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최근 대학 교양 교육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와 몇 가지 제안을 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의 교양 교육 역시 그런 변화와 무관할 수 없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강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이제 시민의 기초 소양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단지 디지털 도구를 잘 활용하는 능력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문제 해결에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적 능력은 적정한 수준의 지식 소양을 갖추고 있을 때 비로소 의미 있게 발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사회의 시민 소양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좀 더 폭넓게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 글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세 가지의 범주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디지털 도구들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 지식이고, 두 번째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시민 교양을 갖추는 데 필요한 영역(domain) 지식이고 세번째는 디지털 사회에서 참여하는 시민적 삶을 위한 인성과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절차적 지식이다. 이들을 각각 도구적 지식, 영역 지식, 시민성 지식(digital citizenship)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이 세 축이 조화로운 균형을 유지할 때 비로소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인문 교양 =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liberal arts 박승억 p. 7-29

'인터넷 밈'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digital literacy class methods using 'internet memes' 김병구 p. 31-62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정서와 컴퓨터 사용 용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feeling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오새내, 김효정, 조명실 p. 89-111
코로나 시대 한국 신화 속 꽃 상상력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 연구 = The stud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imagination of flowers in Korean mythology during the COVID-19 era : focusing on the myth liberal arts project class : 신화 교양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표정옥 p. 63-85
교양 SW코딩 수업을 위한 전공계열별 교육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by college majors for liberal arts SW coding classes : based on coding projects applying PBL : PBL을 통한 코딩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구진희 p. 113-138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코칭공간 개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verse-based coaching space for university extracurricular programs 윤희정 p. 139-167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에 대한 재고 = The re-thinking on first-person narrative of autobiographical novel : focusing on Kim Yeon-soo’s 「Newyork Bakery」 and Gwon Yeo-seon’s 「The People of the K Family」 : 김연수 「뉴욕제과점」과 권여선 「K가의 사람들」을 중심으로 김민선 p. 169-191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신철, 「대학 정보화, 어디로 가야하나」, 『교수신문』, 2021.11.6.,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0400, 검색일자 2022.12.10. 미소장
2 고윤정⋅김신정⋅임세정, 「융합교과목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 교과목 개발에 관한 사례분석 및 효과」, 『교양교육연구』 15(3), 2021, 51-61. 미소장
3 안정임⋅박은희,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시민성의 계승과 디지털의 확장」, 『미디어융합연구』 33, 2022, 39-75. 미소장
4 이용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 『인문콘텐츠』 50, 2018, 115-135. 미소장
5 이정춘, 「위기의 읽기 문화, 어떻게 할 것인가」, 『제7차 출판정책 라운드테이블 발표집』, 출판학회, 2010, 3-19. 미소장
6 임희오, 「계속되는 인력난 해소방법은? 로코드⋅노코드로 해결」, 『월드투데이』, 2022.7.6., https://www.iworld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08830, 검색일자 2022.11.20. 미소장
7 조남민⋅손달임⋅황미경,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 2022, 31-48. 미소장
8 주양선⋅이은하⋅김혜영, 「기초교양으로서 생명과학 핵심개념의 이해를 위한 영상 매체 활용」, 『교양교육연구』 12(5), 2018, 61-79. 미소장
9 Carr, N.,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15. 미소장
10 Kozyrkov, C., “The First Thing Great Decision Makers Do”. Harvard Business Review, 2019, Jun. 25. https://hbr.org/2019/06/the-first-thing-great-decisionmakers-do, 검색일자 2022.12.10. 미소장
11 Negroponte, N., 「제3의 디지털 혁명, 천재가 아니라 상식이 만든다」, SBS 서울 디지털 포럼 엮음, 『제3의 디지털 혁명 컨버전스의 최전선』, 미래M&B, 2004, 24-35. 미소장
12 Robertson, D., The New Renaissance: Computers and the next levels of civilization, Oxford Univ. Press, 1998. 미소장
13 Rosa, H., 『소외와 가속』, 김태희 옮김, 앨피, 2020. 미소장
14 Tabscott, D., 『디지털 네이티브』, 이진원 옮김, 비즈니스북스,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