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마인드맵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배경지식과 도식적 마인드를 활성화시키는 수단이기 때문에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에 유용하다. 본고의 목적은 마인드맵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술적 작문 교육을 받지 못한 학부 유학생들의 장르 지식 개발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양 필수과목으로 쓰기 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 27명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작문 수업을 하면서 장르 지식을 교수하며 마인드맵을 작성하도록 요청하였다. 사후 교수 마인드맵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보고서, 설명문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텍스트 지식이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인드맵을 구성하는 것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지식과 수사적 구성 요소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쓰기에 대한 동기 부여와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교육에서의 마인드맵 활용은 학문 목적 학습자의 장르 지식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공 언어로서의 한국어, 글로벌 자산으로서의 한국어 = Korean as a public language, Korean as a global asset 지현배 p. 1-9
직무 글쓰기의 교육 목표 구체화 연구 = A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of university basic liberal arts writing : 직무 담화공동체에 따른 장르별 글쓰기의 요구를 중심으로 임택균 p. 11-25

학위논문 초록에서의 다단어단위 연구 : Study of multi-word units in the abstracts of theses/dissertations : focused on the disciplinary variation / 전공 간 변이를 중심으로 윤새롬 p. 27-40

책임에 초점을 둔 정치 언어 교육의 방향 고찰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olitical language education with a focus on responsibility 박주형, 구영산 p. 41-55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역사 교수·학습 방안 :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history for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the TV documentary ‘History Channel e’ / TV 다큐멘터리 '역사채널e'를 중심으로 상명식 p. 57-72
교양글쓰기 수업 내 규범 교육의 위상 : The position of prescriptive grammar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writing class :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grammar awareness / 규범 인식의 확장을 중심으로 김남미 p. 73-86
메타버스 서비스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etaverse service characteristics on continuance use intention : a task-technology fit perspective / 과업기술적합성 이론을 중심으로 강성배 p. 87-98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 A study on beginner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metaverse : focusing on metaverse platform ZEP / 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중심으로 이바른, 최은경 p. 99-115
스펙 사전을 활용한 직무 바퀴 연구 : A study on job wheel using specification dictionary : focu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 정보기술 중심으로 이종화, 윤지혜 p. 117-130

OTT 시청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분석 : A study on watching motivation and watching satisfaction of OTT : focusing on Korean original drama / 한국 오리지널 드라마를 중심으로 임훈 p. 131-145
Rasch 모형을 적용한 문항분석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 The item analysis using the Rasch model and DIF detection : based on the 2021 physics certification exam level 1-2 / 2021학년도 물리인증제 1-2급을 바탕으로 안선영 p. 147-159
메타버스 영어토론학습에서 교육적 기능과 학습자의 충성도 간의 학습자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medium effect of learners’ satisf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factors and the learners’ loyalty in the metaverse debate education 임주영 p. 161-175
영문학 고전을 활용한 고전읽기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general education using classic English novels : focusing on Seoul Theological University's <H+Reading Classics and Debate> / 서울신학대학교 <H+고전읽기와 토론>을 중심으로 안동현, 김진경 p. 177-195
대학생의 문학 고전 텍스트 읽기-쓰기 활동의 효과성 검증 =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reading-writing activities of literature classical texts of college students 이효숙, 권영애 p. 197-208
마인드맵을 활용한 학부 유학생의 장르 지식 발전에 관한 연구 = Using a mind map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enre knowledge of undergraduate students 최주희 p. 209-223

동영상을 활용한 발표 능력 향상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presentation skills using video : 자가 점검 피드백을 중심으로 김영학 p. 225-236
교양교육 팀 기반 학습에서의 기여도 평가 : Assessing contributions in team-based learning in a class of general education : focusing on self-evaluation and peer review /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정윤희, 김미선, 유경애 p. 237-248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 논의 : Discussion of the purpose and role of the undergraduates’ extra-curricular : focused on expert Delphi survey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연 p. 249-264
공적 감정의 함양을 위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읽기 = Reading 'A Dwarf launches a Little Ball' for cultivation of public emotions 류동규 p. 265-277
1930년대 고전 서사의 근대적 리텔링 양상 : Modern retelling aspects of classical narratives in the 1930s : focused on the Hongdo narrative / 홍도 서사를 중심으로 신태수 p. 279-291
1930년대 심훈 장편소설의 사회민주주의적 은유와 상징 = The social democratic metaphor and symbol of Shim Hoon's long novel in the 1930’s 박장례 p. 293-306

