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기업의 ‘일대일로’ 연선 국가에 대한 직접투자 전략과 구조를 더닝(Dunning)의 OLI 패러다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기업의 ‘일대일로’ 연선 국가에 대한 투자는 크게 두 가지 전략적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하나는 ‘일대일로’ 연선 국가의 자원보유 특성상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투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중국 국내경제의 문제인 과잉설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전(移轉) 투자이다. 중국기업의 이러한 ‘일대일로’ 연선 국가에 대한 투자는 더닝이 OLI 패러다임에서 제기하고 있는 투자 결정 조건, 즉 소유권 우위와 지역 특유의 우위 그리고 내부화 우위를 갖춘 가운데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이 지역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자원보유 현황 및 제도적 환경의 영향 외에 국제관계의 이해관계 구도, 종교적 갈등 문제와 문화적 이질성 그리고 이 지역 국가들의 중국기업에 대한 인식의 문제 등의 영향으로 투자국가와 투자방식 그리고 투자업종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o strategy and structure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 by Chinese Enterprises in 'one belt, one load' countries along the line from the perspective of Dunning's OLI paradigm. Chinese enterprises' investment in 'one belt, one road' countries was largely promoted for two strategic purposes. One is an investment to secure energy resources due to the nature of resource holdings in ‘one belt, one road’ countries, and the other is a transfer investment to solve the problem of surplus facilities, a problem in China's domestic economy. Chinese enterprises' investments in these ‘one belt, one road’ countries is evaluated to have been made with Dunning's investment decision conditions in the OLI paradigm, namely, Ownership specific advantages, Location specific advantages, and Internalization specific advantages. only if there is a difference, investment country, investment method, and investment industry are different due to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religious conflict and cultural heterogeneity, institutional investment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awareness of Chinese enterpris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화예술 광고 플랫폼 앱의 사용자 경험(UX) 연구 : User experience (UX) analysis of advertising platform mobile applications for culture and arts content : critical case study based on the UX honeycomb model / 허니콤 모델을 통한 비판적 사례분석 안혜진, 이승하 p. 1-18

우리사회 '부정부패'에 대한 주관성연구 : The subjectivity study on 'the corruption' of our society : using the Q methodology of hypothesis abduction / 가설발견의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도희 p. 19-28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 = Analysis of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using social media 서현정, 윤정섭 p. 29-45

실어증 환자 대상 디지털 기술 기반 언어재활에 관한 최근 문헌 고찰 : A review of recent digital technology-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phasia : focusing on VR, AR, and mobile application / VR, A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정채윤, 홍유정, 공성현, 최유진, 이교구 p. 46-63

OT제어망에서 다중 제어시스템 접근통제용 공개키 기반 운용자 인증 방안 = Public key-based operator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access control of multi-control systems in OT control network 김대휘, 조인준 p. 64-75

태양광을 이용한 자율주행 자동차의 능동적 자가 충전 및 운행 제안 = Proposal on active self charging and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 using solar energy 허현우 p. 85-94

게이머 참여 2.0 메커니즘 연구 : Study on gamer participation 2.0 : focus on gamers' communication mediation (O-S-O-R) model and gamers' communicative ecology / 게이머 커뮤니케이션 매개 O-S-O-R 모델과 게이머 커뮤니케이션 생태를 중심으로 정창원 p. 95-103

뉴노멀 시대의 공공기관 원격보안 모델 개선방안 = Improvement plan for public institution remote security model in the new-normal era 신승우, 조인준 p. 104-112

사용자의 앱특성과 개인특성이 배달앱에 대한 태도, 신뢰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a user's app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rust, and reuse intention towards delivery apps 박용정, 류기환 p. 113-125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O2O services : O2O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품질이 소비자들의 O2O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모델 관점에서의 접근 / focusing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spective Jiyeon Je, Mikyoung Kim, Sangjin Oh p. 126-146

홍콩 출신 감독 린차오셴(林超賢) 영화가 중국 주선율 영화에 미친 영향 = A Hong Kong born director's Chinese theme film : changes and influence of Lin Chaoxian's film 이라, 문재철 p. 147-155

