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Type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comparis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원미라, 김연희, 주현실 p. 1-12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 role and gender equity’ revealed in the illustrations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김지현 p. 13-27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근아, 유금란 p. 29-42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during COVID-19 : focusing on 2020 and 2021 :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김효원, 김누리, 육진경 p. 43-56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call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grit of general hospital nurses 문미영 p. 57-69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behavioral inhibition on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해린, 원성두 p. 71-86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The experience of father growing up rais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권혜진, 김지현 p. 87-104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Cluster analysis by grou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o smart media utilization of beauty major adolescents 이주영, 권기한 p. 105-119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Elementary music textbooks viewed through regional identity : focusing on the Jeju area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강스텔라 p. 121-138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ajor courses for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이지연, 김영숙 p. 139-158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atigu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n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due to prolonged COVID-19 김경미 p. 159-170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imagination in model-based exploration using complex data 정혜윤, 유선아 p. 171-187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cooperation in children : a multigroup analysis of autoregression cross-legged modeling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에 대한 다집단 분석 김도희, 안다혜 p. 189-206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The first winter season of ski mania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mily : exploration of the process of forming family leisure culture : 가족여가문화 형성과정 사례 탐색 이정택, 안정은 p. 207-221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Critical examination of technology-based future school AltSchool on the basis of Biesta’s practical intersubjectivity 김지원, 남미자 p. 223-237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workplace learning effort of community colleges 이경미 p. 239-262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female suicide survivors 김옥희, 김명찬 p. 263-279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discipline, trust,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perceived by beauty learners 조아린, 리순화 p. 281-292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research of Korean textbooks in the internet era :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class : 한국어 교재론 수업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민영 p. 293-309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flip learning-based community nursing education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related self-directi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김윤수 p. 311-324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of nursing student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황혜민, 장경민 p. 325-335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A study of on the competency model for counseling supervisors 주수현 p. 337-362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results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about classifying state of matter 최정인, 백성혜 p. 363-379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depression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the mediation effects of avoidance behaviour and positive affect : 회피행동과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서다은, 김은정 p. 381-400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y, satisfaction and academic efficacy 박수진 p. 401-414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Forestry workers’ perception of changes in jobs and duties due to the technological changes 이건남 p. 415-425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Structural analysis of children’s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ccording to media addiction level 김춘경, 조민규 p. 427-442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A review of a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research in Korea : focusing on the learner variable (1994-2022) : 학습자 변인 중심으로 (1994-2022) 고명희, 은선민 p. 443-465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Korea research trends in science teachers’ PCK 김지수, 최애란, 양정은 p. 467-494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gaze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of rock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tamorphic rock classification process 정덕호, 박경진 p. 495-51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최혜진, 박리나 p. 513-529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Middle school students' errors and its relationship on the concept of number line, number system, and the properties of real numbers 박혜영, 권오남 p. 531-550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role