1960년대 과학소설의 젠더와 이상사회에 대한 사고실험 : Thought experiment about gender and utopia in the 1960s’ science fiction : in cases of Left Hand of Darkness and The Perfect Society / 『어둠의 왼손』과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손나경 p. 307-322

바슐라르 4원소 이미지로 본 영화 속의 '가족' 연구 = A study of ‘family' in the film seen through the image of the four elements of Bachelard : 「노매드랜드」와 「미나리」를 중심으로 심영덕 p. 323-335
증언문학에서의 서사적 재현과 환상의 역능 : Narrative representations and the power of fantasy in testimony literature : focused on novels on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 일본군 '위안부' 소설을 중심으로 이숙 p. 337-351

도시 속 예술을 통한 '창의적 장소만들기' : Toward an art-based creative city space : the case of Camp Bosan Graffiti, Dongducheon / 동두천 캠프보산 그래피티를 중심으로 박미현, 현은정 p. 353-373

경상남도 창원시 공공미술 조각작품의 손상 현황과 보존 방안 = Damage condition and conservation method of public arts sculpture in Changwon Gyeongsangnamdo 이젬마 p. 375-384
뮤지엄 시어터(Museum theatre)개념을 적용한 공연장 공용 공간 전시 연구 = A study on the exhibition of public space in performance hall applying the concept of museum theater : 다큐멘터리 음악극 <1919 필라델피아>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허보경, 이민, 이주현, 홍유진 p. 385-404
장발의 작품에 나타난 보이론 미술의 조형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euron art in the paintings of Chang Bal 윤인복 p. 405-420
브뤼헐의 종교화에 나타난 저항의 소리풍경 연구 = A study on the soundscape of resistance appeared in Bruegel's religious paintings 노시훈 p. 421-435
온라인 기초조형 교육 서비스의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 The preliminary study on possibility of online art and design education service : 기초조형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서연, 반영환 p. 437-449
송진우의 국제지역 인식과 국가건설 사상 = Song Chin-woo’s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landscape and thoughts on state building 양준석 p. 451-469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 변화의 결정요인 = Determinants of changes in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최홍철, 유재언 p. 471-488
복현1동 피란민촌의 빈곤화와 사회적 배제 = The social exclusion and pauperization of refugees village in Bokhyeon 1-dong 정은경 p. 489-505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 전라남도 농촌 직물 유통의 변화 :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rural textiles in Jeollanam-do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 focusing on Naju, Hwasun, and Damyang / 나주, 화순, 담양 지역을 중심으로 최승연 p. 507-518

픽사 애니메이션이 표현한 미국 현대 사회 이념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the composition of current American social ideas expressed by Pixar Animation : centered on the psychological journey of the characters in the animation Soul / 애니메이션 <소울(Soul)>을 중심으로 오벽랑 p. 519-528
금융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MZ세대 세분화 연구 = A study on the segmentation of MZ generation by financial lifestyle 장수민, 반영환 p. 529-542
원장 전문성과 유아교사 놀이지원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기관 조직효과성의 매개효과 = Mediation effect of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institu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principal and play support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김미자, 김혜순 p. 543-561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전환 대학(LiFE) 학습성과, 만족도에 대한 대학 선택요인 영향력 연구 : A study on influences of LiFE selection factors : focusing on the social support's moderate effect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현용 p. 563-575
교사의 심리적 딜레마에 대한 원인 탐구 : A study on causes of teacher’s dillema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rough art therapy program /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현정 p. 577-591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 어머니 애착, 자아탄력성과의 영향관계 탐색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ubjective happiness, mother's attachment, and ego resilience on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동욱 p. 593-606
대학생의 마음챙김 교양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indfulness medit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정재원 p. 607-622
시각장애인 음악가의 사회적 성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social growth experience of musician with visual impairment 이상재 p. 623-637
사기(沙磯) 이시원(李是遠)의 여성인식 연구 = A study of Saki Lee Si-won's perception of women 김수현 p. 639-650