신극 단체 ‘극예술연구회(1931.7.8.-1938.3)’의 동인제 시기(1931.7.8-1932.12) 연출 양상과 평가들에 관한 논고 : A study about directing aspects and contemporary assessments during the period of coterie system(1931.7.8.-1932.12) of Shingeuk Troupe ‘Geukyesulyeonguhoe(1931.7.8.-1938.3)’ : focusing on the first trial performance <The Inspector General>(5Act) / 제1회 시연작 <검찰관>(5막)을 예로 하여 성명현 p. 156-168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의 다층적 상호텍스트성 고찰 = A study on the multi-layered intertextuality of <Drive My Car> 배기형, 김치호 p. 169-178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성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델파이연구 : Delphi research on usability test framework of metaverse platform : case of Roblox, Zepeto, and Gathertown / 로블록스, 제페토, 게더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이한진, 구현희 p. 179-193

지역 방송국 네트워크의 구조적 자산(asset)과 지역 간 격차 : Structural assets of local broadcasting networks and regional gap : foucsing[실은 focusing] on local MBC stations in South Korea / 지역MBC를 중심으로 손지훈, 이정민, 김재훈, 박한우 p. 194-204

사회공헌 일자리를 통한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of baby boomer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jobs 김은경 p. 205-216

청년자기고용(self-employment) 특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t and activation methods : young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최기성, 김윤중 p. 217-233

직장인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준비가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ffice workers and the preparation for start-up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김명한, 하규수 p. 234-251

국민주택 가격결정요인으로서 세대연령의 효과 = Effect of generation age as a determinant of national housing price 최원준 p. 252-259

일본의 국유지 유효활용을 위한 행정정책과 사례 = Administrative policies and case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Japan's state-owned property : 행정재산·공유지 및 민간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전준우 p. 260-270

핀테크 등장이 은행 및 저축은행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intech on the banking and savings banking industries in Korea 이준희, 송준혁 p. 271-282

중국기업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연선 국가 직접투자 전략과 구조 = The strategy and structure of Chinese enterprises' direct investment in 'one belt, one road' country 허흥호 p. 283-297

스마트폰 쇼핑 활용도가 인지적 나이, 사회적 관련성, 기술 신속 적응성을 통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phone shopping usage on brand loyalty through cognitive age, social relevance, and rapid technology adaptation 나경수 p. 298-307

MZ세대의 자아존중감, 쇼핑동기 및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이명진, 이민지, 김혜경 p. 308-321

소비자의 목표 달성 상태에 따른 제품 경도 선호 = Product hardness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 goal achievement status 조혜원 p. 322-327

MZ세대의 SNS 콘텐츠 관광정보특성, 관광지이미지, 관광행동의도 간 영향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information of the MZ generation's SNS content, tourist destination reputation, and the intentions of traveling behavior :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이종현, 김우정 p. 328-338

한국과 중국의 블렌디드 러닝 분야의 연구동향 비교 =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in blended learning in Korea and China 현진용, 박한우 p. 339-348

한중 문화상품무역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China cultural products trade 정응영, 배기형, 이나 p. 349-359

기업의 감염 예방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정보공유가 방문업체의 질병관리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fection prevention and service quality on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companies on disease management 김한집 p. 360-374

사회적 성향과 행동 양상에 따른 현실과 메타버스 내 관계 맺기에 대한 태도 차이 탐구 = Exploring differences in the way of dealing with social relationships in metaverse and reality according to social inclinations and behavioral aspect 이현정 p. 375-387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 Pet care and Internet consumption 한희정 p. 388-400

낮은 자기통제력의 스마트폰중독을 통한 사이버범죄 영향의 매개과정 모형구성과 검증 = Testing a model for the effect of low self-control on cybercrime mediating by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mediating process 이성식, 류수민, 임수경 p. 401-411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이슬기, 이희경 p. 412-425

루게릭병 환자를 위한 나눔 메시지의 소구유형에 따른 대학생 태도와 행위 의도의 효과 분석 = Impacts of appeal type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responding to messages for helping the patients suffering from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the[실은 sclerosis] 이승조, 송하슬 p. 426-438

가임 여성의 조기진통에 대한 예방적 자가관리 지식 측정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preventive self-management knowledge related to premature labor (PSMK-PL) scale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 an item response theory approach / 문항반응이론 적용 김선희, 이유진 p. 439-450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그릿, 자기효능감이 임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grit and self-efficacy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김영숙 p. 451-460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자가관리 건강정보에 관한 경험 = Experience of self-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최자윤, 김흠, 류의정 p. 461-472

