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튜버 유형과 유튜브 채널 퍼스널리티가 이용자 태도 및 채널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channel personality, user attitude, and subscription intention according to YouTuber type : focusing on self-direction :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정성광, 곽준식 p. 1-24
음식 배달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베트남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Vietnamese consumers using food delivery app service 부하금장, 요의, 서주환 p. 25-43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차별화 속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attributes of delivery applicat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 focused on Chinese students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임배정, 송재도 p. 45-68
e-CRM 중심의 비영리기관의 공공기관 마케팅 활동에 대한 고객만족도, 인지도, 참여도 효과 분석 연구 = Investigating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awareness, participation for e-CRM-oriented non-profit organization’s public sector marketing :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Red Cross : 대한적십자사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김옥희, 조윤정 p. 69-90
게임 캐릭터의 의인화 특성과 동일시가 게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and character identification on game satisfaction 이원준 p. 91-114

참고문헌 (5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귀영, 이동건 (2013). 개인적 특성이 스마트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과혁신연구, 6(1), 85-107. 미소장
2 김건휘 (2021).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24, 23-47. 미소장
3 김미주 (2009). 보이는 라디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 김분태, 김종명 (2003). 제품적합성, 관여도, 온라인광고의 접속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8(3), 55-81. 미소장
5 김상희 (2022). 친절과 간섭사이: 매장내 모바일 폰을 통한 정보탐색상황에서 판매원의 친사회적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간섭의 관계에 관한연구. 마케팅연구, 36(3), 79-108. 미소장
6 김유정, 이형석, 윤종수, 이영로 (2009). 기대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및 시스템품질이 개인용 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2105-2121. 미소장
7 김태문 (2007). 인터넷 여행상품 구매의도와 확장된기술수용모델.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대학원, 서울. 미소장
8 김태선, 고윤서 (2021). 음식 주문·배달 앱 정보탐색의 청장년 집단과 노년집단 간 비교. 상품학연구, 39(6), 137-146. 미소장
9 김한준, 최은미 (2018). O2O (Online to Offline) 비즈니즈 모델의 서비스 동향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1), 198-201. 미소장
10 남성준, 김상훈 (2003). 혁신제품의 경쟁적 특성이확산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18(1), 31-52. 미소장
11 문준호, 이원석, 송명근 (2022). 음식 배달 앱 서비스충성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탐구. MICE관광연구, 22(3), 7-22. 미소장
12 박상호, 최용준 (2013). 교육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용에 관한 기술수용모델적고찰. 방송통신연구, 9-35. 미소장
13 박선경, 강윤지 (2021).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초기 이용자들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10), 275-285. 미소장
14 박종구 (2011).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IAM-NM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한국언론학보, 55(5), 448-479. 미소장
15 오상현, 김상현 (2006). 인터넷뱅킹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의 확장을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1(1), 1-27. 미소장
16 오이쥔, 조재희 (2017). 넷플릭스(Netflix) 이용자의지속적 이용의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과 대만의 이용자에 대한 국가 간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61(5), 341-375. 미소장
17 요의, 서주환 (2022). O2O 딜리버리 앱이 중국 소비자의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40(3), 9-16. 미소장
18 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2014). 혁신특성과 사용자특성이 전자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혁신저항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61-73. 미소장
19 윤정희 (2017). 가정 간편식의 O2O 특성이 수용의도에 따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20 이경순, 한승연, 문대영 (2014). 혁신의 확산 이론을통해 본 블렌디드 러닝의 수용과 채택. 교과교육학연구, 18(4), 1347-1381. 미소장
21 이상훈 (2018). Kano모형과 PCSI지수를 활용한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선택속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22 이용정, 배범준 (2017). 건강 어플리케이션 비이용자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4(1), 135-154. 미소장
23 이은천, 조성찬, 이훈영 (2018). 모바일 헬스케어의혁신확산 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153-162. 미소장
24 이재원 (2010). 사회서비스정책의 지향 가치와 활성화 과제. 사회서비스연구, 1, 33-81. 미소장
