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물리기반 분포형 수문 모형과 딥러닝 기반 LSTM 모형을 활용한 충주댐 및 소양강댐 유역의 미래 수자원 전망 = Prospect of future water resources in the basins of 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using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and a deep-learning-based LSTM model / 김용찬 ; 김영란 ; 황성환 ; 김동균 1

Abstract 1

요지 1

1. 서론 2

2. 재료 및 방법 2

2.1. 연구대상지역 2

2.2. 관측 기상자료 3

2.3. 댐 수문자료 3

2.4. 모형 구축 과정 3

2.5. VIC 모형 3

2.6. LSTM 모형 4

3. 기후변화 적용방법 4

4. 결과 및 고찰 5

4.1. 모형 검·보정 5

4.2. 미래 유입량 변화 분석 5

4.3. 미래 방류량 분석 7

4.4. 미래 저수량 분석 8

5. 결론 9

References 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광역 고해상도 홍수모의를 위한 2차원 모형의 GPU 가속기법 개발 및 실행시간 평가 = Development and run time assessment of the GPU accelerated technique of a 2-dimensional model for high resolution flood simulation in wide area 최윤석, 노희성, 최천규 p. 991-998

보기
물부족 지역에서 샌드댐 설치에 의한 장기 물공급 개선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long-term water supply improvement by the installation of sand dams in water scarce areas 정일문, 이정우, 이정은, 김일환 p. 999-1009

보기
해수침투 해석해 기반 제주 동부 담해저 지하수 유출의 정량적 산정 = Assessment of a fres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eastern Jeju Island using analytic seawater intrusion models 김일환, 장선우 p. 1011-1020

보기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유황 변화 분석 = Flow duration change in downstream of reservoir by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최영제, 박문형 p. 1021-1030

보기
수문학적 관점에서의 지반 변위 분석 : An analysis of land displacements in terms of hydrologic aspect : satellite-based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s / 인공위성 강우데이터와 지하수위 연계 오승철, 김완엽, 강민선, 윤홍식, 양정석, 최민하 p. 1031-1039

보기
1차원 및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활용한 안동댐 하류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및 어류서식처 추정 =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and fish habitats for Andong Dam downstream reach using 1-D and 2-D physical habitat models 김용원, 이지완, 우소영, 김수홍, 이종진, 김성준 p. 1041-1052

보기
지점 강수량과 내삽기법을 이용한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의 오차 분석 = Error analysis of areal mean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ground gauge precipitation and interpolation method 황석환, 강나래, 윤정수 p. 1053-1064

보기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김기흥 p. 1065-1076

보기
대학 캠퍼스 유역의 물순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water cycl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campus catchment : focusing o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mprovement in Mt. Gwanak catchment / 관악산 유역 잠재증발산량 개선을 중심으로 김현주, 김영오 p. 1077-1089

보기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침수가 도시교통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예측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edict the impact of urban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on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정세진, 허다솜, 김병식 p. 1091-1104

보기
강우레이더 강수량 관측의 공간적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A study on spatial error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estimation of rainfall radar 황석환, 윤정수, 강나래 p. 1105-1114

보기
물리기반 분포형 수문 모형과 딥러닝 기반 LSTM 모형을 활용한 충주댐 및 소양강댐 유역의 미래 수자원 전망 = Prospect of future water resources in the basins of 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using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and a deep-learning-based LSTM model 김용찬, 김영란, 황성환, 김동균 p. 1115-1124

보기
Sentinel-1 SAR 위성영상의 위상차분간섭기법(DInSAR)을 이용한 적설심의 공간분포 추정 =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now depth using DInSAR of Sentinel-1 SAR satellite images 박희성, 정건희 p. 1125-1135

보기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을 이용한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추계학적 모의기법 개발 = A development of stochastic simulation model based on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for groundwater and river water stages 권윤정, 원창희, 최병한, 권현한 p. 1137-1147

보기
겨울철 강설 실내외 실험을 위한 성능 시험 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selection of performance test conditions for indoor and outdoor experiments of snowfall in winter 김병택, 인소라, 김상조 p. 1149-1154

보기
하천 환경 관리 실효성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Improvement of river environment management effectiveness 여홍구, 강준구 p. 1155-1163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