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두려움이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nfluencing factor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김남영 p. 1-11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진로포부, 학업 스트레스가 간호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resilience, career aspirations, and academic stress on nursing personality 조영문, 최명심 p. 13-24
COVID-19 전⋅후 초등과학 평가 실태 분석 및 블렌디드 러닝 상황에서 평가 방법 제안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suggestion of evaluation methods in the blended learning situation : focusing on portfolio and rubric / 포트폴리오와 루브릭을 중심으로 심예지, 박일우 p. 25-46
대학생들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봉사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service program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신민주 p. 47-59
가상 시뮬레이션 분만간호 교육의 효과 = Effects of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on labour and delivery care 유영란 p. 61-72
현실치료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내외적통제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ctual treatment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internal control, and happiness of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나복영 p. 73-87
부부 상호관계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용의 부부 상호관계와 의사소통 증진, 부부 갈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art therapy programs to promote couples'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on couples' conflict and happiness 박종환, 최남순 p. 89-113
경쟁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성별 간 다집단분석 함영난 p. 115-129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시론적 탐색 =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alternatives of the 2022 revision draft of nation-wide middle school curriculum 조용, 홍후조 p. 131-146
간호대학생의 자기성찰 및 통찰력, 대인관계가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insigh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한미영 p. 147-157
국내 간호교육에 적용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주제범위 문헌고찰 = Design thinking applying nursing educations in Korea : a scoping review 이정 p. 159-169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정맥주사 수행자신감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intravenous injections in senior nursing students 이한나 p. 171-181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간호대학생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 Factors associate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VID 19 pandemic : foc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효능감, 학업소진을 중심으로 최순옥, 박언아 p. 183-195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mother’s percep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신남주 p. 197-20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진로상담 관련 국내 연구 동향(2015~2022) 분석 =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on career counseling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2015~2022) 신주랑 p. 209-222
향토민요를 활용한 초등 국악교육 지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Gukak education using local folk songs : focusing o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of Eumseong-gun <Kiwa Palkki Song> / 음성군 전래동요 <기와밟기 노래>를 중심으로 권혜진 p. 223-23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조하나, 박현주 p. 237-251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의사결정 유형이 임상의사결정 자신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decision-making type on self-confidence and anxiety with clinical decision making of nursing students 장은희 p. 253-265
인공지능(AI) 기반 적응형 학습을 적용한 토익수업의 학업성취 효과 및 영향요인 = The effect of TOEIC classes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fluencing factors 김명희, 유영의 p. 267-280
대수 영역에서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증명 특성에 관한 비교 = Comparison of proof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lgebra 홍영석, 손홍찬 p. 281-299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된 경험연구 문헌분석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metaverse platform in educational contexts 조희수, 하지은, 허열 p. 301-315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수행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의사소통불안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hand-over education using PASS-BAR on handover performance competency, learning self-effectiveness, major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nursing students 양희모, 김연정 p. 317-328
국제 학업성취도 TIMSS를 활용한 우리나라 청소년 과학 성취도의 영향요인 탐색 =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youth science achievement in Korea by TIMSS 2019 최진수, 정혜원 p. 329-342
고등학생 논설문 감성 표현과 글 수준의 상관관계 연구 = A correlation between sentiment expression and writing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persuasive text 정분의 p. 343-359
교원연수 성과평가 설문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ing a scales for evaluating teacher education outcomes 김동심, 하영자, 정유진 p. 361-379
SME 혁신기술인력의 성장경로와 계속학습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grow path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of SMEs innovative technical manpower 이경미 p. 381-400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코로나19 사회적 불안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VID-19 social anxiety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 mediating effects of post-COVID-19 work performance factors / 코로나19 이후 근무수행 요인의 매개효과 권정윤, 조혜영, 송숙진 p. 401-412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만족 경험 탐색 : Exploring students’ satisfaction of a blended learning in simulation practicum based on ERG theory during COVID-19 pandemic / ERG 이론 접근으로 이지혜, 한미라, 서현영, 최윤아, 이은영 p. 413-426
유아가 마주치는 그림책 놀이공간의 기호를 통한 배움의 의미 = The meaning of learning by young children’s encountering the signs in picturebook play spaces 조부자, 권민균 p. 427-447
만혼 여성의 어머니 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otherhood of late married women 신은녀 p. 449-470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 주도성 기반 플립러닝 모듈의 개발 및 적용 연구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module based on learner agency for pre-service teachers 성미영, 권유진 p. 471-486
한국판 집단 내 심리적 학대 경험 척도(K-PAEGS)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logical Abuse Experienced in Group Scale (K-PAEGS) 최영진, 김경은 p. 487-503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소규모학교 언론 담론 분석 = Media discourse analysis in small schools using text mining 김현수, 이재창 p. 505-528
