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 변화는 산업의 변화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교육의 영역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소셜네트워크 영역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메타버스이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의 활동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관계망이 되고 있다. 그동안 교육의 영역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블렌디드 러닝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메타버스의 출현으로 온라인 교육이 더욱 정교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아직까지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현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실시하였다. 기독교교육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중 온라인 선행 메타버스 활동-주일 오프라인 교회 설교 및 메타버스 성경공부 활동-주중 실천중심 온라인 메타버스 활동-주중 오프라인 교회, 가정 신앙 적용활동 및 메타버스 평가로 구성된 네 단계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과정은 반드시 가상현실과 실제현실을 통합한 교육과정으로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4단계의 기독교교육 교수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가상공간과 메타버스에 대한 기독교교육신학 정립, 기독교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메타버스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개발, 메타버스 운영을 위한 교사교육 및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his change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industry changes but also on our daily lives and areas of education. In particular,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network area. One of them is Metaverse. Metaverse can be defined as a virtual reality. Recently,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social network that connects real and virtual reality. Until now, blended learning, which integrates online and offline,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with the advent of Metaverse,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etaverse has not yet been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a model for designing a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using a metaverse was present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utilize Metaverse in Christian education, a four-step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weekday online Metaverse activity - Lord’s day offline sermon and Metaverse Bible study - weekday online Metaverse activity - weekday offline church, family application activity and Metaverse evaluation” can be designed. In this way, the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Metaverse must be composed of a way that integrates virtual and real world.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logical concept for virtual space and metaverse, establish a Christian metaverse platform, develop a Christian metaverse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 and produce teacher education and manuals for metaverse opera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선영.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 설계.” 「미래음악교육연구」 6(2021), 137-159. | 미소장 |
2 |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8(2021), 7-16. | 미소장 |
3 | 김대식. 『메타버스 사피엔스』. 서울: 동아시아, 2011. | 미소장 |
4 | 김상균. 『메타버스: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경기: 블랜비디자인, 2020. | 미소장 |
5 | 김상균, 신병호.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서울: 베가북스, 2021. | 미소장 |
6 | 김아현, 김용진, 김상수. “SPICE를 활용한 메타버스 세계관 별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지식경영연구」 23(2022), 61-82. | 미소장 |
7 | 김영수. “게임중독과 개신교인들의 영성생활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77(2021), 241-264. | 미소장 |
8 | 김태진, 권오병, 강주영. “메타버스와 기독교 세계관: 성경적 기업의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요인 분석.” 「신앙과 학문」 26(2021), 137-172. | 미소장 |
9 | 김형락. “기독교 메타버스(Metaverse) 공동체의 예배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76(2021), 41-66. | 미소장 |
10 | 남창우, 이민효. “대학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평생학습사회」 17(2021), 111-137. | 미소장 |
11 | 박수홍, 황영미. “초등학교 미디어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006), 361-394. | 미소장 |
12 | 박하나.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 설계와 개발.” 「시민교육연구」 52(2020), 197-227. | 미소장 |
13 | 손혜숙.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독서 교육방안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2021), 163-190. | 미소장 |
14 | 송원철, 정동훈.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 28(2021), 3-22. | 미소장 |
15 | 신현광. “교육목회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32(2012), 477-514. | 미소장 |
16 | 양성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자동화와 연결성을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59(2018), 567-597. | 미소장 |
17 | 옥장흠. “메타버스의 기독교교육적 적용방안.” 「기독교교육논총」 70(2022), 37-74. | 미소장 |
18 | 원종서, 이원석, 허상훈, 유후용. 『가상 증강현실 라이브 플래닝』. 서울: 크라운출판사, 2019. | 미소장 |
19 | 이경호.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구: 미국 미네르바 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020), 179-199. | 미소장 |
20 | 이승진. “뉴미디어 생태계가 기독교적인 의사소통 환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54(2017), 227-264. | 미소장 |
21 | 이시한. 『메타버스의 시대』. 경기: 다산북스, 2021. | 미소장 |
22 |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5(2019), 59-84. | 미소장 |
23 | 이호철. “블렌디드 러닝 기반 초등학교 체육수업 설계전략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7(2021), 1-20. | 미소장 |
24 | 임준섭. “과학주의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인간학적 고찰: 경계와 관계의 인간학.”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미소장 |
25 | 전윤경. “제주축제의 잠재적 관객개발을 위한 메타버스 축제 특성에 관한 연구.” 「제주도개발」 57(2022), 117-151. | 미소장 |
26 | 전종희. “교육중심대학인 미네르바 스쿨 사례를 토대로 한 향후 대학교육 방향 모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1), 105-128. | 미소장 |
27 | 정한호. “교회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플립드러닝에 대한 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기독교교육정보」 57(2018), 185-222. | 미소장 |
28 | 조안나, 조재범, 배준호, 이석, 최동영, 손용식.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탐구생활』. 경기: 지노, 2022. | 미소장 |
29 | 필립샤프/ 이길상 역. 『교회사전집 2』.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 미소장 |
30 | 함영주.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블록형 코딩을 활용한 기독교교육 콘텐츠 개발모형 연구.” 「신학과 실천」 74(2021), 703-734. | 미소장 |
31 | 함영주.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이해와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48(2016), 415-441. | 미소장 |
32 | 함영주. “전통과 혁신을 활용한 미래형 교회교육방법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ACTS 신학저널」 48(2021), 173-204. | 미소장 |
33 | 함영주.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성경교수실행모형 개발.” 「개혁논총」 34(2015), 241-267. | 미소장 |
34 | Bergmann, Jonathan, and Sams, Aaron. Flip Your Class: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Day. Eugene, OR: ISTE, 20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