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김숨의 소설 『철』은 ‘애니매시 위계구조(animacy hierarchy)’ 내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핵심으로 삼는 생명정치의 서사다. 그 갈등은 유기체적 몸 자체에 대한 과학적 분류가 아니라, 몸이 하는 일, 또는 몸이 할 수 있는 일을 둘러싼 차별적이고 배타적인 범주화에 기인한다. 김숨의 『철』은 산업 자본주의의 흥망성쇠를 다룬 보편사로서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지역사와 중첩시켜 리얼리즘적으로 독해될 여지를 두고 있다. 『철』의 서사가 가시화된 지역으로는 소설이 유비적으로 그려보인 산업사가 실제적으로 펼쳐진 부산이 적절해 보인다. 부산은 조선산업의 도시였고, 오늘날 커피산업으로 도시를 유지하고자 욕망한다. 부산이 커피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시도한다는 것은 커피산업을 통해 도시의 인프라 자체를 재구축하겠다는 의지이며, 이는 재구축될 자리에 앞서 있던 어떤 인프라가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트러블과 함께 존재하는 부산의 인프라는 몇 겹의 레이어를 지닌다. 그 레이어 내부에는 생태와 경제를 잇는 위기 시대의 관계적 인프라로서 ‘재첩’이 있었다. 재첩잡이를 통한 생계의 양상은 ‘구제(salvage)’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서부산 주민들의 회고는 이러한 구제 활동이 다양한 크래프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생태적-장인적 실천으로서의 크래프트는 주민들이 그들의 살아 있는 경험을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물질성에 환원할 수 없는 방법으로 체현과 지식 사이의 연결을 긍정한다. 그리고 크래프트는 구제를 통해 정동적 축적(affective accumulation)을 통해 어소시에이션을 만든다. 그러나 크래프트를 발동시킨 재첩이라는 커먼즈는 공단과 하굿둑이라는 산업적 인프라에 의해 붕괴되었다. 이는 정동적 관계의 붕괴다.
오늘날 공단은 다시 한번 카페로 그 모습을 바꾸어가고 있고, 부산은 ‘커피도시’로의 변신을 꿈꾼다. 산업사회의 접속력에 다름 아닌 크래프트를 전제에 둔 어소시에이션은 플랫폼화된 커피도시에서 기능적 역할에 따라 분리되고, 이에 따라 어소시에이션은 개인으로 해체되어 커피의 소비자 또는 생산자로 결정(화)된다.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소비자 또는 기업가적인 생산자로서의 정체성은 플랫폼 모델이 그 성공과 실패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경로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멍키스패너와 카페라테>, ≪다큐멘터리 3일≫ 제566회, KBS2TV, 2019. 2. 17. | 미소장 |
2 | 김 숨, 『철』, 문학과지성사, 2008. | 미소장 |
3 | 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학연구소, 「부산 감전동 구술자료 수집 보고서 : 부산 근현대구술자료수집 학술용역」, 2017. 6. | 미소장 |
4 | 오재완 외,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발굴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16. | 미소장 |
5 | 리처드 세넷, 김홍식 역, 『장인(개정판)』, 21세기북스, 2021, 1~492쪽. | 미소장 |
6 | 모센 모스타파비⋅데이빗 레더배로우, 이민 역, 『풍화에 대하여 : 건축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 이유출판, 2021, 1~164쪽. | 미소장 |
7 | 박창희, 『을숙도, 거대한 상실』, 페이퍼로드, 2009, 1~296쪽. | 미소장 |
8 | 전국조, 『터널과 다리의 도시, 부산』, 비온후, 2015, 1~254쪽. | 미소장 |
9 | 피터 애디, 최일만 역, 『모빌리티 이론』, 앨피, 2019, 1~524쪽. | 미소장 |
10 | Anna Lowenhaupt Tsing,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pp.1~352. | 미소장 |
11 | Mel Y, Chen, Animacies: Biopolitics, Racial Mattering, and Queer Affect,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12, pp.1~312. | 미소장 |
