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비실시간 온라인 대학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성취도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synchronous online English classes on Korean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glish achievement / 이명관 1
[요약] 1
Ⅰ. 서론 1
Ⅱ. 문헌 연구 3
1. 온라인 환경에서의 영어 교수-학습 3
2. 자기주도학습능력 5
Ⅲ. 연구방법 6
1. 연구 참여자와 강좌구성 6
2. 연구 설계 7
3. 연구 도구 8
4. 자료수집 및 분석 8
Ⅳ. 결과 및 논의 9
1. 온라인 대학영어 수업이 영어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9
2. 온라인 대학영어 수업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10
3. 온라인 대학영어 수업에서 영어학습 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과의 관계 13
Ⅴ. 결론 14
참고문헌 1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Learn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focused on Korea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 Whyun Young Choi, Mun-Koo Kang, Woon Gyeom Cho | p. 1-17 |
|
보기 |
모바일 앱을 활용한 문장 수준의 영어학습이 산업대학 학생들에게 미치는 학습영향 = The effects of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o learn English sentences on industrial college students | 김향숙 | p. 19-41 |
|
보기 |
형태초점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영어회화수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focus-on-form instruction to develop online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class | 윤성규, 장형지 | p. 43-57 |
|
보기 |
비실시간 온라인 대학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synchronous online English classes on Korean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glish achievement /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성취도를 중심으로 | 이명관 | p. 59-7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2020).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Retrieved 3, 27, 2020, from the World Wide Web: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 boardSeq=80131&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73&s=moe&m=020402&opType=N | 미소장 |
2 | 구양미. (2006).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 - 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교육공학연구, 22(1), 161-193. | 미소장 |
3 |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 연구, 2(1), 1-25. | 미소장 |
4 |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이화진. (2020).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3), 25-48. | 미소장 |
5 | 김희동, 김종윤. (2021).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초기성인 학습자의 디지털정보활용능력, 사회적 지지,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33(2), 492-503. | 미소장 |
6 | 박민정. (2021). 온라인 수업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수업의 질, 학습몰입의 예 측력 탐색. 교육연구논총, 42(1), 135-162. | 미소장 |
7 | 박부남. (2021). 비대면 의사소통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 비디오 강의와 실시간 화상 강의 중심으로. 영어교육연구, 33(2), 107-129. | 미소장 |
8 | 박용효, 윤지환. (2013). 초· 중· 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인식변화의 연도별 추이 및 국가수준 영어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영어교육연구, 25(3), 279-302. | 미소장 |
9 | 박지혜. (1998). 기업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관한 연구: 조직특성과의관계를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 미소장 |
10 | 성명희, 남은희. (2021).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온라인 영어 읽기와 쓰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영어어문교육, 27(4), 35-56. | 미소장 |
11 | 유지은. (2020).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기독교교육논총, 63(9), 255-281. | 미소장 |
12 | 이동주, 김미숙.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59-377. DOI: 10. 15702/mal.2020.23.3.359. | 미소장 |
13 | 이명관. (2020). 영어 읽기∙쓰기 통합수업에서 플립러닝이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어어문교육, 26(4), 79-101. | 미소장 |
14 | 이명관. (2021). 온라인 대학 영어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와 학습유형과의 관계. 영어어문교육, 27(4), 57-77. | 미소장 |
15 | 이문복. (2010). 고등학생의 영어 성취도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5, 163-188. | 미소장 |
16 | 이보경.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DOI: 10.46392/kjge.2020.14.4.97. | 미소장 |
17 | 이중근, 김원종, 이재겸. (2020).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412-419. | 미소장 |
18 | 임종미, 김신향, 백민자, 김경화. (2021) 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습성과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만족도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9(4), 393-401. | 미소장 |
19 | 장경숙, 이의갑, 김미경. (2007). 학습자 배경변인과 국가수준 영어 학업성취도. 영어어문교육, 13(3), 253-273. | 미소장 |
20 | 정소영, 엄철주. (2021). 대학 온라인 교양영어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력, 과제가치 및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언어학, 29(3), 41-66. | 미소장 |
21 | 정향기. (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392-412. | 미소장 |
22 | 최윤정, 지난영. (2020).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 상호작용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수업 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4), 233-253. | 미소장 |
23 | 최정선, 권미경, 최은경. (2020).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D 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7(2), 247-278. | 미소장 |
24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 미소장 |
25 | Brockett, R. G., & Hiemstra, R. (1991). Self-directed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26 | Frimming, R. E., & Bordelon, T. D. (2016). Physical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distance education courses. Physical Educator, 73(2), 340-351. DOI: 10.18666/TPE-2016-V73-I2-2759 | 미소장 |
27 | Garrison, D. R. (1997). Self-directed learning: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Adult Education Quarterly, 48(1), 18-33. | 미소장 |
28 | Garrison, D. R. (2017).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29 | Grgurovic, M., Chapelle, C. A., & Shelly, M. C. (2013). A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studies on computer technology-supported language learning. ReCALL, 25(2), 165-198. | 미소장 |
30 |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 Unpub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Georgia. | 미소장 |
31 | Karkar-Esperat, T. M. (2018).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challenge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online classes.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4, 1722-1735. | 미소장 |
32 | Lawrence, G., Haque, E., King, J., & Rajabi, S. (2014). Cultural differences in online learning: International student perception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3), 177-188. | 미소장 |
33 | Long, H. B. (1992).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 or studying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H. B. Long &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pp. 9-24). Norman: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 미소장 |
34 | Morris, L. S.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nontraditional higher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Oklahoma, Norman, OK. | 미소장 |
35 |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2), 97-107. | 미소장 |
36 | Seaman, J. E., Allen, I. E., & Seaman, J. (2018). Grade increase: Tracking dista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ellesley, MA: The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 미소장 |
37 | West, R. F., & Bently, E. L. (1990).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modeling, In H. B. Long and Associates (Eds.), Advances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pp. 157-180).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 미소장 |
38 | Zimmerman, B. J. (1995).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A. Bandura (Ed.),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pp. 202-23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