소장
6 방승호(2019),허수경 시의 공간 양상과 내면의식,現代文學理論硏究 77,현대문학이론학회,106-129. 미소장
7 이경수(2018),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여성문학연구 43,한국여성문학학회,37-78. 미소장
8 이유선(2016),리처드 로티,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9 이은영(2018),허수경 시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양상,여성문학연구 45,한국여성문학학회,507-535. 미소장
10 이찬(2019),몸들의 주술,산책자의 몸들,시/몸의 향연,파란. 미소장
11 이혜원(2019),허수경 시에 나타난 전쟁 표상과 생명의식,문학과 환경 18(1),문학과 환경학회,135-166. 미소장
12 최현식(2011),난쉐(Nanshe)의 귀환에 부치는 몇 가지 주석-허수경 시집<빌어먹을, 차가운 심장>론,문학동네 18(1),문학동네,1-20. 미소장
13 허수경(1988),슬픔만 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실천문학사. 미소장
14 허수경(1992),혼자 가는 먼 집,문학과지성사. 미소장
15 허수경(2001),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창비. 미소장
16 허수경(2005),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문학과지성사. 미소장
17 허수경(2011),빌어먹을,차가운 심장,문학동네. 미소장
18 허수경(2015),너 없이 걸었다,난다. 미소장
19 허수경(2016),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문학과지성사. 미소장
20 허수경(2019),가기 전에 쓰는 글들,난다. 미소장
21 Martha C. Nussbaum(1995), Poetic Justice, 박용준 역(2013), 궁리. 미소장
22 Richard Rorty(1989), Contingency, irony, solidarity, 김동식, 이유선 역(2020), 사월의책. 미소장
23 파라다이스,제6회 전숙희 문학상 수상자 허수경 시인 인터뷰&전숙희 평전 출판 소식,2016.10.13.https://blog.paradise.co.kr/57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