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한류(韓流)는 대중문화인 음악, 예술, 패션, 드라마, 영화 등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중동과 유럽 등 세계에 크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산’인 한류 현상은 한반도가 고립되거나 고정된 공간이 아니라 동아시아 문명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와 문명이 교차하는 통공간적(通空間的)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K-Pop, K-Drama, K-Movie 등 세계인을 감동시키는 한국 대중문화와 예술은 감성적이며 예술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적 차원에서 심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하나의 민족이 발전시켜온 문화・예술의 기원은 그 민족의 역사적 조건과 상황으로부터 발원되는 것이며, 그 역사적 조건의 핵심은 종교적 정신문화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한국의 문화·예술은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종교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그리스도교, 유교, 불교 등 대부분의 세계종교와 근현대 이후 발생한 민족종교, 토착신앙 등 다원적인 종교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류(韓流)의 세계화 현황과 미래지향적 과제에 대해 한국 민족종교의 입장에서 논하고자 한다. 첫째,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한류의 원천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조명하고자 한다. 둘째, 현재 세계적으로 파급되고 있는 한류의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셋째, 한류의 미래 지향적 과제로 반한류의 기류를 극복할 수 있는 보편적 공공성 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이는 한류의 다변화를 통한 강대국의 문화제국주의적 성향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또한, 대중문화 한류를 보다 심층적으로 한국문화 전반에 걸친 심층적 종교문화에 대한 국내외 확산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류는 평화적 상생문화를 세계에 확산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 세계인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Korean wave,’ also known as Hallyu, has been spreading widely not only in East Asia, but also in the Middle East and Europe, centered around popular culture including music, art, fashion, drama, and film. The phenomenon of Hallyu as it relates to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ns" has not been formed from an isolated or fixed spatial perspectiv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from a trans-spatial perspective where various cultures and civilizations of modern society, including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East Asian civilizations intersect.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that impress people around the world, such as K-Pop, K-Drama, and K-Movie, need to be deepened at the level of the humanities besides the emotional and artistic level.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culture and art developed by a nation originates from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nd the core of such historical conditions may involve religious-spiritual culture. In particular, Korean culture and arts have a complex and multi-layered religious-historical background; even today, they embrace most of world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well as pluralistic religious cultures such as indigenous beliefs from ancient times and ethnic religions that have emerged in Korea since modern tim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global spread of and future-oriented tasks of Hallyu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thnic religion. First, the question of how the root of Hallyu in East Asia evolved historically was determined.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henomenon of Hallyu spreading worldwide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ird, considering the future of Hallyu, the importance of a culture with universal publicness that may overcome anti-Korean-wave sentiment was highlighted. This may be also a way to overcome the tendency of cultural imperialism, such as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great power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he Korean Wave. In addition, rather than the Korean wave of popular culture, the systematic spread of an in-depth religious culture throughout Korean culture is needed at home and abroad. The Korean wave will be able to gain the support of people worldwide if Korea's spiritual culture of peaceful coexistence spreads throughout the worl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근대 동북아 종교 범주로서의 교(敎) = On the categories of religion in pre-modern Northeast Asia 한승훈 p. 9-36
사회적 상상으로서 동북아시아와 종교 = Northeast Asia as the social imagery and religion 박일준 p. 37-73

포스트소비에트시기 러시아 정교와 민족주의 = Russian Orthodox Church and nationalism in the post-Soviet era 문준일 p. 74-115
한류(韓流)의 세계화 현황과 미래지향적 과제 : Global spread status of Korean wave and tasks for the future :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national religion / 한국민족종교의 입장에서 박광수 p. 116-143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와 사회조사 연구 : Religion and social survey research : where we stand and where we should be headed / 현황과 과제 김현경 p. 147-173

생태종교로서의 동학의 재해석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spiritua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ism of donghak : 수운과 해월의 신관을 중심으로 김종만 p. 174-209

원불교 기후행동의 사상적 토대로서 '은(恩)' = '恩'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Won-Buddhism climate action 이주연 p. 210-240
원효와 원측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A theore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ŏnhyo and Wŏnch'ŭk : 『대혜도경종요』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분석에 기초하여 이민성 p. 241-263
명말 미켈레 루지에리의 한어 학습에 관한 논고 : A study on Chinese language learning by Michele Ruggieri in the late Ming Dynasty : focusing on the pioneering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language theology / 한어 교육사의 개척과 한어 신학의 성립을 중심으로 장시핑, 전홍석 p. 264-294
20세기 초 조선 지식인의 예치론(禮治論) : The theory of "propriety-politics" of Joseon intellectual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Jeon Byunghoon's "political philosophy" / 전병훈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이대승 p. 295-326