12 | Susan Leigh Star and Geoffrey C. Bowker, Sorting Things Out: Classification and Its Consequences, Cambridge: MIT Press, 1999, pp.1~392. | 미소장 |
13 | William Cronon, Nature’s Metropolis: Chicago and the Great West, W. W. Norton & Company, 1991, pp.1~100. | 미소장 |
14 | 신원철, 「영국 조선산업의 쇠퇴와 감원(1945∼2000)」, 『산업노동연구』 제26권 2호, 한국산업노동학회, 2020. 6, 1~44쪽. | 미소장 |
15 | 신현아, 「1980년대 중공업 가족의 형성과 지역적 삶의 반경」, 『동악어문학』 제79집, 동악어문학회, 2019. 10, 49~74쪽. | 미소장 |
16 | 조주현,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접점: 캐런 바라드의 경우」, 『한국여성철학』 제25권, 한국여성철학회, 2016. 5, 65~104쪽. | 미소장 |
17 | 캐런 바라드, 「행위적 실재론 - 과학실천 이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 박미선 역, 『문화과학』 제57호, 문화과학사, 2009. 3, 61~82쪽. | 미소장 |
18 | Ben Anderson & Adam Holden, “Affective urbanism and the event of hope”, Space and Culture 11(2), 2008, pp.142-159. | 미소장 |
19 | Karen Barad, “Agential Realism: Feminist Interventions in Understanding Scientific Practices”, Science Studies Reader, New York: Routledge, 1999, pp.1~11. | 미소장 |
20 | Nigel Thrift, “Space”, Theory, Culture and Society 23, 2006, pp.139-146. | 미소장 |
21 | Sara Ahmed,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79(Vol.22, No.2), Summer 2004, p.120. | 미소장 |
22 | Susan Leigh Star and Anselm Strauss, “Layers of silence, arenas of voice: The ecology of visible and invisible work”,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8, 1999, pp.9~30. | 미소장 |
23 | Susan Leigh Star, “Infrastructure and ethnographic practice: Working on the fringes”, Scandinav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4(2), 2002, pp.107~122. | 미소장 |
24 | Susan Leigh Star, “The ethnography of infrastructur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3, 1999, pp.377~391. | 미소장 |
25 | 「[부산은 커피도시다] ‘어묵’ 하면 부산이듯이… ‘커피도시 부산’도 충분히 승산」, 『부산일보』, 2021. 11. 2. | 미소장 |
26 | 「[이 정도는 알아야] 고대구리」, 『부산일보』, 2013. 4. 26. | 미소장 |
27 | 「‘커피도시 부산’으로 관광 활성화 도모」, 『여행신문』, 2022. 5. 12. | 미소장 |
28 | 「“커피산업 하겠다는 부산시장은 처음” 영도 주민이 놀란 이유」, 『파이낸셜뉴스』, 2021. 7. 14. | 미소장 |
29 |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 20년 넘은 ‘서부산 산업단지’… ‘미래형 혁신 산단’ 탈바꿈 ‘앞장’」, 『부산일보』, 2021. 3. 30. | 미소장 |
30 | 「글로벌 커피도시 부산되기 위한 조건은?」, 『부산제일경제』, 2022. 2. 9. | 미소장 |
31 | 「수입커피 생두 95% 들어오는 부산… ‘세계적 커피도시’ 꿈꾼다」, 『중앙일보』, 2021. 7. 10. | 미소장 |
32 | 최원준, 「향긋하고 단맛에 윤기 잘잘, 낙동강이 키운 ‘명품 김’」, 『다이내믹 부산』 제202120호, 2021. 11. 30. | 미소장 |
33 | 황유지, 「2022 경향 신춘문예 문학평론 당선작 - 하마르티아, 일하는 몸들의 운명」, 『경향신문』, 2022. 1. 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