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80년대 이후 금융적 자본의 축적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으며, 금융의 지배력도 크게 변화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팽창과 변화의 원인을 마르크스의 이자낳는 자본 분석을 기초로 하면서 동시에 이 시기의 금융발전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한다.
금융적 자본 축적의 팽창은 기존의 여러 논의들의 주장과는 달리 실물자본의 축적 상태 변화를 반영하기보다는 금융의 기술적·제도적 발전에 의해 촉진되었다. 그리고 금융지배력은 모든 경제활동에 금융적 단기수익 논리를 강요하고는 있지만, 실물자본에 대해서는 일정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에 노동에 대해서는 대립적 관계를 가지는데, 특히 저소득 노동에 대해서는 고리대적 지배력을 나타내고 있다.
Since the 1980s, the accumulation of financial capital has been rapidly expanding, and the dominance of finance has changed significantly. This paper analyzes the causes of such expansion and change based on Marx's analysis of interest-bearing capital whi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development in this period.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중앙은행 역할과 권한 확대의 민주적 정당성 =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central bank's role and discretion expansion | 황재홍 | p. 1-51 |
|
|
한국에서 통화정책 기대경로 유효성에 대한 실증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expectations channel of monetary policy in South Korea | 김문수, 박원익 | p. 53-96 |
|
|
금융적 자본 축적과 금융지배력 = Accumul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dominance of finance : a new interpretation : 마르크스 관점과 현대적 해석 | 조복현 | p. 97-138 |
|
|
한국의 스킬과 성별임금격차 = Skills and gender wage gap in Korea : international comparisons using PIAAC data : PIACC 자료를 활용한 국제비교 분석 | 송민정, 반가운 | p. 139-183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