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근현대 기행문학에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행문학의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고, 시공복합체로서 크로노토프가 갖는 성격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성격을 띤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기행문은 여행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글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사용하는 ‘기행문(紀行文)’이라는 용어는 근대 이후에 등장한 용어이다. 전통적으로 ‘기행문’은 여행 과정의 기록이라는 차원에서 시간 개념을 내포한 ‘기(紀)’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기행문학의 성격을 규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이 연구에서는 견문 기록과 문학적 기행문을 구분하고, 여행의 성격을 고려하여 ‘(문학적)기행문’, ‘표류문학’, ‘탐험문학’을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ㆍ중ㆍ일 견문 기록과 기행문학에 나타나는 크로노토프적 재현과 상상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기행문학의 시공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바흐친의 문학이론인 ‘크로노토프’ 개념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크로노토프는 공간적 지표와 시간적 지표가 용의주도하게 짜인 구체적인 조직망으로 기행문학의 유형에 따라 이 조직망이 갖는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기행문학의 유형별 크로노토프는 작품의 내적 구조에서의 시공간, 작품 생산의 시대적 상황 및 작가의 개성, 독자와의 관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규명해야 하며, 이는 연구자의 지속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주진 해제(1974), 「해행총재 해제」, 『국역해행총재Ⅰ』,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 3-28쪽. | 미소장 |
2 | 고연희(2000), 「조선후기 山水紀行文學과 紀遊圖의 비교연구-農淵그룹과 鄭敾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곽승미(2011), 「소년 소재 기행문 연구-글쓰기와 근대 문명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 46, 현대문학이론학회, 5-27쪽. | 미소장 |
4 | 구인모(2004), 「국토 순례와 민족의 자기구성-근대 국토 기행문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연구』 27,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28-152쪽. | 미소장 |
5 | 구자황·문혜윤 편(2011), 『창작 감상 조선어작문 학습서 –박기혁 저』, 경진. | 미소장 |
6 | 국사편찬위원회(1971), 『한국사료총서6 – 종정연표ㆍ음청사』, 탐구당. | 미소장 |
7 | 近藤坔(1943), 『支那學藝大辞彙』, 立命館出版部. | 미소장 |
8 | 김경남(2015), 「소년 사상의 형성과 소년 소재 기행문의 시대의식」, 『우리말글』 66, 우리말글학회, 241-266쪽. | 미소장 |
9 | 김경남(2018), 『시대의 창』, 경진. | 미소장 |
10 | 김경남(2021), 「지식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한국의 탐험문학 형성과 의미」, 『로컬리티인문학』 26,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81-108쪽. | 미소장 |
11 | 김경남(2022), 「한국에서의 <로빈슨 표류기> 번역 양상과 계몽의식의 자계-근대로부터 일제강점기까지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92, 우리말글학회, 201-229쪽. | 미소장 |
12 | 김기영(1999), 「金剛山 紀行歌辭 硏究」,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김미선(2019), 「선조들의 금강산 기행문학과 그 교육적 활용」, 『어문논총』 3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27-125쪽. | 미소장 |
14 | 김미정(2013), 「壺谷 南龍翼의 使行文學 硏究」,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수연(2019), 「조선후기 ‘표류’에 대한 서사적 기억과 문학적 의미 –한문 서사와 『하멜표류기』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49, 이화어문학회, 5-29쪽. | 미소장 |
16 | 김윤희(2010), 「조선 후기 사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김종철(2007), 「중세 여행 체험과 문학교육의 시각」, 『고전문학과 교육』13,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29쪽. | 미소장 |
18 | 김주부(2010), 「息山 李萬敷의 山水紀行文學 硏究 - 『地行錄』과 『陋巷錄』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김진량(2004ㄱ), 「근대 일본 유학생의 공간 체험과 표상」, 『우리말글』 32, 우리말글학회, 241-272쪽. | 미소장 |
20 | 김진량(2004ㄴ), 「근대 일본 유학생 기행문의 전개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화』 26, 한국언어문화학회, 1-17쪽. | 미소장 |
21 | 김태준(2006), 『한국의 여행문학』, 이화여대출판부. | 미소장 |
22 | 김현주(2001), 「근대 초기 기행문의 전개 양상과 문학적 기행문의 기원- 국토 기행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연구』 16, 한국문학연구학회, 95-129쪽. | 미소장 |
23 | 나병철(2018),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문예출판사. | 미소장 |
24 | 박기석(2006), 「혜초 왕오천축국전의 기행문학적 고찰」, 『고전문학과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3-58쪽. | 미소장 |
25 | 박진숙(2006), 「일제하 조선적인 것의 기원과 형성-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파기행문학의 조선 표상」, 『민족문학사연구』 31, 민족문학사학회, 64-93쪽. | 미소장 |
26 | 박진숙(2011), 「기행문에 나타난 제도와 실감의 거리-근대문학」, 『어문론총』 54, 한국문학언어학회, 119-148쪽. | 미소장 |
27 | 박찬모(2009), 「한국 근대문학과 장소의 사회학-자기 구제의 제장(祭場)으로서의 대자연 지리산-이은상의 ‘지리산 탐험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38, 현대문학이론학회, 53-85쪽. | 미소장 |
28 | 박혜경(2001), 「러시아 기행문학에 관하여」, 『아시아문화』 17,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69-103쪽. | 미소장 |