25 주신옥 (2018). 기술수용모델 (TAM)을 적용한 관광전문플랫폼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3(4), 57-74. 미소장
26 주영혁 (2012). 사용확산 구성요소로서 사용률과 사용다양성이 구전에 미치는 차별적 경로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7(3), 97-115. 미소장
27 최은정 (2021). 음식배달 O2O 플랫폼산업 현황과정책에 관한 제언. 유통연구, 26(1), 171-197. 미소장
28 최의명 (2015).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외식상품 구매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9 Agarwal, R., and Prasad, J.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2), 204-215. 미소장
30 Anderson, J., and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미소장
31 Apptweak. (2019). [Infographic]: Countries with most app downloads. https://www.apptweak. com/en/aso-blog/infographic-countrieswith-most-app-downloads. (2021-3-12 방문). 미소장
32 Choi, D. H. (2010). The role of trust in other users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context. e-비즈니스연구, 11(4), 233-245. 미소장
33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미소장
34 Fornell, C., and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미소장
35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 Infographic population, labour and employment in 2020. https://www.gso. gov.vn/en/data-and-statistics/2021/01/infographicpopulation-labour-and-employment-in-2020/. (2020-11-1 방문). 미소장
36 Jia, S., Gibson, A., Ding, D., Allman-Farinelli, M., Phongsavan, P., Redfern, J., and Partridge, S. (2022). Perspective: Are online food delivery services emerging as another obstacle to achieving the 2030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rontiers in Nutrition, 295. 미소장
37 Moore, G. C., and Benbasat, I. (199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92-222. 미소장
38 Murnane, E. L., Huffaker, D., and Kossinets, G. (2015). Mobile health apps: Adoption, adherence, and abandonment. In Adjunct Proceedings of the 2015 ACM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Pervasive and Ubiquitous Computing and Proceedings of the 2015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Wearable Computers (UbiComp/ISWC'15 Adjunct),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ew York, NY, USA, 261-264. 미소장
39 Q&Me. (2020a). Food delivery demand after Covid 19. https://Q&Me.net/en/report/food-deliveydemand-increase-after-covid-19.html. (2022-10-11 방문). 미소장
40 Q&Me. (2020b). Vietnam mobile app popularity 2020. https://qandme.net/en/report/vietnammobile-app-popularity-2020.html. (2022-10-11 방문). 미소장
41 Rijsdijk, S. A., Hultink, E. J., and Diamantopoulos, A. (2007). Product intelligence: Its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5(3), 340-356. 미소장
42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The Free Press. 미소장
43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The Free Press. 미소장
44 Rogers, E. M., and Shoemaker, F. F. (1971).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A cross-cultural approach. The Free Press. 미소장
45 Roh, M., and Park, K. (2019). Adoption of O2O food delivery service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moral obligation in meal prepa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7, 262-273. 미소장
46 Shih, C. F., and Venkatesh, A. (2004). Beyond adoption: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use-diffusion model. Journal of Marketing, 68(1), 59-72. 미소장
47 Statista. (2022a). Online food delivery. https://www. statista.com/outlook/dmo/eservices/onlinefood-delivery/worldwide. (2022-7-1 방문). 미소장
48 Statista. (2022b). Online food delivery. https://www. statista.com/outlook/dmo/eservices/online-food-delivery/vietnam. (2022-7-1 방문). 미소장
49 VietNam Telecommunications Authority. (2021). Developing mobile-cellular telephone subscriptions in 2021. http://english.vnta.gov. vn/thongke/Trang/dulieuthongkeeng.aspx. (2021-11-10 방문). 미소장
50 Wu, J. H., and Wang, S. C. (2005). What drives mobile commerce?: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2(5), 719-729. 미소장
51 Yuen, K. F., Cai, L., Qi, G., and Wang, X. (2021). Factors influencing autonomous vehicle adoption: An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innovation diffusion theor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33(5), 505-5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