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승정원일기』 |
미소장 |
2 |
『독립신문』 |
미소장 |
3 |
『황성신문』 |
미소장 |
4 |
『대한매일신보』 |
미소장 |
5 |
『부녀일보』 |
미소장 |
6 |
『대구시보』 |
미소장 |
7 |
禹夏永, 『千一錄』 . |
미소장 |
8 |
玄檃, 『中人 來歷의 略考』 . |
미소장 |
9 |
골드버그, 찰스, 「양반, 상놈과 인류학자: 인류학적 이론과 cross-cultural studies를 비추어 본 한국사회 계급과 동족집단의 조사」, 『한국문화인류학』 6, 한국문화인류학회, 1973. |
미소장 |
10 |
김용섭, 『증보판 조선후기농업사연구』 Ⅰ, 지식산업사, 1995. |
미소장 |
11 |
배영동, 「근대 신분제 유습 해체와 마을공동체 민속의 단절 또는 변화에 대한 시론: 경북지역 반촌의 경우에 대한 문제제기」, 『실천민속학연구』 32, 실천민속학회, 2018. |
미소장 |
12 |
송양섭, 「19세기 유학호의 구조와 성격: 『단성호적대장』 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4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4. |
미소장 |
13 |
시마 무츠히코(嶋 陸奧彦), 「한국농촌구조 연구 노우트」, 『한국문화인류학』 15,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
미소장 |
14 |
시마 무츠히코(嶋 陸奧彦), 「한국 농촌에 있어서의 세대의 장기적 유동성과 그 함의」, 『한국문화인류학』 31(2), 한국문화인류학회, 1998. |
미소장 |
15 |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현 법물야면 유학호의 분포와 성격」, 『역사와 현실』 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
미소장 |
16 |
안승택, 「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아랫것들’과 공동체의 ‘살갗’: 경기남부의 사례」, 『한국문화인류학』 52(1),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
미소장 |
17 |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미소장 |
18 |
양평군지편찬위원회, 『양평군지』 (중): 양평의 문화유산, 양평문화원, 2005. |
미소장 |
19 |
오창현, 「농지개혁과 마을 공동체의 변형: 경기동남부의 두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4(2),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
미소장 |
20 |
이용기, 「1940~50년대 농촌의 마을질서와 국가: 경기도 이천의 어느 집성촌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10, 역사문제연구소, 2003. |
미소장 |
21 |
장수현, 「농지개혁이후 한국의 농민층 분화에 관한 연구: 경남 김해군의 한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
미소장 |
22 |
정승모, 「장례와 관련한 동계(洞契)의 변화와 ‘유학’계: 19세기 후반 이후의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5,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
미소장 |
23 |
정승모, 「18~19세기 농민층 분화와 ‘향촌중인’」, 『대동문화연구』 5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 |
미소장 |
24 |
정승모, 『한국의 농업세시』 , 일조각, 2012. |
미소장 |
25 |
홍성흡, 「토지소유와 지주소작 관계의 성격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