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梅泉 黃玹의 문집에 「題海石詩卷」이라는 3수의 시가 전한다. 이 시에서 매천은 『해석유고』의 작자에 대해 매우 높이 평가하였지만 이 시의 평가 대상인물에 대해 최근까지도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해석이란 호에 근거하여 작자를 조선후기 이름난 정치가이며 문인인 해석 金載瓚으로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시집의 작자는 전라도 곡성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李相勉(1870-1921)이다. 그는 호가 해석이고, 자는 益瑞이며, 본관은 星州이다.
그가 남긴 시는 『해석유고』에 전하는데, 이 책은 이상면 사후 그의 족제 李相赫에 의해 1941년 편집, 완성이 되었다. 이 책은 시작 연대순으로 편집이 되었는데, 1899년부터 1920년까지의 시 천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그가 서울의 草亭 金星圭에게 초청을 받아 함께 지내며 시를 짓기도 하고, 강원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들이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현은 이 책에 실린 일부 시에 대해 2차에 걸쳐 批圈을 행하였는데, 1차 20수, 2차 80여 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부록과 발문 등에서는 황현이 李相勉의 시를 읽어보고 평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황현은 그의 시를 보고는 “눈썹이 들썩이고 어깨를 으쓱 올리고, 조용히 노래하고 조금씩 춤을 추면서, 자기도 모르게 민간에서 말하는 바 ‘소눈깔 같은 貫珠’와 ‘쥐똥 같은 飛點’을 마구마구 베풀었다.”고 하였다. 자신이 남의 시를 평가함에 인색하여 작대기를 마구 그어대어 ‘黃作大旗’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지금부터는 여러 사람들에게 “내가 지금은 황작대기가 아니라 黃貫珠, 黃飛點이 되었다.”라고 불려야 할 것이니, 이후로 어디에서 황작대기를 찾을 것이냐고 하였다.
황현이 이상면에 대해 이처럼 극찬을 하였던 일은 이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글의 冒頭에서 언급한 「제해석시권」이라는 3수에서는 이상면의 시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첫수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아름답게 꾸몄지만 그 흔적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하였고, 두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다른 사람들의 시와는 달리 새로운 경지를 열었지만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음을 말하였고, 세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호남의 이름난 시인들인 三唐派의 崔慶昌, 白光勳 같은 시인과 맞닿아 있는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