장르글쓰기 활동을 통한 EFL학습자의 쓰기와 인식 연구 : Th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on EFL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nd attitude of English writing and English learning / 영어쓰기 능력과 쓰기 및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윤희정 p. 651-664
두 세계의 여성과 재난 : The women and disaster in the two worlds : Antigone and Antigone of the movie, 2019 / 『안티고네』와 영화 <안티고네> 우승정 p. 665-676
한문·한글 기록 비교를 바탕으로 한 고전 문화 교육의 필요성 : 한문본 『연기(燕記)』와 한글본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자료를 바탕으로 조성윤 p. 677-689
칸트의 취미판단 이론에 기반을 둔 무용 감상 = Dance appreciation based on the theory of Immanuel Kant, “judgements of taste” 김스완 p. 691-701
대중가요에서의 도시 인식과 정서 표현 : The perceptions of cities and the expressions of emotions in popular songs : with a focus on lyrics in Cho Yong-pil's songs / 조용필 노랫말을 중심으로 허영진 p. 703-715
지식재산기반의 뷰티디자인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 A study on the extracurriculum program of intellectual property-based beauty design 표연희, 전연숙 p. 717-728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활용한 대중음악 마케팅 사례와 홍보 효과 : Examples of popular music marketing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nd its promotional effect : focusing on Instagram, YouTube, and TikTok /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중심으로 정민희, 한경훈 p. 729-744
젠더화된 트라우마의 전위된 스크린 기억 : Dislocated screen memory of gendered trauma : wartime rape postmemory in Grbavica and Snowy Road / <그르바비차>(2005)와 <눈길>(2017)에서 나타난 전시강간 포스트메모리 남승석 p. 745-761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Research to secure core competency system and feasibility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헌철, 김수동 p. 819-840
과 <엄마 까투리>의 분석을 중심으로"> 매 에피소드 새로운 게스트 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캐릭터 성격 설정과 사용전략 : Character personality and usage strategies for the animated series featuring new guest characters in each episode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Octonauts" and "Mom Katuri" / <바다 탐험대 옥토넛>과 <엄마 까투리>의 분석을 중심으로 전민석 p. 851-864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서유기』 번역필사본 연구 = A study on translated manuscript of "Journey to the West" from the Suncheon Silib Ppuligipeunnamu Museum 김영 p. 865-879
권정생의 『랑랑별 때때롱』에 나타난 생태 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of Kwon Jeong-saeng's Daedaerong From Rangrang Star 송태현 p. 881-891

전설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 연구 = A study on storytelling education using legend 윤인선, 오세정 p. 893-907
근대 신문자료를 통해 본 기생의 예술활동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activities of Gisaengs through modern newspaper data 양지선 p. 1003-1018