play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the existential approach and implicit dimension : 실존적 접근과 암묵적 차원을 중심으로 곽영근 p. 551-564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다중매개효과 곽상은, 김춘경 p. 565-578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aekwondo instructor type and an exploratory analysis study on leisure activity constraints 하명진, 강형숙 p. 579-590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deaf and hard-of-hearing 김은하 p. 591-607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유희정 p. 609-620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poetry writing education using photography 이안정, 윤재웅 p. 621-638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from conditional propositions in real-life context 김정훈, 강미정, 권종겸, 이문수 p. 639-652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and empathic competence : comparison between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 간 비교 김미영, 조민아 p. 653-670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calling in university students 김도희, 이현주 p. 671-686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Scaffolding support strategies for elementary English CLIL classes 임희정 p. 687-699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latest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o improve privacy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이주연, 김귀훈, 김승현 p. 701-713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명시적 읽기 전략 지도가 상⋅하위 수준 영어학습자에 미치는 영향 Insun Chong, Haedong Kim p. 715-731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A structural analysis on infant teachers’ self-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sensitivity 우수경 p. 733-747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reflection experience in ‘mind practice’ by Won-Buddhism practitioners 최은미 p. 749-764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이지연, 전병훈 p. 765-782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func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bareunsori education program 최정윤, 박상옥 p. 783-80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eaching method of onomatopoeia words and mimetic wo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숙진, 민진영 p. 803-817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from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al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university satisfaction among the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윤지현, 어성연, 경미선 p. 819-832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Discussions on identity of local curriculum 정광순 p. 833-847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of married women counselors 손고은, 김미진, 김명찬 p. 849-868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growth-period education of Queen Elilzabeth Ⅱ in England 권영임 p. 869-885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박현진, 고현국, 권동택 p. 887-901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ing method development progra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based on case of D university's creative teaching method development : D대학교의 창의적 교수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순, 추가영, 김윤미, 주수언 p. 903-920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A pragmatic approach to writer’s textual reflection 박혜림 p. 921-934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school cultures, learning-based instru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권동택, 김현욱, 남미, 최지연 p. 935-946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online class structure factors and process factors on outcomes factors 송영명 p. 947-962

참고문헌 (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태현, 유홍식 (2014).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3, 174-208. 미소장
2 국가통계포털 (2021). 연도별 자살사망률. https://kosis.kr에서 2022년 5월 27일 인출. 미소장
3 김경희 (2021).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자살 사고로 상실을경험한 중년남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상담심리교육복지, 8(4), 45-60. 미소장
4 김경희 (2022).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자살 사고로 상실을경험한 청년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청소년학연구, 29(1), 95-120. 미소장
5 김경희, 유지영 (2020).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6(4), 1-36. 미소장
6 김벼리 (2012). 남편을 자살로 잃은 중년 기독인 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벼리, 신현준, 한규석 (2013). 남편을 자살로 잃은 여성의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91-218. 미소장
8 김신옥 (2010). 엄마의 자살을 목격한 10세 여아의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애도. 모래놀이치료연구, 6(2), 25-65. 미소장
9 김영미, 이윤주 (2020). 자살생존자의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5(2), 75-98. 미소장
10 김은주, 오화철 (2020).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영성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기독교상담학회지, 31(3), 75-97. 미소장
11 김재순 (2019). 자살생존자의 심리적 고통과 애도에 대한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김정남 (2015). 부모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22(1), 183-201. 미소장
13 김현주, 박재연 (2021). 직장인의 동료자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22(6), 301-329. 미소장
14 김혜진, 노은영, 권세원 (2015).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자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4), 88-115. 미소장
15 문선현 (2017). 자살생존자의 회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박경자 (2020). 자살 유가족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상담학연구, 21(6), 121-143. 미소장
17 박지영 (2010).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 건강보건과 사회사업, 36, 289-318. 미소장