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검증 손근호, 김경호 p. 473-484

기혼직장여성의 부부특성, 근로특성, 건강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marital characteristics, working characteristics,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rking women 두은영, 송혜영, 정명숙 p. 485-496

미술치료에서 선화(Line Drawing)의 운동성이 갖는 치료적 메커니즘 고찰 = A study on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line drawing's movement in art therapy 이현지, 정여주 p. 497-509

조현병 증상의 표현 분석 : Expression analysis of schizophrenia symptoms : focusing on the movies <The Voices> and <Black Swan> / 영화 <더 보이스>, <블랙 스완>을 중심으로 최지원 p. 510-519

무발화 자폐스펙트럼장애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현황과 인식, 요구 조사 = Survey on the status and perceptions, needs of non-verbal autism spectrum disorders interven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손소이 p. 520-530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효과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귀분, 최도림 p. 531-543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owerment of social service workers on service orient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attitude /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나윤정, 황혜원 p. 544-560

우리나라 신장암의 소득 수준별 발생률과 진단시 병기의 차이 =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kidney cancer in Korea by relative level of household income and SEER stage at diagnosis 황정인, 기명, 손미아 p. 561-569

수핵성형술(Nucleoplasty)을 이용한 디스크 내장증(Internal Disc Disruption)의 치료 연구들의 의학적 논거에 대한 비판 = A criticism regarding the medical rationale of nucleoplasty studies for internal disc disruption 홍영기 p. 570-582

유산균발효유 섭취 시 칼슘과 불소 사용에 따른 치아부식증 예방효과 = Prevention of dental erosion due to the use of calcium and fluoride when ingest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milk 김경희, 신애리 p. 583-591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간호윤리교육 현황 분석 =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ethical conflicts in nurses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한종희, 정미정 p. 592-601

병원 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by hospital nurses 장인숙 p. 602-613

국내 HR Analytics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와 분석방법에 대한 체계적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ata and analysis methods used in HR analytics research 정재삼, 조예인, 양하영, 진명화, 박효성, 이재영 p. 614-627

대학생 인성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university students : gender differences and pathways of character factors / 성차와 인성요인의 경로 김세경 p. 634-643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경험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for earl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노필순, 박병금 p. 644-656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통합치유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integrated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최명숙, 정차선 p. 657-666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스마트 학습기기의 유용성, 용이성, 사용의도 및 학습 활용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usefulness, ease of use, intention to use, and learning utilization of smart learning device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김대명 p. 667-677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제한이 위급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aily life restrictions on the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emergency behavior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 우울과 주거환경의 다중매개효과 이형하 p. 678-688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인 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income maintenance influencing elderly poverty : focusing on comparing working status groups / 근로여부별 비교 권혁창, 장성현 p. 689-699

성폭력 피해 경험자를 위한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 Usability evaluation of a mobile app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이지하, 박영, 정재은, 김기현, 박주영 p. 700-711

마약 중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drug addiction 신선희 p. 712-726

파괴와 부활 사이에서 : Between destruction and rebirth : transformation of Jesus into a hillbilly of the graphic novel, Songy of Paradise / 만화 『낙원의 쏭이』에 나타나는 예수의 촌뜨기로의 전환 김혜연 p. 628-633

유아의 시지각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이미지 블록 연동형 콘텐츠 구성과 구현 = Implementation of image block linked contents to improve children's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곽창섭, 이영순 p. 76-84