29 | 서미화·최지지·이지선(2022), 「연행록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기행문학 교육 연구-후대 연행록의 열하일기 수용 기록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과교육』 49,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95-141쪽. | 미소장 |
30 | 신춘호(2014), 「연행노정 영상 아카이브 구축 및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여홍상 역음(1997), 『바흐친과 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32 | 유길준, 이한섭 편(2000), 『서유견문』, 박이정. | 미소장 |
33 | 유정선(1999), 「18ㆍ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유협 저, 최신호 역주(1975), 『문심조룡』, 현암사. | 미소장 |
35 | 윤숙희(2009), 『크로노토프』, 시공문화사. | 미소장 |
36 | 이강은(2011), 『미하일 바흐친과 폴리포니야』, 역락. | 미소장 |
37 | 이군호(2014), 「독일 기행문학을 통해 본 타자 인식과 지기 이해-문화학과 기행문학의접목을 위한 시론」, 『헤세연구』 31, 한국헤세학회, 183-208쪽. | 미소장 |
38 | 이문희(2000), 「금강산 기행문학 연구」, 경원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李寶鏡(1910), 「文學의 價値」, 『大韓興學報』 第11號. 14-18쪽. | 미소장 |
40 | 이영경(2020), 「고전 기행문학의 공간적 소재로서의 금강산과 후지산의 상징성」, 『일본문화연구』 75, 동아시아일본학회, 261-282쪽. | 미소장 |
41 | 이지훈(2017),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의 여행서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이진경(2002),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 미소장 |
43 | 이태준(1940), 『문장강화』, 문장사. | 미소장 |
44 | 임경순(2008),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새국어교육』 79, 한국국어교육학회, 367-391쪽. | 미소장 |
45 | 임경순(2012), 「한국 근대 해외 기행문학의 양상과 의미-<삼천리> 소재 허헌의 구미기행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271-294. | 미소장 |
46 | 임상석(2018), 「대한제국기 일제 국가주의의 소설적 형상화 - 여행기 『實地探險捕鯨船』 의 한국학적 의미」, 『국제어문』 79, 국제어문학회, 243-272쪽. | 미소장 |
47 | 장덕순(1961), 「기행문학으로서의 일동장유가」, 『국어국문학』 24, 국어국문학회, 114쪽. | 미소장 |
48 | 장정수(2000), 「金剛山 紀行歌辭의 展開 樣相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장한철·김지홍(2018), 『장한철 표해록』, 지식을 만드는 지식. | 미소장 |
50 | 전일우(2005), 「『燕轅直指』의 사행문학적 성격」,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정영문(2005), 「朝鮮時代 對日使行文學 硏究- 『海行摠載』所在 作品을 中心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2 | 조명래(2013), 『공간으로 사회 읽기』,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53 | 주재우(2008), 「고전 기행문학과 경험교육-열하일기를 중심으로-」, 『고전문학과교육』 15,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9-111쪽. | 미소장 |
54 | 차혜영(2004), 「한국 근대문학의 타자와 이질언어-지역간 문명의 위계와 시각적 대상의 창안-1920년대 해외 기행문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4, 한국문학연구학회, 7-46쪽. | 미소장 |
55 | 최강현(1977), 「한국 기행문학 소고」, 『어문논집』 19ㆍ20, 안암어문학회, 709-721쪽. | 미소장 |
56 | 최강현(1980), 「한국 기행문학 소고(2)- 주로 그 기행동기를 중심하여-」, 『새국어교육』 31, 한국국어교육학회, 97-103쪽. | 미소장 |
57 | 최강현(1981), 「한국 기행문학 연구- 주로 조선시대 기행가사를 중심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8 | 최강현(1994), 『한국수필문학신강』, 서광학술자료사. | 미소장 |
59 | 최남선(1909), 嶠南鴻爪, 『소년』 제2권 제8호 45-49쪽. | 미소장 |
60 | 최남선(1916), 『신자전』, 신문관. | 미소장 |
61 | 최부, 윤치부 주해(1998), 『표해록』, 박이정. | 미소장 |
62 | 최영호(2006), 「한국인의 해양 도전 정신과 문학적 관심 - 100년 전 한국 최초의 남극탐험 소설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14, 국제비교한국학회, 227-259쪽. | 미소장 |
63 | 최재학(1909), 『실지응용작문법』, 휘문관. | 미소장 |
64 | 최해연(2016), 「20세기 초 조선인의 중국 여행기록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5 | 홍순애(2013), 「1910년대 기행문의 공간정치의 이데올로기와 문명화론-이광수의 상해· 동경 기행문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한중인문학회, 49-56쪽. | 미소장 |
66 | Baktine. M. (1975), Formy vremeni i khronotopa v romane(Les formes du temps et du chronotoope dans le roman), Voprosy literatury i estetiki. Moscou. | 미소장 |
67 | Bishop. I.B. (1897), Korea and Her Neighbor, 신복룡 역(2021),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집문당. | 미소장 |
68 | Dallet. C.C. (1874), Histoire de l′ Eglise de Coree, 안응열·최석우 역(1980), 『한국천주교회사』상·중·하, 한국교회사연구소 분도출판사. | 미소장 |
69 | Faulkner, K. W. (2006), Deleuze and the Three Syntheses of Time, 한정헌 역(2008), 『들뢰즈와 시간의 세 가지 종합』, 그린비. | 미소장 |
70 | Kern, S. (1983), The Culture of Time and Space, 박성관 역(2004),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 미소장 |
71 | Lévi-Strauss, C. (1955), Tristes Tropiques, 박옥줄 역(2001), 『슬픈열대』, 한길사. | 미소장 |
72 | Todorov, T.(1981), Ie principe dialogique, suivi de Ecrits du Cercle de Bakttine, 최현무 역(1987), 『바흐찐: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까치. | 미소장 |
73 | Viktor, Z. & Dieter, B.(1987), OOOO, 류종영·백종유·이주동·조정래 공역(1996), 『현대문학의 근본 개념 사전』, 솔.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