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반도 안보위기시 한반도 정치세력은 외세(강대국) 담론을 활용해 자파의 정치적 이익을 확보하려는 행태를 보인다. 배격론 세력은 외세의 위협을 강조해 내부 결속을 강화한다거나 경쟁 정치세력을 외세 추수세력으로 규정하고 공격한다. 의탁론 세력은 강대국의 지원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하거나 정치 권력의 탈취를 시도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과 달리 한반도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우선시한다. 실용론 세력은 우호적 외세 혹은 적대적 외세라는 선험적 이분법을 거부하고 안보위기 해소에 긍정적일 경우 어떠한 외세라도 협력 가능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이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저해한다고 비판하는 반면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은 실용론 세력을 각각 외세 추종적이거나 우방과의 관계를 훼손한다고 공격한다. 향후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에 대한 경직된 이분법을 지양하고 문제해결이라는 목표로부터 출발해 유연한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재인 정부의 민주주의와 포퓰리즘(populism) = Democracy and populism in the Moon Jae-in government 이연호, 임유진 p. 5-34

로컬평화의 전망과 한계 : Prospects and limitations of local peace : postliberal perspectives / 포스트자유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강혁민 p. 35-67

타자에 대한 '배제'와 '공존'의 헌법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titution composition of exclusion and coexistence on the basis of nomos / 노모스(nomos)개념을 중심으로 정병화 p. 69-89

북한담배의 사회적 기능과 의미 :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he "cigarette bribery" phenomenon among North Korean residents / '담배 뇌물 고이기' 현상을 중심으로 강동완 p. 91-120

북한 만화영화 속 여성 재현 연구 : Images of women in North Korean animation : focusing on the changes in women's discourse in the North Korean regime / 북한 체제의 여성 담론 변화를 중심으로 박수진 p. 121-160

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자의 내집단 돌봄에 대한 특징 = Characteristics of in-group care among North Korean refugees working as North Korean resettlement support workers 손인배 p. 161-195

'권력투쟁'의 정당화? : Justifying power struggle? : discourses on foreign powers and domestic politics in the security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 한반도 안보위기시 외세 담론과 국내정치 박홍서 p. 197-234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통일 정책 홍보의 가능성 : Possibility of promoting unification policy using metaverse : focusing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technique / 참여관찰 기법을 중심으로 최종환 p. 235-267

취약성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ility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신시온 p. 269-298

신문사설에 나타난 5·18담론의 변화양상과 동학 = Changes and dynamics of the 5·18 discourses in newspaper editorials 김용철, 최은정, 박의경 p. 299-337

