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허혈성 뇌졸중은 뇌동맥의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폐색되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이 뇌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경 세포의 괴사를 유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연구된 허혈성 뇌졸중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심혈관 질환 및 심방세동 질환과 관련된 혈청 후보 마커를 정리하고, 각 마커의 OR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혈청 후보 마커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심혈관질환’, ‘심방세동’, ‘허혈성 뇌졸중’, ‘혈청 표지자’를 키워드로 포함하는 논문에 대한 학술 Database 검색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모두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결과로 제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마커는 NT-proBNP, D-dimer, CRP 및 GFAP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T-proBNP는 허혈성 뇌졸중의 조기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심방세동(AF)의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심방세동 표지자가 발굴되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Ischemic stroke is caused by an occlusion by a thrombus or embolus in a cerebral artery, preventing oxygenated blood from reaching the brain and causing the necrosis of nerve cells. This paper summarizes the serum candidate marker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AF) disease that enable an early diagnosis of ischemic stroke studied thus far and compares the odds ratio (OR) of each mark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size of these serum candidate markers using meta-analysis techniques. The academic database search screening for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s “cardiovascular disease,” “atrial fibrillation,” “ischemic stroke,” and “serum marker” was limited to results for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The most derived markers in this study were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D-dimer, C-reactive protein (CRP),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the rest being investigated individually. In conclusion, NT-pro-BNP appears to be very useful for the early diagnosis of ischemic stroke. Primarily, it is a marker of AF, and more AF markers will be uncovered and studied in the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Update on the taxonomy of clinically important anaerobic bacteria = 임상적으로 중요한 무산소성 세균의 분류 업데이트 Myungsook Kim p. 239-248

Blood biomarkers for Alzheimer's dementia diagnosis =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혈액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Chang-Eun Park p. 249-255

허혈성 뇌졸중에서 심혈관 질환과 심방세동을 위한 혈청 바이오 마커 : Serum biomarke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in ischemic strok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우명수, 문소라, 이지영 p. 256-264

최근 4년간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KPC-2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역학적 연구 = Epidemiological study of KPC-2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in Daejeon during a 4-year period 조혜현 p. 265-272

병원성세균에 대한 5-Aminolevulinic Acid로 중재된 광역학치료의 항균효과 = Antimicrobial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 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권필승 p. 273-278

응급수혈을 위한 비예기 항체의 국내·외 실태조사 =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expected antibodies for emergency blood transfusion 황원주, 이상희, 박창은 p. 279-284

한국, 일본, 미국 안과검사인력의 현황 = Current status of ophthalmic optometry laboratory personnel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전옥환, 박준범, 김대진, 김대은, 문철, 구본경 p. 285-292

코로나19를 통해서 바라본 체외순환사의 역할과 임상병리사 : The role of perfusioni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 comparison of training system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일본과 미국의 양성체계를 비교 엄동옥, 김대진, 김대은, 김명수, 구본경 p. 293-297

파킨슨씨병 유발물질인 황산철로 손상된 배양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물매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Antioxidative effects of Parnassia palustris L. extract on ferrous sulfate-induced cellular injury of cultured C6 glioma cells 서영미, 양승범 p. 298-306

Animal models for the study of post-micturition dribble in aged male = 고령 남성의 배뇨 후 요실금 연구를 위한 동물 모델 Seung Hwan Jeon, Mi-Young Park p. 307-315

Genetic variants of CYP11B2 and CYP1A1 among the North-Indian Punjabi female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Ratneev Kaur, Mandeep Kaur, Sukhjashanpreet Singh, Tajinder Kaur, Anupam Kaur p. 316-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