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요소가 중요해지면서 메타버스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고, MZ세대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발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한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방향은 첫째, 메타버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둘째, 소통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를 장점으로 한 서비스의 제공. 셋째,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메타버스에 대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사서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 다섯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다.

As non-face-to-face elements became important due to COVID-19, the metaverse received social attention, and the MZ generation became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light of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ervices for the MZ generation,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and to provide services tailored to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metavers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then proposed a method for applying the metavers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tave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ommunity based on communication. Third, a program that is not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should be provided. Fourth, services by librarians should be provided by enhancing the librarians’ expertise on the metaverse. Fifth, services for generation M must be provid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관규칙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도서추천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association rule 임정훈, 조창제, 김종헌 p. 1-22

공공도서관 상주작가 문화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ultural program improvement for resident writers in public libraries 문수빈, 장우권 p. 23-49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장서 평가 연구 = An analysis of alternative materials collection evaluation using a National Alternative Materials Union Catalog 장보성 p. 51-67

학부모 소셜네트워크와 정보공유 의도 및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social networks,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nd satisfaction 이고은, 박지홍 p. 69-97

LDA와 BERTopic을 이용한 토픽모델링의 증강과 확장 기법 연구 = Topic model augmentation and extension method using LDA and BERTopic 김선욱, 양기덕 p. 99-132

공공도서관 SNS 마케팅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library SNS marketing : using WeChat official accounts in Chinese public libraries / 중국 공공도서관에서 위챗 공식계정을 이용하여 Cheng Shuangling, 김기영 p. 133-163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University library service improvement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노경국, 이병기 p. 195-216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MZ세대의 이용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generation MZ users’ perception of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김영주, 권선영 p. 217-240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povert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 based on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민수진, 이용정 p. 241-261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n literac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장수현, 남영준 p. 263-292

딥러닝 기반의 BERT 모델을 활용한 학술 문헌 자동분류 =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cademic articles using BERT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김인후, 김성희 p. 293-310

리뷰 정보를 활용한 이용자의 선호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Identification of user preference factor using review information 송성전, 심지영 p. 311-336

종이기록 데이터화를 위한 AI-OCR 적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OCR for data transformation of paper records 안세진, 황현호, 임진희 p. 165-193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주연, 박태연, 김건, 이정민, 오효정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1), 125-15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125 미소장
2 권선영 (2019). 가상현실(VR) 기술의 도서관서비스 적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5), 141-148. https://doi.org/10.15207/JKCS.2019.10.5.141 미소장
3 권호순, 김동규 (2020). MZ세대의 e-Book 이용에 관한 통합모델론적 접근. 한국출판학연구, 46(4), 5-38. http://dx.doi.org/10.21732/skps.2020.95.5 미소장
4 김태영, 박태연, 양동민, 오효정 (2017). 도서관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황분석 및 서비스 적용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4), 203-22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4.203 미소장
5 박수빈, 이현경 (2021). 메타버스형 가상 박물관의 사례 연구에 따른 발전 방향 제안: 개인화와 공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6(3), 19-30. https://doi.org/10.21326/ksdt.2021.26.3.002 미소장
6 서성은 (2008). 메타버스 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2(0), 15-23. 미소장
7 손정희, 김찬석, 이현선 (2021).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MZ 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77, 202-215. http://doi.org/10.25111/jcd.2021.77.14 미소장
8 우성미, 장동련 (2021).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메타버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9(2), 29-48. https://doi.org/10.18852/bdak.2021.19.2.29 미소장
9 이병권 (2021). 메타버스(Metaverse) 세계와 우리의 미래. 한국콘텐츠학회지, 19(1), 13-17. 미소장
10 이세연, 최종훈 (2021). MZ세대의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패션 쇼핑 앱의 UX 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8), 123-129. http://doi.org/10.15207/JKCS.2021.12.8.123 미소장
11 이은희, 이지연 (2011).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77-39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377 미소장
12 임태형, 양은별, 김국현, 류지헌 (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체험 프로그램 사용자 경험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 679-695.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5.679 미소장
13 전대근 (2021). MZ세대의 과시소비성향이 자기사용과 선물 상황에서 의복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한복문화, 23(4), 107-119. http://doi.org/10.16885/jktc.2020.12.23.4.107 미소장
14 전준현 (2021). 메타버스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 로블록스를 중심으로. 영상문화, 38, 257-279. http://doi.org/10.21299/jove.2021.38.10 미소장
15 최경아 (2021). 코로나19시대 보건운동생체바이오데이터 교육: MZ세대 대면실습 참여 콘텐츠 인식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8), 317-325. http://doi.org/10.15207/JKCS.2021.12.8.317 미소장
16 최희수, 김상헌 (2017). 역사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0(26), 209-226. 미소장
17 편하선, 김보연 (2021). 전통 디저트 브랜드 경험에 따른 소비자 인식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9(2), 17-28. http://doi.org/10.18852/bdak.2021.19.2.17 미소장
18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2021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19 한송이, 김태종 (2021). 메타버스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7), 1091-1099. https://doi.org/10.9728/dcs.2021.22.7.1091 미소장
20 한혜원 (2008).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9(2), 317-323. 미소장
21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2006). Metaverse Road map, Pathway to the 3D Web. 미소장
22 Sydney Morning Herald (2011). Talkin' 'bout my label. Available: https://www.smh.com.au/lifestyle/health-and-wellness/talkin-bout-my-label-20110720-1ho7s.htm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