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한국 서울 체류와 중국 옌볜 체류를 중심으로 오무라 마스오의 동아시아 이동에 주목하여 그가 조선문학을 탈중심화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오무라의 문학적 실천은 냉전 동아시아 정치 질서의 변동과 연동되어 있었다. 오무라는 일본의 중국학의 전통에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일본과 중국 양자 구도가 누락한 조선어와 조선문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문학 텍스트를 일국문학사의 관점에 한정하지 않고, 동아시아의 주체와 언어가 교차하면서 어긋나는 별자리 가운데 텍스트를 배치하여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오무라는 1972년 서울에 체류하였고, 1985년 옌볜에 체류하였다. 서울 체류를 통해 오무라는 한국 민중의 구체적인 삶을 관찰하는 한편, 식민지의 경험을 가진 한국의 후식민지 주체를 만나고, 그들과의 공유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옌볜 체류를 통해 그는 개혁개방기 옌볜의 현실과 민중의 구체적인 삶을 관찰하고 그것을 존중하였다. 또한 오무라는 옌볜에서 작가 김학철을 만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는 이념형을 발견하는 한편, 일본어라는 제국의 언어를 통한 ‘진리’의 역설적 공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는 옌볜에서 윤동주와 관련된 사적과 문헌을 발견하였고, 귀국 후 일본에서도 윤동주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는 윤동주의 자료와 텍스트를 커먼즈로 개방하였으며, ‘공통의 부’로서 학술지식과 번역에 근거하여 동아시아 공통 텍스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오무라는 주변부 민중의 삶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주체, 언어, 텍스트 이동의 별자리 가운데 조선문학을 재정위하였다. 오무라의 동아시아 이동은 동아시아의 근대가 가진 역사적 경험에 근거한 한국문학의 탈중심화라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K생'의 그늘 : The shadow of 'T·K' : 「Communication from Korea」 and the transnational public forum / 「한국으로부터의 통신」과 트랜스내셔널 공론장 허병식 p. 9-37
냉전의 한가운데 루이제 린저라는 거울 : In the middle of the Cold War, a mirror called Rinser Luise : centered on Rinser Luise's travelogue to the North and South Korea / 루이제 린저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손혜민 p. 39-62
김학철과 윤동주 : Kim Hak-cheol and Yoon Dong-ju : Omura Masuo's move to East Asia and decentr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 오무라 마스오의 동아시아 이동과 한국문학의 탈중심화 장문석 p. 63-114

시로 쓴 병자호란 체험담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Byeongjahoran composed of Jo Moon-soo's poems / 조문수의 남한산성 호종과 한시를 중심으로 김일환 p. 115-146
1910년대 미국시 수용과 공리주의 시 인식 : Acceptance of American poetry in the 1910s and the utilitarian perception of poetry : with a focus on the acceptance of Longfellow in T’aesŏmunyeshinbo / 『태서문예신보』의 롱펠로 수용을 중심으로 박슬기 p. 147-175
한국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기억 : Another memory of the Korean War : focusing on Kim Dal-soo's "Son Yeong-gam" / 김달수의 「손영감」을 중심으로 이시성 p. 177-204
전후 북한 지식인의 독일 방문과 국제교류 경험 : On North-Korean intellectual's visit to Germany [Deutsche Democratsche Republik] and his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xchange : Cho, Ryoung-chul's [Trip to Deutschland (독일기행)] / 조령출의 「독일기행」 유임하 p. 205-234
강태수 문학과 동토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실존적 고뇌 : Kang Tae-soo's literature, ideology of the east, and existential anguish : based on his self-narrative, At the Arkhangelsk Concentration Camp in the Soviet Union / 자기서사 『소련 아르한겔스끄 수용소에서』를 중심으로 김환기 p. 235-262

유신(維新) 체제와 새로운 몸(維身)으로 거듭나기 : Reborn with a new body : farmers, long-hair, schoolgirls : focusing on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 the 1970s and 1980s / 농민, 장발족, 여학생 : 하근찬의 1970~8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신현아 p. 263-303
살아남아 집에 갇힌 남자 : The man trapped in his house : 'prison of careness' and the male subject without mobility in Park Wan-seo's novel The Poor Year of the City / 박완서 소설 『도시의 흉년』에 나타난 돌봄의 감옥과 이동성 없는 남성 주체 유인혁 p. 305-346

낭만주의 과학, 광속여행, SF : Romantic science, a light-speed trip, SF : focusing on Kim Bo-young's People Going to the Future / 김보영 『미래로 가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서희원 p. 348-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