참고문헌 (9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만길·김광식·홍인숙·김남식·임종국·박현채·황한식·장상환·성한표·임헌영·김윤식·이광호. 2009. 『해방전후사의 인식 2』. 파주: 한길사. 미소장
2 계승범. 2008. “계해정변(인조반정)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 『남명학연구』 26권, 439-478. 미소장
3 계승범. 2010. “조선후기 대보단 친행 현황과 그 정치·문화적 함의.” 『역사와현실』 제75호, 165-200. 미소장
4 김명호. 2005.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서면호 사건에서 신미양요까지』. 서울:역사비평사. 미소장
5 김삼웅. 2016. 『몽양 여운형 평전』. 서울: 채륜. 미소장
6 김상헌. 2012. 신해진 역주. 『남한기략』. 서울: 박이정. 미소장
7 김성배. 2013. “청대 한국의 유교적 대중전략과 현재적 시사점.” 『국제정치논총』제47집 5호, 117-134. 미소장
8 김옥균. 1971. 조일문 역주. 『갑신일록』.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미소장
9 김자현. 2019. 윌리엄 하부시·김지수 편집. 주재영 옮김. 『임진전쟁과 민족의탄생』. 서울: 너머북스. 미소장
10 니콜로 마키아벨리. 강정인․김경희 옮김. 2012. 『군주론』. 서울: 까치. 미소장
11 미셸 푸코. 이정우 옮김. 2011. 『담론의 질서』. 서울: 새길. 미소장
12 미셸 푸코. 심세광·오트르망·전혜리 옮김. 2016.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수양』. 파주: 동녘. 미소장
13 박정희. 2017a. 『민족의 저력』. 서울: 기파랑. 미소장
14 박정희. 2017b. 『민족중흥의 길』. 서울: 기파랑. 미소장
15 박태균. 2007.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파주: 창비. 미소장
16 박현모. 2004. “세도정치기 조선 지식인의 정체성 위기: 황사영백서를 중심으로.”『동방학지』 123권 123호, 99-130. 미소장
17 박현채·안진·양동주·여현덕·임헌영·한준상·이완범·김남식·김태승·박혜숙·황남준. 2008. 『해방전후사의 인식 3』. 파주: 한길사. 미소장
18 박홍서. 2021. “박정희 시기 북방외교의 정치경제적 배경: 통치성 위기와 그 대응.” 『한국동북아논총』 26집 1호, 23-41. 미소장
19 배지현. 2022. “‘이재명은 친중·친북·반미’…‘윤석열은 군사령관인가’.” 『한겨레신문』(2월 11일). 미소장
20 브루스 커밍스. 김자동 옮김. 1986. 『한국전쟁의 기원』. 서울: 일월서각. 미소장
21 사라 밀즈. 김부용 옮김. 2001. 『담론』. 서울: 인간사랑. 미소장
22 상탈 무페. 이보경 옮김. 2007. 『정치적인 것의 귀환』.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23 서중석. 1993.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24 손형부. 1997. 『박규수의 개화사상연구』. 서울: 일조각. 미소장
25 송건호·진덕규·김학준·오익환·임종국·백기완·김도현·이동화·유인호·이종훈·염무웅·임헌영. 2008.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파주: 한길사. 미소장
26 신석호. 2009. “독재체제 확립 ‘적대적 공존’… , 대화하며 ‘박정희’ 고립 시도.”『주간동아』(9월 30일). 미소장
27 신욱희. 2010. “데탕트와 박정희의 전략적 대응_박정희는 공격적 현실주의자인가?” 『세계정치』 14집, 41-67. 미소장
28 심동준. 2022. “北선전매체, 尹정부 한일 행보 비방…‘굴종, 애걸 추태’.” 『뉴시스』(5월 9일). 미소장
29 안토니오 그람시. 이상훈 옮김. 2006. 『그람시의 옥중수고1』. 서울: 거름. 미소장
30 오코노기 마사오. 류상영 외 옮김. 2019. 『한반도 분단의 기원』. 파주: 나남출판. 미소장
31 우승지. 2005. “데탕트 시대의 한미관계.” 김용직 편. 『사료로 본 한국의 정치와 외교: 1945∼1979』.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393-452. 미소장
32 원재린. 2007. “遲川 崔鳴吉의 학문관과 정치운영론.” 『한국사상사학』 29권 29호, 113-138. 미소장
33 유칠노. 1991. “유가의 권도에 관한 연구.” 『동서철학연구』 8권, 35-70. 미소장
34 이남희. 유리·이경희 옮김. 2015. 『민중만들기』.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35 이만채 편휘. 김시준 역주. 1984. 『천주교전교박해사(벽위편)』. 서울: 삼경당. 미소장
36 이민원. 2002.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 서울: 국학자료원. 미소장
37 이성택·신은별. 2022. “첫 4자 토론서도 극명했던 이재명 ‘실용’·윤석열 ‘친미’안보 기조 [TV 토론].” 『한국일보』(2월 4일). 미소장
