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尊周大一統의 의미를 내포한 ‘春王正月’이라는 말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元年春王正月”은 『春秋』 경문의 첫머리에 적힌 글로, 시기는 봄, 1월을 가리킨다. 그런데 周曆을 따져보면, 실제로 이는 겨울 11월이다. 중국의 여러 학자들은 이 괴리를 포착하고 나름대로 근거를 붙여 이해하려 하였다.
胡安國ㆍ程頤ㆍ朱熹ㆍ王守仁ㆍ顧炎武 등 중국학자의 ‘春王正月’에 대한 논의는 우리나라의 『春秋』 이해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胡安國은 孔子가 본래 겨울인 子月을 의도를 갖고 ‘봄’이라고 표기했다는 일명 ‘以夏時冠周月’論을 주창하였는데 이는 『公羊傳』의 ‘大一統’의 의미와 程頤의 논의를 계승한 것이다. 朱熹는 胡安國의 의견과 미묘한 차이가 있지만, 그가 지은 『胡氏傳』을 높이 평가했다. 胡安國의 주장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공적인 논의에서 정설로 취급되었다. 王守仁은 胡ㆍ程ㆍ朱의 논의와 결을 달리하며 ‘孔子는 周의 역법에 쓰인 대로 받아들였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張維와 조선의 일부 문인은 王守仁의 논리를 긍정적으로 수용했지만 宋時烈 등 여러 학자의 반론 또한 거셌다. 이 논리가 對策文과 같은 公的인 글에 등장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正祖 때에 이르러 顧炎武의 『日知錄』이 정조 및 당시의 핵심 관료들에게 유행하였는데, 이때부터 顧炎武의 ‘春王正月’에 대한 설은 常論이 되었다.
공적 영역의 정설과 학자 개인이 가진 이설의 충돌, 이들의 위치가 바뀌는 과정은 학술사적으로 흥미로운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본고는 ‘春王正月’ 개념의 이해 과정을 추적하고자 노력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 | 미소장 |
2 | 『尙書正義』 | 미소장 |
3 | 『御纂朱子全書』 | 미소장 |
4 | 『前漢書』 | 미소장 |
5 | 『左傳』 | 미소장 |
6 | 『春秋公羊傳』 | 미소장 |
7 | 『春秋輯傳』 | 미소장 |
8 | 『胡氏春秋傳』 | 미소장 |
9 | 顧炎武, 『日知錄』 | 미소장 |
10 | 王守仁, 『王文成全書』 | 미소장 |
11 | 程頤, 『程氏經說』 | 미소장 |
12 | 姜希孟, 『私淑齋集』 | 미소장 |
13 | 權訪, 『鶴林集』 | 미소장 |
14 | 金德五, 『癡軒集』 | 미소장 |
15 | 金昌協, 『農巖集』 | 미소장 |
16 | 金昌翕, 『三淵集』 | 미소장 |
17 | 南九萬, 『藥泉集』 | 미소장 |
18 | 朴世采, 『南溪集』 | 미소장 |
19 | 徐有榘, 『金華知非集』 | 미소장 |
20 | 宋時烈, 『宋書拾遺』 | 미소장 |
21 | 柳希春, 『眉巖集』 | 미소장 |
22 | 尹善道, 『孤山遺稿』 | 미소장 |
23 | 李端相, 『靜觀齋集』 | 미소장 |
24 | 李穡, 『牧隱藁』 | 미소장 |
25 | 李震相, 『春秋集傳』 | 미소장 |
26 | 丁若鏞, 『茶山詩文集』 | 미소장 |
27 | 鄭曄, 『守夢集』 | 미소장 |
28 | 正祖, 『弘齋全書』 | 미소장 |
29 | 『端宗實錄』 | 미소장 |
30 | 『承政院日記』 | 미소장 |
31 | 劉克寰, 『春秋公羊傳何氏解詁(漢何休解詁)』, 中華書局, 1970. | 미소장 |
32 | 張以寧ㆍ錢熙輔ㆍ吳增壽, 『春秋春王正月考 影印』, 藝文印書館, 1965. | 미소장 |
33 | 張洽, 『春秋集傳』, 江蘇古籍出版社, 1988. | 미소장 |
34 | 김동민(2014), 正祖의 策問:春秋 를 통해 본 조선조 春秋學의 문제의식 , 『동양고전연구』 56, 동양고전학회, 171∼207면. | 미소장 |
35 | 김동민(2016), 조선조 간행본 『春秋』 註解書의 특징: 규장각 소장 『춘추』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 73,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36면. | 미소장 |
36 | 김동민(2018), 李震相 『春秋集傳』의 性理學的 『春秋』 이해 , 『대동문화연구』 103,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43∼175면. | 미소장 |
37 | 서정화(2017a), 『春秋』 王曆① - 宋代 이후 春秋曆數의 改月ㆍ改時 논의에 대한 小考 , 『동양고전연구』 67, 동양고전학회, 345∼378면. | 미소장 |
38 | 서정화(2017b), 『春秋』 王曆②-周代의 曆法 一考察 , 『동양철학』 47, 한국동양철학회, 191∼227면. | 미소장 |
39 | 서정화(2017c), 『春秋』 王曆③-周曆에서 夏曆으로, 그리고 孔子의 “行夏之時” , 『한국철학논집』 54, 한국철학사연구회, 153∼184면. | 미소장 |
40 | 신재식(2013),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 『동양한문학연구』 36, 동양한문학회, 147∼174면. | 미소장 |
41 | 신재식(2017), 정조조 경학의 고염무 경설 수용 양상 ,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심경호(2005), 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 『태동고전연구』 21,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27∼84면. | 미소장 |
43 | 여정숙(1984), 계곡 장유 사상의 연구: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84. | 미소장 |
44 | 우응순(1990), 조선중기 사대가의 문학론 연구 ,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이경남(1992), 장유의 사상에 관한 연구: 양명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92. | 미소장 |
46 | 허민희(2011), 계곡 장유의 시문관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7 | 홍승태(2010), 남송 호안국의 정치사상과 춘추학 연구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 동양사학회, 91∼93면. | 미소장 |
48 | 孫少華(2016), “春王正月”與“貴微重始”—兼論後儒對『春秋』文本的哲學闡釋 , 哲學研究, 62∼67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