유아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 enactive cognition perspective / 행화주의적 관점에서 제희선 p. 529-548

국내 코로나스트레스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COVID-19 stress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20 to 2022 /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연구 중심으로 박봉환 p. 549-557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문다슬, 김현수 p. 559-570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 on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uicide risk : focused on quality indicators / 질적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박애실 p. 571-585
대학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행동조절, 인지된 성취도 간 직⋅간접적 예측관계 =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behavior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a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한정선 p. 587-600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education for fathers and improvement plans in Childcare Support Center 이숙희 p. 601-625
한국 노년기 성인의 역량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 The needs analysis on adult competen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장은하, 조대연 p. 627-646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childhood play experience =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기 놀이경험에 따른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 차이 연구 Yang Yujin, Lee, Kyoung-Jin p. 647-663
학습자 상호작용 강화 I4MAT 모델을 활용한 융복합 수업의 설계 및 적용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class based on I4MAT model focusing on learners’ interaction 윤회정, 방담이 p. 665-678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실태 조사 및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he university's competency-based curriculum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선 p. 679-699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요인과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of school interrup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김진영 p. 701-714
학습선택권 기반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지원대상학생의 분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learning options on achievement in fractions among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s 김윤아, 김소희 p. 715-739
어린이집 만 2세 교사들의 식생활 지도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teachers’ dietary guidance method of 2-year-old toddlers in childcare centers 하민경 p. 741-752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lay immersion i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임은미 p. 753-769
인지⋅정서⋅행동치료(REBT)에 기반한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sychod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dysfunctional attitude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배지석, 박경애 p. 771-787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음악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music teach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고영자 p. 789-803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practice⋅perception⋅needs of support type 정민영, 이상수 p. 805-822
비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수강 이후 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변화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shifts on social studies after taking a teacher education course from a critical perspective : 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을 대상으로 김혜영 p. 823-835
집단상담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group counseling supervision experience : focused on the intermediate-level group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 중급 집단상담자의 도움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경, 권경인 p. 837-857
개정 2015 중학교 음악과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및 음악 교과서 생활화 영역 비교⋅분석 = Revision 2015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mo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music department, basic curriculum, and daily life of music textbooks 홍미선, 곽승철 p. 859-875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케어링분위기와 교사의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자기핸디캡과 수업만족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teachers feedback on high school students’ self-handicapping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남인수 p. 877-891
코로나(COVID-19)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자의 경험 = A study of COVID-19 vaccine booster shot unvaccinated experience 손지오 p. 893-903
대학(원)생의 사회불안과 긍정 및 부정정서 경험의 관계 :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behavior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n university student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compassion / 사회적 회피 행동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연선, 양재원 p. 905-920
대학생의 요약문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summary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영 p. 921-944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on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박금주, 김세희, 서혜영, 전수진, 한태희 p. 945-953
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hoice decision, intention to change major,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in Seoul 최민아, 김지훈 p. 955-972
중첩된 세계 이해를 위한 은유와 유추 : Metaphors and in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superimposed world : the creation of perception and thinking in art education / 미술교육에서의 지각과 사고의 생성 진은정 p. 973-987
60대 초반 기혼여성의 '잘 늙어감' 경험 = The experience of ‘aging-well’ in early sixties woman 김상남 p. 989-1002
유아영재 관련 연구동향 분석(2011년~2021년) =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preschool gifted children(2011~2021) 이채호 p. 1003-1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여부에 따른 교실환경, 교수효능감,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차이 : Differences in classroom environmen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3 Years(2012-2014) / 한국아동패널 3개년도(2012~2014) 자료를 중심으로 이원선, 서영숙 p. 1013-1025
아동기 부(父) 사별 및 애도 지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 autoethnography on experiences of bereavement and delayed mourning of fathers in childhood 남수경, 김명찬 p. 1027-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