38 이정 박헌영 전집 편집위원회 편. 2004. 『이정 박헌영 전집 II』 [미군정기 저작편]. 파주: 역사비평사. 미소장
39 이완범. 2013. 『한반도 분할의 역사: 임진왜란에서 6.25 전쟁까지』.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소장
40 이정식. 2007. “이정식 교수, ‘여운형은 박헌영파에 암살’ 주장.” 『신동아』(9월10일). 미소장
41 임부연. 2009. “유교 의례화의 정치학 -만동묘와 대보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15권, 159-182. 미소장
42 임지현. 2008.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서울: 소나무. 미소장
43 정래원. 2020. “북한 선전매체, 한미 ‘동맹대화’ 신설 비난…‘예속과 굴종’.” 『연합뉴스』(9월 20일). 미소장
44 정용옥. 2003. “역비논단-1945년 말 1946년 초 신탁통치 파동과 미군정-미군정의여론공작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통권 62호, 287-322. 미소장
45 정진영. 1997. “19세기 후반 嶺南儒林의 정치적 동향 : 萬人疏를 중심으로.” 『지역과 역사』 4권, 173-243. 미소장
46 조광. 1977. “황사영백서의 사회사상적 배경.” 『사총』 21권, 347-371. 미소장
47 조유식. 1992. “여운형 암살 배후에 노덕술 있었다.” 『월간 말』 72 (6월). 미소장
48 조희연. 2010. 『동원된 근대화』.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49 프란스 드 발. 장대익·황상익 옮김. 2019. 『침팬지 폴리틱스』. 서울: 바다출판사. 미소장
50 프리드리히 니체. 강수남 옮김. 2003. 『권력에의 의지』. 서울: 청하. 미소장
51 카를 슈미트. 김효진 외 옮김. 2012. 『정치적의 것의 개념』. 파주: 살림. 미소장
52 칼 맑스. 최인호 외 옮김. 2010.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1』. 고양: 박종철출판사. 미소장
53 한명기. 2007. “‘재조지은((再造之恩)’과 조선후기 정치사 - 임진왜란~정조대 시기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9권, 191-230. 미소장
54 한명기. 2016. “이괄의 난이 인조대 초반 대내외 정책에 미친 여파.” 『전북사학』48, 93-136. 미소장
55 한성훈. 2012. 『전쟁과 인민: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 서울:돌베개. 미소장
56 함양여씨대종회 편. 1991. 『몽양 여운형 전집 I』. 서울: 한울. 미소장
57 허영란. 2013. “민중 운동사 이후의 민중사.” 역사문제연구소 편. 『민중사를 다시말한다』. 서울: 역사비평사, 27-47. 미소장
58 황병주. 2011. “박정희 체제 근대화 담론의 식민성.” 임지현 외 엮음. 『근대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서울: 책과 함께, 255-289. 미소장
59 황태연. 2017. 『갑진왜란과 국민전쟁』. 파주: 청계. 미소장
60 황현. 임형택 외 옮김. 2009. 『역주 매천야록』 상. 서울: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61 Adams, Rachel. 2017. “Michel Foucault: Discourse.” Critical Legal Thinking. https://criticallegalthinking.com/2017/11/17/michel-foucault-discourse/(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62 Bodin, Jean. Six Books of the Commonwealth. http://www.yorku.ca/comninel/courses/3020pdf/six_books.pdf(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63 Dewey, John. 1908. “What Does Pragmatism Mean by Practical?.” The Journal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Scientific Methods 5 (4): 85-99. 미소장
64 Foucault, Michel. 2003a. Society Must be Defended. New York: Picador. 미소장
65 Foucault, Michel. 2003b. “Truth and Power.” In Paul Rabinow and Nikolas Rose (Eds.), The Essential Foucault. New York, NY: The New Press, 300-318. 미소장
66 Gourevitch, Peter. 1978. “The Second Image Reversed: The International Sources of Domestic Politics.” International Organization 32(4):881-912. 미소장
