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최근 대학 교양 교육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와 몇 가지 제안을 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의 교양 교육 역시 그런 변화와 무관할 수 없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강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이제 시민의 기초 소양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단지 디지털 도구를 잘 활용하는 능력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문제 해결에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적 능력은 적정한 수준의 지식 소양을 갖추고 있을 때 비로소 의미 있게 발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사회의 시민 소양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좀 더 폭넓게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 글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세 가지의 범주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디지털 도구들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 지식이고, 두 번째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시민 교양을 갖추는 데 필요한 영역(domain) 지식이고 세번째는 디지털 사회에서 참여하는 시민적 삶을 위한 인성과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절차적 지식이다. 이들을 각각 도구적 지식, 영역 지식, 시민성 지식(digital citizenship)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이 세 축이 조화로운 균형을 유지할 때 비로소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철, 「대학 정보화, 어디로 가야하나」, 『교수신문』, 2021.11.6.,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0400, 검색일자 2022.12.10. | 미소장 |
2 | 고윤정⋅김신정⋅임세정, 「융합교과목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 교과목 개발에 관한 사례분석 및 효과」, 『교양교육연구』 15(3), 2021, 51-61. | 미소장 |
3 | 안정임⋅박은희,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시민성의 계승과 디지털의 확장」, 『미디어융합연구』 33, 2022, 39-75. | 미소장 |
4 | 이용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 『인문콘텐츠』 50, 2018, 115-135. | 미소장 |
5 | 이정춘, 「위기의 읽기 문화, 어떻게 할 것인가」, 『제7차 출판정책 라운드테이블 발표집』, 출판학회, 2010, 3-19. | 미소장 |
6 | 임희오, 「계속되는 인력난 해소방법은? 로코드⋅노코드로 해결」, 『월드투데이』, 2022.7.6., https://www.iworld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08830, 검색일자 2022.11.20. | 미소장 |
7 | 조남민⋅손달임⋅황미경,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 2022, 31-48. | 미소장 |
8 | 주양선⋅이은하⋅김혜영, 「기초교양으로서 생명과학 핵심개념의 이해를 위한 영상 매체 활용」, 『교양교육연구』 12(5), 2018, 61-79. | 미소장 |
9 | Carr, N.,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15. | 미소장 |
10 | Kozyrkov, C., “The First Thing Great Decision Makers Do”. Harvard Business Review, 2019, Jun. 25. https://hbr.org/2019/06/the-first-thing-great-decisionmakers-do, 검색일자 2022.12.10. | 미소장 |
11 | Negroponte, N., 「제3의 디지털 혁명, 천재가 아니라 상식이 만든다」, SBS 서울 디지털 포럼 엮음, 『제3의 디지털 혁명 컨버전스의 최전선』, 미래M&B, 2004, 24-35. | 미소장 |
12 | Robertson, D., The New Renaissance: Computers and the next levels of civilization, Oxford Univ. Press, 1998. | 미소장 |
13 | Rosa, H., 『소외와 가속』, 김태희 옮김, 앨피, 2020. | 미소장 |
14 | Tabscott, D., 『디지털 네이티브』, 이진원 옮김, 비즈니스북스,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