학교급별 베트남어 능력 평가지표 및 출제지침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Vietnamese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criteria and questionnaire guidelines by school level : focusing on the Vietnamese middle school curriculum / 베트남어 중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구본석 p. 1019-1030
영어 단어 학습법 효과 검증 :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various English word learning methods : focused on simple memorization, keyword method, and visual storytelling / 단순암기법, 핵심어기법, 이미지텔링법을 중심으로 이홍재 p. 1031-1044
사적 공간에서 드러나는 언캐니의 특성과 사례연구 =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ies of the uncanny in private space 강정윤, 강태환 p. 1045-1056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더 크게 알아주는 사람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가? = Do people prefer someone who is more aware of their emotions? 이은지, 권은아 p. 1073-1082
학술지 『한국극예술연구』와 텔레비전 드라마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and television drama : focusing on quotation of lines/scenes in research on television drama /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의 대사/장면 인용을 중심으로 박노현 p. 1119-1133
학습자중심교육의 실행을 위한 학생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 focused on th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 기초교양교육을 중심으로 전종희 p. 1135-1151
다문화 가정 지적장애 한 아동을 지원한 실무자 3인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Support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ree practitioners 이선화, 김현숙 p. 1187-1201
한국어 교재 자가 평가 분석 = Analysis of self-evaluation in Korean textbooks 김원경, 구민지 p. 763-775
코로나 시대의 팟캐스트 장르와 사회적 이슈 간 관계성 고찰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odcast genres and social issues during Covid 19 era : 2020년~2021년 팟빵 '장르별' 월간 순위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유진희, 김치호 p. 777-791
가상공간을 활용한 공연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performance applying a virtual space : focusing on the <Lucid Dream> which applied MR / MR을 적용한 작품 <루시드 드림>을 중심으로 이정연 p. 793-803
타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조선 : Chosun as seen from the other's eyes : focusing on James S. Gale's 『Korean Sketches(1888-1897)』 / 제임스 S. 게일의 『조선, 그 마지막 10년의 기록(1888-1897)』을 중심으로 김민아, 주혜림 p. 805-817
역할 창조를 위한 미카엘 체홉 테크닉의 활용 = The use of the Michael Chekhov technique to create a role 김규진 p. 841-850
최진영 『해가 지는 곳으로』 공간성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ity of Choi Jinyoung’s “Where the Sun Goes” : focusing on specialities as representative of Korean post-apocalypse novel / 한국형 포스트-아포칼립스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형영 p. 909-918
한국 네일매거진 표지디자인의 네일아트 표현기법 및 색채분석 :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 and color analysis of Korean nail magazine cover design : focusing on domestic Nailpia magazine / 국내 네일피아(Nailpia)를 중심으로 최지은, 조한솔 p. 919-935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using digital storytelling 김진욱, 송동근 p. 937-948
글로벌 서비스러닝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변화 탐색 : Exploring learners' experiences and changes in global service learning : focusing on the S women's university case / S여대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리, 박인심 p. 949-965
서영은의 소설에 나타나는 나르시스적 동성애 : Narcissistic homosexuality in Seo Young-eun's novel : focusing on “Her Women” / 『그녀의 여자』를 중심으로 곽정미 p. 967-981
(하버마스와 드워킨으로) '나라다움'의 개념 만들기 : A concept-building of ‘state-likeness’ with Habermas and Dworkin : do the legitimacy of constructing a legal system and the integrity of its operation in a country meet sufficiently the civic request for a state-like state? / 한 나라에서 법체계 구성의 정당함과 작동의 온전함은 '나라다운 나라'에 대한 시민적 요청에 충분히 부응하는가? 남성일 p. 983-100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유아교사의 이미지 탐색 = Searching for images of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중심으로 김지영, 윤진주 p. 1057-1071
19세기 후반 ~ 20세기 후반 정치적 격변에 따른 건축문화 유산 재건의 경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ndency of reconstruc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political turbulence in the late 19th to late 20th centuries 정지원 p. 1083-1098
정신분석학과 음양론의 성격에 관한 연구 = A psychological on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analysis and yin-yang theory 최윤희, 김태완 p. 1099-1117
들뢰즈의 사유를 통한 이론적 결정화 : Theoretical crystallization through Deleuze’s thinking :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becoming-child(ren) and becoming-teacher/researcher / 어린이-되어가기와 교사/연구자-되어가기의 의미 재구성하기 박건령 p. 1153-1164
아이돌 그룹의 색 트랜드를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구현 기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ail art design implementation technique applying the color trend of idol groups 박소현, 권기한 p. 1165-1176
외국인의 출신국 내 체제별 차이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nfluence of different systems in foreigner’s home country on crime 신재헌 p. 1177-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