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모바일 앱을 활용한 문장 수준의 영어학습이 산업대학 학생들에게 미치는 학습영향 = The effects of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o learn English sentences on industrial college students / 김향숙 1

[요약] 1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학습 3

2. 산업대학 학생들을 위한 영어교육 4

Ⅲ. 연구방법 7

1. 연구대상 7

2. 연구 내용 9

3.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11

Ⅳ. 분석 결과 12

1. 연구문제 1 : 모바일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학습에서 참여자들은 어떠한 학습태도를 보였는가? 12

2. 연구문제 2 : 모바일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학습에서 참여자들이 느낀 긍정적인 학습영향은 무엇인가? 16

Ⅴ. 결론 19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21). 고등교육법. Retrieved March 7, 202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www.law.go.kr/법령/고등교육법 미소장
2 권연희. (2013). 스마트 어플리케리이션을 활용한 대학생 영어 학습 사례 연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6(1), 37-65. 미소장
3 김동욱, 정대수, 장순열, 엄철주. (1999). 산업대학에서의 바람직한 영어교육과정 모형개발. 영어교육, 54(1), 253-296. 미소장
4 김은주, 성명희. (2017).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보건업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121-145. 미소장
5 김희진, 허광. (2016). 사이버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 앱을 활용한 혼합 교수⋅학습 방안 설계와 효과성 비교.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9(1), 86-113. 미소장
6 류지영, 신동준. (2014). 대학생의 교육투자에 따른 희망임금과 취업 선호도. THE HRD REVIEW, 17(2), 166-184. 미소장
7 박은영. (2018). 대학영어 수업을 위한 어휘 애플리케이션과 원격강의실 활용. 신학과세계, 93, 247-272. 미소장
8 서경희, 배문숙, 류재근, 박정숙. (1999). 산업대학에서의 효율적인 영어교육방법 개발. 영어교육, 54(1), 297-325. 미소장
9 손선영. (2018). 모바일 기반 게임 어휘 학습 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1(2), 104-133. 미소장
10 신원철. (2001). 산업대학에서의 외국어 교육의 활성화. 학생생활연구, 7, 129-137. 미소장
11 정남숙, 박태자. (2018).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 어휘학습의 효과: 퀴즈렛과 클래스카드 비교. 영상영어교육, 19(3), 149-176. 미소장
12 정숙경. (2011). 대학생들의 어학 도구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5(3), 165-185. 미소장
13 정희정. (2013). 소셜 미디어 특성이 모바일 영어학습의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영어어문교육, 19(2), 315-333. 미소장
14 조세경. (2007). 모바일 중심 외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0(3), 187-201. 미소장
15 진승희. (2018). 스마트폰 어플케리이션을 사용한 플래시카드 어휘 학습 SNS 기반 모바일 협력학습이 영어 학습자의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1(4), 298-322. 미소장
16 한국방송공사(KBS). (2011). KBS 스페셜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youtu.be/_1dITXJxkgw. 미소장
17 Yang, L. H., 전지현. (2014). 영어학습 동기저하에 관한 연구: 호텔종사자를 중심으로. 비서학논총, 23(1), 121-140. 미소장
18 Brown, H. D. (2001).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2nd ed.). New York: Longman. 미소장
19 Chinnery, G. M. (2006). Going to mall: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0(1), 9-16. 미소장
20 Jin, S. H. (2019). Mobile flashcard applic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Effects on development of vocabulary knowledge.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5(3), 41-64. 미소장
21 Lee, M. W. (2011). Beneath the “English fever” phenomen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early study-abroad undergraduates’ parents. Bilingual Research, 46, 191-214. 미소장
22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January, 11, 2022, from https:// www.oecd.org/pisa/35070367.pdf 미소장
23 Parded, P. (2019). Integrated skills approach in EFL classrooms: A literature review. Proceeding of EED Collegiate Forum, 147-159.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researchgate.net/ publication/332607443 미소장
24 Trifonova, A. (2003). Mobile learning - review of the literature. Technical Report DIT-03-009, University of Trento. Retrieved May 7, 2020, from http://eprints.biblio.unitn.it/359/1/009.pdf 미소장
25 Wilson, K. (2016). Smart choice 1(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