18 배소원 (2018). 헬스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자살에 대한 인터넷 기사의 분석과 고찰: 자살 보도 권고 기준 2.0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서청희, 이성규 (2019).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청소년연구, 30(4), 97-129. 미소장
20 송인한 (2015). 사회적 관계 내에서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의 정신건강 추적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미소장
21 윤성권, 한여울, 이승진, 이은별, 이주희, 임소정, 양은주 (2020).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4), 571-597. 미소장
22 윤영미 (2020). 자살유가족으로 살아낸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윤영미, 차명호 (2018). 자살유가족의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한 상담학적 합의와 과제. 상담학연구, 19(4), 109-123. 미소장
24 이경미, 최연실 (2015). 자살자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에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3(4), 655-686. 미소장
25 이근무, 김진숙 (2010).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미소장
26 이하나, 안순태 (2015). 자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다큐멘터리에 재현된 ‘우리’와 ‘그들’. 보건사회연구, 35(4), 309-343. 미소장
27 장성수 (1998). 자살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정상혁 (2005).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서울병원. 미소장
29 최선재, 안현의 (2013).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적응이 관계. 상담학연구, 14(1), 323-341. 미소장
30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1). 자살률 통계. https://kfsp-datazoom.org에서 2022년 12월 23일 인출. 미소장
31 홍영숙 (2017). 휴학 경험을 형성하는 지방대학 남학생의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3(1), 1-28. 미소장
32 APS (2004). 자살생존자 개념. https://www.aps.org에서 2022년 5월 2일 인출. 미소장
33 Andriessen, K., Lobb, E., Mowll, J., Dudley, M., Draper, B., & Mitchell, P. B. (2019). Help-seeking experiences of bereaved adolescents: A qualitative study. Death Studies, 43(1), 1-8. 미소장
34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미소장
35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Clandinin, D. J ., & C onne lly, F. M. ( 2004). Narrative inquiry: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미소장
37 Cvinar, J. G. (2005). Do suicide survivors suffer social stig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41(1), 14-21. 미소장
38 DeGroot, M., & Kollen, B. (2013). Course of bereavement over 8-10 years in first degree relatives and spouses of people who committed suicide: Longitudinal community based cohort study. BMJ, 347, f5519. 미소장
39 Durkheim, E. (2008).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황보종우 역 (2019). 자살론. 서울: 청아출판사. 미소장
40 Fine, C. (1999). No Time to say Goodbye: Surviving the suicide of a Loved One. 김운하 역 (2012). 너무 이른작별: 자살 유가족, 그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서울:궁리. 미소장
41 Grumet, R. M. (1988). Bitter milk: Women and teaching.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미소장
42 Hall, B. J. (2011).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Israeli Jews and Arabs: A Longitudinal Cross-lagged Panel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Ke nt S tate University. 미소장
43 Jamison, K. R. (2000). Night Falls Fast. 이문희 역 (2004). 자살의 이해. 서울: 뿌리와 이파리. 미소장
44 Kolves, K., & DeLeo, D. (2018). Suicide bereavement:Piloting a longitudinal study in Australia.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8(1), 1-6. 미소장
45 Li, N., & Zhang, J. (2010). Influencing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Chinese suicide survivors. Psychiatry Research, 178(1), 97-100. 미소장
46 Maple, M., Cerel, J., Sanford, R., Pearce, T., & Jordan, J. (2017). Is exposure to suicide beyond kin associated with risk for suicidal behavior?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47(4), 461-474. 미소장
47 Prompili, M., Lester, D., DePisa, E., DelCasale, A., Tatarelli, R., & Girardi, P. (2008). Surviving the suicides of significant others: A case study. Grisis: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9(1), 45-48. 미소장
48 Provini, C., Everett, J. R., & Pfeffer, C. R. (2000). Adults mourning suicide: Self-reported concerns about bereavement, needs for assistance, and help-seeking behavior. Death Studies, 24(1), 1-19. 미소장
49 Rubel, R. (2004). When a Client Dies. Psychoanalytic Social Work, 11(1), 1-14. 미소장
50 Schneider, B., Grebner, K., Schnabel, A., & Georgi, K. (2011). Is the emotional response of survivors dependent on the consequences of the suicide and the support received? Grisis, 32(4), 186-193. 미소장
51 Shields, C., Kavanagh, M., & Russo, K. (2017).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of the bereavement process following suicide.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74(4), 426-454. 미소장
52 Stroebe, M., & Schut, H. (2010).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A decade on. OMEAGA:Journal of Death and Dying, 61(4), 273-289. 미소장
53 Stroebe, M., Schut, H., & Finkenauer, C. (2001). The traumatization of grief?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trauma-bereavement interface. The Israel Journal of Psychiatry and Related Sciences, 38(3-4), 185-201. 미소장
54 VandeCreek, L., Mottram, K., & DeMey, K. (2016). Religion during suicide bereavement: Literature search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or additional studies.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39(2), 155-162. 미소장
55 Zisook, S., Shear, M. K., Reynolds, C. F., Simon, N. M., Mauro, C., Skritskaya, N. A., ... Qiu, X. (2018). Treatment of complicated grief in survivors of suicide loss: A HEAL re port.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9(2), 17m115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