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연구자가 2022년도 1학기에 진행했던 군산대학교 〈기초글쓰기〉 교과목의 ‘글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행 〈기초글쓰기〉 교재의 개편이 필요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글쓰기 활동의 한계와 문제점은 학생들의 과제 부담이 너무 크다는 점, 한 편의 글쓰기 활동이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 주차별 글쓰기 활동의 내용이 중복되었다는 점, 주차별로 진행한 교재의 이론 내용과 글쓰기 활동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 교재의 글쓰기 이론 내용이 한 학기 동안에 학습하기에는 분량이 너무 많다는 점 등이었다.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한계와 문제점은 대체로 〈기초글쓰기〉 교재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글쓰기 활동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기초글쓰기〉 교재의 개편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재 개편안의 큰 틀은 이론 중심과 글쓰기 활동 중심의 구성이다. 제1장부터 제4장까지는 글쓰기 활동을 위해 필요한 이론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제5장부터 제7장까지는 워크북 형식으로 구성하여 실제 글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의 구성은 실제 수업계획서를 감안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이 군산대학교 〈기초글쓰기〉 교재의 개편에 수용되고, 실제 강의의 설계와 운영에 적용된다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글쓰기 활동의 분석과 교재 개편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analysis of writing activity and th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 focusing on the <Basic Writing> course at Kunsan university / 군산대학교 <기초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교식 p. 1-37

대학 신입생들의 글쓰기 불안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writing apprehension in college freshmen 이연정 p. 39-63

「한글 맞춤법」 사이시옷 규정의 변천과 언어관 : Changes in Saisiot clauses of Hanguel orthographies and language perspectives : focusing on the review of different orthographies since the 1970s / 1970년대 이후의 서로 다른 정서법들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김주성 p. 65-101

전쟁 관련 푸틴 대통령 연설문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 A study of critical discourse on Putin's speeches on war 김지영 p. 103-141

현대시의 스토리텔링화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storytelling methodology in contemporary poetry : focusing on the cases of classes /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강호정 p. 143-170

번역가 문체 표지 연구 : Exploring translator style markers : focusing on translations of fictional dialogue / 소설 대화문 단락의 번역 양상 분석 신혜정 p. 171-204

모바일 환경 한국어 평가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study for implementation of Korean language evaluation in mobile environment : focused on the size of available text / 텍스트 가용 규모를 중심으로 박진욱, 이화정, 심지혜, 박진영, 고정대 p. 205-251

초급 『성균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 및 단원 구성의 실제 = Development direction of beginner’s book 『Sungkyun Korea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unit structure 이수미 p. 253-284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 수업 개발 기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lass for foreign students 공하림, 김윤희 p. 285-303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글쓰기교재 편찬위원회, 『대학인과 글쓰기』, 한국문화사, 2016. 미소장
2 김교식, 「2020학년도 1학기 [글쓰기] 교과목 평가 결과 분석」, 『교양 기초교육역량강화 포럼 및 「비전있는 대학생활」 교과목 역량강화 포럼』 자료집, 군산대학교 기초교양학부・황룡인재교육원, 2020. 8. 25. 미소장
3 김교식・최현재・정훈,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교과목의 만족도 설문 조사 분석」, 『한국언어문학』 제111집, 한국언어문학회, 2019. 미소장
4 김정숙・백윤경, 「대학 글쓰기 교재의 현황과 발전적 방향 ‒ 거점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통권 106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5 문 신, 「대학 글쓰기 교재의 개발 방향 ‒ 전북대학교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제13집,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미소장
6 박선양, 「2019학년도 1학기 교육역량강화 ‒ 기초글쓰기」, 『2019학년도 1학기 교양 「기초・핵심교과목 역량강화 포럼」 및 「‘비전있는 대학생활’ 교과목 역량강화 프로그램」』 자료집, 군산대학교 황룡인재교육원, 2019. 9. 26. 미소장
7 손혜숙, 「이공계열 글쓰기 교육의 수업운영 방법연구 ‒ 군산대학교 강의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44집, 한민족문화학회, 2013. 미소장
8 양근용, 「인천대학교 글쓰기 교재 검토」, 『인문학연구』 제29집, 인천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8. 미소장
9 오영록, 「대학 글쓰기 교과의 현황과 개선지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경우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107, 어문연구학회, 2021. 미소장
10 이다운,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양상 연구 ‒ 충남대학교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통권 28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9. 미소장
11 임형모, 「글쓰기 능력을 신장하는 효율적인 첨삭 지도 방안 ‒ ‘밑줄 탐구 첨삭’ 의 이론과 실제」, 『국어문학』 제60집, 국어문학회, 2015. 미소장
12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석 및 평가 준거 연구」, 『국어국문학』 제148호, 국어국문학회, 2008. 미소장
13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리터러시연구』 창간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미소장
14 주지영, 「2019-2 교육역량강화 ‒ 기초글쓰기 및 창의적 글쓰기」, 『2019학년도 2학기 기초・핵심교양 역량강화 포럼』 자료집, 군산대학교 교양교육원, 2020. 2. 18. 미소장
15 주지영・최현재・박선양, 「대학 심화 단계의 글쓰기 교재 개발 사례 연구 ‒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과목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제72집, 국어문학회,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