참고문헌 (6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中華人民共和國商務部, 國家統計局, 國家外換管理局, 2020年度中國對外直接投資公報, 中國商務出版社. 2021. 미소장
2 W. Yale, “China's Maritime Silk Road Gamble,”The Diplomat, Apr. 22, 2015. 미소장
3 J. C. K. Daly(2014), “China Focuses on Maritime Silk Road,” Silk Road Reporters, http://www.silk roadreporters.com/2014/07/17/china-focusesmartime-silk-road), 2019.3.14. 미소장
4 人民大學重陽金融硏究院, “國外學者談‘一帶一路’,” 中國經濟報告, 第4期, pp.90-94. 2015. 미소장
5 P. J. Buckley, J. Clegg, A. Cross, X. Liu, H. Voss, and P. Zheng, “The determinants of Chinese outward FDI,”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38, pp.499-518, 2007. 미소장
6 Y. W. Cheung and X. W. Qian, “The Empirics of China’s Outward Direct Investment,” Pacific Economic Review, Vol.14, No.3, pp.312-341, 2009. 미소장
7 X. Zhang and K. Daly, “The Determinants of China'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Emerging Markets Review, Vol.12, No.4, pp.389-398, 2011. 미소장
8 B. Ramasamy, M. Yeung, and S. Laforet, “China'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Location Choice and Firm Ownership,”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47, No1, pp.17-25, 2012. 미소장
9 杨娇辉, 王伟, 谭娜, “破解中国对外直接投资趣味分布的‘制度风险偏好’之谜,” 世界经济, 第11期, pp.3-27, 2016. 미소장
10 顾雪松, 韩立岩, 周伊敏, “产业结构差异与对外直接投资的出口效应,” 经济研究, 第4期, pp.102-115, 2016. 미소장
11 백권호, 서석흥, “중국기업 해외직접투자(‘走出去’)의현황과 평가,” 중국학연구, 제35집, pp.283-307, 2006. 미소장
12 이승신, 현상백, 나수엽, 조고운, 국기업의 인수합병을통한 해외진출전략과 정책시사점(KIEF연구보고서), 제18권, 제32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미소장
13 裴长洪, 郑文, “国家特定优势:国际投资理论的补充解释,” 經濟硏究, 第11期, pp.21-35, 2011. 미소장
14 陈岩, 杨桓, 张斌, “中国对外投资动因, 制度调节与地区差异,” 管理科学, 第3期, pp.112-120, 2012. 미소장
15 林治洪, 陈岩, 秦学志, “中国对外投资决定因素—基于整合资源观与制度视角的实证分析,” 管理世界, 第8期, pp.165-166, 2012. 미소장
16 이유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정치및 경제적 제도 수준을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제15권, 제15호, pp.201-226, 2020. 미소장
17 S. H. Hymer, The International Operations of National Firms: A study of Direct Foreign Investment , MIT Press. 1976. 미소장
18 R. E. Caves, “Cause of Direct Investment:Foregn firms’ Shares in Canadian and UK Manufacturing Industries,” Review of Economic Statistics, Vol.56, No.3, 1976. 미소장
19 P. J. Buclley and M. C. Casson, The Future of the Multinational Enterprise, London: Macmilan, 1976. 미소장
20 A. M. Rugman, Inside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NY:St. Martin’s Press, 1981. 미소장
21 H. J. Dunning, Multinationals and the Global Economy, Wokingham, U.K.: Addison Wesley, 1993. 미소장
22 R. Vernon,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80, No.2, pp.190-207, 1966. 미소장
23 S. Lall, The new multinationals: The spread of third world enterprise, New York: Wiley, 1983. 미소장
24 H. C. Moon and T. W. Roehl, “Unconventional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Imbalance Theory,”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Vol.10, No.2, pp.197-215, 2001. 미소장
25 J. H. Dunning, “Explaining the international direct investment position of countries:Towards a dynamic or developmental approach,” Weltwirtschaftliches Archiv, Vol.17, No.1, pp.30-64, 1981. 미소장
26 조동성, 21세기를 위한 국제경영, 경문사, 1997. 미소장
27 박주홍, “국제화 이론의 관점에서의 남북한 경제협력의 분석―Dunning의 절충이론을 중심으로,” 경상논총, 제22집, p.134, 2000. 미소장