안씨가훈의 교육사상 :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Ahn's family precepts : focusing on Ahn's views on Confusianism an Buddhism / 안지추의 유교관과 불교관을 중심으로 이우진, 전선숙 p. 327-358
마음공부 통합모델 : Integrated model of mindful practice : focusing on three aspects of mindfulness / 마음챙김의 세 측면을 중심으로 장진영 p. 359-395

원불교 예비교무의 견성 인식과 관심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Won-Buddhist ministers-in-training's awareness and concerns about seeing one's nature 임전옥 p. 396-436
한국민족종교의 시운관과 한류 = Fortune view of Korean Minjok religions and Korean wave 이경원 p. 437-475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종실록』 미소장
2 『삼국지(三國志)』 미소장
3 『진서(晉書』 미소장
4 『후한서(後漢書)』 미소장
5 김경재. 2018. 「한국 근대화를 관통하는 변혁운동의 주악상(主樂想) 성찰-공동체 삶, 우주-신-인적 영성, 사회정치적 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종교』 제43집. 미소장
6 김광억. 1999. 「문화소통과 문화통합: 통일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21세기 민족통일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7 김성환. 2007. 「오래된 한류, 한류의 미래 ― 어디든 내리는 ‘비’와 한류의 문화사적재현성」. 『사회사상과 문화』 15집. 미소장
8 김지하 외. 1988. 『미륵사상과 민중사상』. 한진출판사. 미소장
9 노길명. 1996.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미소장
10 박광수. 2012.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서울: 집문당. 미소장
11 박영택. 2021. 「베리 부잔의 우호–적대 개념과 동북아 국가 간 갈등 원인 연구」. 『인문사회21』 12(2). 미소장
12 이양수. 2005. 「[마이클 샌들 : 논단]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삶의 가치」. 『철학과 현실』Vol 67. 미소장
13 이은봉. 1984. 『한국고대종교사상』. 서울: 집문당. 미소장
14 정정호. 2020. 「오리엔탈리즘, 탈식민주의, 타자의 문화윤리학-21세기 한국지식인을위한 추방자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 다시 읽기」. 한국영미어문학회. 『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65호. 미소장
15 정진홍. 1986. 『한국종교문화의 전개』. 서울: 집문당. 미소장
16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 1991. 『오리엔탈리즘』. 박홍규 역. 교보문고. 미소장
17 에릭 샤프. 1996[1986]. 『종교학: 그 연구의 역사』. 윤이흠·윤원철 옮김. 서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18 한국국제교류재단. 2018. 『2018 해외 한국학백서』. 서울: 을유문화사. 미소장
19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2. 『2022 해외한류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미소장
20 한스 큉(Hans Küng). 1992. 『세계윤리구상(Projekt Weltethos)』. 안명옥 옮김. 서울: 분도출판사. 1992(R. Piper GmbH & Co. MG, Munchen, 1990). 미소장
21 김신엽. 「2년만에 팬들과 직접만난 BTS…」,《매드타임스(MADTimes)》(http://www.madtimes.org/news/articleView.html?idxno=10525)(검색일 2022년 11월 26일) 미소장
22 이진원, 「2022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1위 BTS 스토리_숫자로 본 BTS·블랙핑크 파워」, 《포스브 코리아》. 2022년 4월 23일자.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35934) (검색일2022년 11월 26일) 미소장
23 한국국제교류재단KF통계센터, http://www.kf.or.kr/koreanstudies/koreaStudiesList.do(검색일 2022년 11월 26일) 미소장
24 한국지역이벤트문화연구소, 「한국과 엑스포」(1893년 시카고박람회 한국관 1900년 파리박람회 한국관에 관한 자료가 남아 있다.) http://www.spot21.co.kr/project/main.htm?pg=6 검색일: 2022년 11월 26일. 미소장
25 UC Berkele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https://ieas.berkeley.edu/cks/student-information/courses 참조. (검색일 2022년 11월 26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