67 Johnston, Richard J. 1946. “U.S. Chief in Korea Receives Note From Russian Zone’s Commander.” The New York Times (January 10). 미소장
68 Levy, Jack S. 1989. “The Diversionary Theory of War: A Critique.” in Manus I. Midlarsky (ed). Handbook of War Studies. Boston: Unwin Hyman, 259-288. 미소장
69 Memoranda of Conversation. 1979. President Jimmy Carter,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 Hee et al. (June 30). Secret https://nsarchi ve.gwu.edu/document/22882-document-08-memoranda-conversation-president(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70 Oakes, Amy. 2012. Diversionary War: Domestic Unrest and International Conflict. Redwood C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71 Parkes, Harry Smith. 1883. “조선의 정세에 관한 Aston의 Memorandum 발송.”http://contents.nahf.or.kr/search/itemResult.do?levelId=gk.d_0007_1550&setId=273778&position=0(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72 Telegram From the Embassy in Korea to the Department of State. December 2, 1971. https://history.state.gov/historicaldocuments/frus1969-76v19p1/d117(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73 Tilly, Charles. 1985. “War Making and State Making as Organized Crime.”in Peter R. Evans, Dietrich Rueschemeyer, and Theda Skocpol (eds). Bring the State Back 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74 『고종실록』 19년 8월 5일 무오. 미소장
75 『광해군일기』 [증초본] 11년 4월 8일 신유; 4월 9일 임술; 4월 11일 갑자; 12월 22일 신미/ 13년 6월 6일 병자/ 15년 3월 14일 갑진. 미소장
76 『근대한국국제정치관자료집』. 2012.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77 『순조실록』 2년 4월 10일 경술. 미소장
78 『승정원일기』 고종 5년 10월 25일 무진/ 고종 7년 3월 7일/ 고종 10년 10월 25일 경자; 11월 3일 무신; 11월 11일 병진/ 고종 13년 1월 27일 기미/고종 18년 4월 2일 계사; 4월 3일 갑오/ 고종 18년 윤7월 8일 무술; 7월 20일 경술/ 고종 19년 6월 12일 임오/ 고종 33년, 1월 1일(음 2.13). 미소장
79 『인조실록』 1년 3월 21일 임자/ 8년 3월 11일 신묘/ 14년 2월 21일 병신; 9월 5일 병오; 11월 8일 무신; 11월 15일 을묘; 11월 16일 병진/ 15년 2월9일 신묘. 미소장
80 『증보역주 遲川先生集 II』. 2008. 서울: 선비. 미소장
81 『瓛齋先生集』. 한국고전DB 수록 https://db.itkc.or.kr(최종검색일: 2022/07/30). 미소장
82 『興宣大院君史料彙編 2』. [일본외교문서] 2005. 서울: 석파학술연구원. 미소장
83 경향신문. 1969/07/23. “개헌문제로 사대 논쟁.” 미소장
84 경향신문. 1971/04/15. “후보접전, 안보논쟁으로 가열.” 미소장
85 매일경제. 1971/12/06. “국가비상사태선언.” 미소장
86 매일신보. 1945/10/18. “이승만, 환국 제1성으로 전국민이 대동단결할 것을 방송.” 미소장
87 매일신보. 1945/11/6. “이승만, 독촉 결의서에 대한 조공과의 차이점 등에 관해 기자회견.” 미소장
88 민중일보. 1945/12/30. “오천년 피가 설레여! 사십년간 원한 새롭다.” 미소장
89 서울신문. 1945/12/21. “이승만, ‘공산당에 대한 나의 입장’ 방송.” 미소장
90 자유신문. 1945/11/20. “이승만, 임정 환국과獨促 지방조직 등에 관해 언급.” 미소장
91 자유신문. 1946/03/21. “스튀코프 대표의 개회인사: 조선민주정부의 수립은 莫府 외상회의 결정에 따라 적극적으로 원조.” 미소장
92 중앙신문. 1946/01/01. “원단의 결의는 탁치 배격!!” 미소장
93 중외신보. 1946/08/07. “合黨問題에 對하야 朝共中委一部黨內聲明.”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