28 J. A. Mathews, “Dragon multinationals: New players in 21st century globalization,”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Vol.23, No.1, pp.5-27, 2006. 미소장
29 이동현, 성재열, “신흥 다국적기업의 국제화 전략에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경영연구, 제52권, 제2호(통권제101호), p.168, 2015. 미소장
30 P. J. Buckley, “A Critical View of Theories of the Multinational Enterprise,” in P.I Buckley and M. Casson(eds.) The Economic Theory of Multinational Enterprise, London: Macmillan, 1985. 미소장
31 R. Ramamurti, What have we learned about emergingMarket MNEs? In R. Ramamurti & J. Singh (Eds.). Emerging Multinationals from Emerging Mark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미소장
32 이재유, 허흥호, “중국기업의 국제화 전략과 구조,” 관세학회지, 제2권, 제1호, pp.247-279, 2001. 미소장
33 张金杰, “中国对外直接投资新格局: 发达与发展中国家并重,” 国际经济合作, 第5期, pp.31-35, 2017. 미소장
34 齊正平, 中国能源大数据报告(2021)—能源综合篇, 中电传媒·能源情报研究中心, 2021. 미소장
35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20, 69th edition, https://www.bp.com/en/global/corpora te/news-and-insights/press-releases/bp-statistic al-review-of-world-energy-2020-published.html 미소장
36 中國國家統計局(http://www.stats.gov.cn/), 2022.5.4 미소장
37 SINOPEC(http://www.sinopecgroup.com/group /Resource/Pdf/AnnualReport2020.pdf), 2022.5.25 미소장
38 中國對外貿易經濟合作部國外合作司, 國際商報合編, 中國經營對外承包工程, 勞務合作和設計諮詢企業(續) , 經濟日報出版社, p.399, 1995. 미소장
39 정영록, 중국경제의 국제화 평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자료95-1, p.63, 1995. 미소장
40 錢錦昌, “走具有上海特色的遠洋漁業發展道路,” 上海企業跨國經營初探, 上海科學技術文獻出版社, p.50, 1991. 미소장
41 陈世清, 对称经济学, 中国时代经济出版社, p.161, 2011. 미소장
42 黃永弟, “論‘一帶一路’倡義實施的背景, 風險及應對策略,”經濟硏究導刊, 第30期, pp.62-63, 2016. 미소장
43 邬琼, “我国产能过剩的原因及化解对策,” 國家信息中心( http://www.sic.gov.cn/News/455/6842.htm)(검색일: 2022. 5. 25.), 2016. 미소장
44 王同昭·余海溶, “地方分權化與市場經濟的矛盾及其建構,” 內蒙古農業大學學報, 第3期, pp.8-10, 2007. 미소장
45 國務院, 国务院关于印发中国制造2025的通知(國發[2015]28號). 2015.5.8. 中華人民共和國中央政府(http://sousuo.gov.cn/) 2022.4.25. 미소장
46 黄梅波.李泽政, “中国对外直接投资 40 年: 动因及模式,” 东南学术, 第4期, pp.88-88, 2018. 미소장
47 巴殿君, “論‘一帶一路’戰略的內涵,風險及前景-以國際關係爲視角,” 中國周邊外交學刊, 總二輯, 第2輯, pp.119-121, 2015. 미소장
48 V. Marantidou and R. A. Cossa, “China and Russia's Great Game in Central Asia,”http://nationalinterest.org/blog/the-buzz/china -russias-great-game-central-asia-11385?page=2. 2019.3.16. 미소장
49 R. Medcalf, “Asia's ‘Cold Peace’; China and India's Delicate Diplomatic Dance,”http://nationalinterest.org/feature/asias-cold-p eace-china-indias-delicate-diplomaticdance-11338, 2019.3.16. 미소장
50 함명식, “포섭과 배제의 시작에서 본 ‘일대일로’(一帶一路),” Sungkyun China Brief, 제4권, 제1호, p.69, 2016. 미소장
51 杨挺, 李志中, 陈子若, “中国对外直接投资的新特征及趋势,” IEC, No.1, pp.18-26, 2017. 미소장
52 한국경제신문, “ '중국몽'에 말려든 저개발국… 일대일로 참여했다 빚더미 신세,” (https://www.hankyung. com/international/article/2018030730211), 2019. 12.24. 미소장
53 张友谊, “中国对东盟国家直接投资现状分析,” 生産力硏究, 第12期, pp.121-126, 2020. 미소장
54 丁志帆, 孙根紧, “‘一带一路’背景下中国对外直接投资空间格局重塑,” 四川师范大学学报(社会科学版), 第43卷, 第2期, p.59, 2016. 미소장
55 亞布力中國企業家論壇(https://baijiahao.baidu.co m/s?id=1731366356411803968/), 2022.5.11. 미소장
56 張述存, “‘一帶一路’戰略下優化中國對外直接投資布局的思路與對策,” 管理世界, 第4期, pp.1-9, 2017. 미소장
57 中國商務部(http://hzs.mofcom.gov.cn/article/dat e/202110/20211003207274.shtml), 2021.10.25. 미소장
58 UNCTAD(https://unctad.org), 2021.5.4. 미소장
59 2020年版《对外投资合作国别(地区)指南》, 中國一帶一路網(https://www.yidaiyilu.gov.cn/zchj/zcfg/159005.htm), 2022.5.15) 미소장
60 中國商務部, 2020年度 中國對外承包工程統計公報, 中國商務出版社,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