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혜정, 임은미(2012).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3(4), 35-57. | 미소장 |
2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 미소장 |
3 | 공완욱(2021). 미술교육에서 문화다양성 교육 실천 방안 탐색. 조형교육, 77, 21-46. | 미소장 |
4 | 김경근, 황여정(2012).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 39(1), 87-117. | 미소장 |
5 | 김미진, 김경은(2018). 국내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1), 1-27. | 미소장 |
6 | 김이선, 최윤정, 정연주, 장희영, 이명진, 양계민(2022).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여성가족부. | 미소장 |
7 | 김태완, 조윤용, 이연옥, 이혜진(2016). 다문화수용성 척도의 타당성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문화예술교육연구, 11(1), 57-78. | 미소장 |
8 | 라도삼, 조윤정,이정현(2018). 서울시 문화 다양성 의제와 정책방안. 서울연구원. | 미소장 |
9 | 박창언(201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역량 중심의 교육목적 체제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집, 7(1), 743-752. | 미소장 |
10 | 박혜숙(2013a). Rasch 측정모형을 사용한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7(2), 453-477. | 미소장 |
11 | 박혜숙(2013b).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2), 219-248. | 미소장 |
12 | 박혜숙, 원미순(2010).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24(2), 303-325. | 미소장 |
13 | 박혜숙, 이정규(2018). 한국인 고등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변인 탐색. 교육문화연구, 24(1), 505-525. | 미소장 |
14 | 백선혜, 조윤정(2020). 서울시 문화다양성 시민인식지표 개발과 시범조사. 서울연구원. | 미소장 |
15 | 송선영, 김항인(2015).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I: 이론적 논의와 내용 체계. 윤리연구, 100, 257-282. | 미소장 |
16 | 양계민(2009).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0(4), 387-422. | 미소장 |
17 | 양정남, 최은정, 문영란, 박건영, 박순희(2011). 자기효능감, 사회복지옹호태도가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16, 24-7. | 미소장 |
18 | 유네스코(2001). 유네스코 문화다양선 선언. | 미소장 |
19 | 이동성, 주재홍, 김영천(2013). 문화 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다문화교육연구, 6(1), 51-72. | 미소장 |
20 | 중앙대학교 커리큘럼혁신센터(2021), CAU 컬리큘럼 인증보고서: 문화다양성융합전공 개발인증. | 미소장 |
21 | 최지영, 김재철(2015).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2(2), 389-11. | 미소장 |
22 | 하선영, 전주성(2014). 대학생의 다문화인 수용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교육과학연구. 45(3), 69-91. | 미소장 |
23 | Alagumalai, S., & Curtis, D. D. (2005). Classical Test Theory. In R. Maclean et al. (Ed.). Applied Rasch Measurement: A Book of Exemplars. Educ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Issues, Concerns and Prospects, vol 4 (pp. 1-14). Dordrecht: Springer Dordrecht. | 미소장 |
24 | Bond, T. G., & Fox, C. M. (2007).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미소장 |
25 | Deardorff. D. K. (2006).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 Student Outcome of Internationalization. Journal of Stud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10, 241-266. | 미소장 |
26 | Fisher, R. A. (1992).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Breakthroughs in statistics. New York:Springer. | 미소장 |
27 | Hogan, M. (2013). Four Skill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 Proces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e (4th ed.). Belmont, CA: Brooks/Cole. | 미소장 |
28 | Kang, S. (2001). Fairness of the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Assess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Departm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40(1), 614-629. | 미소장 |
29 | Linacre, J. M. (2019). Detecting multidimensionality in Rasch data using Winsteps Table 23. https://www.youtube.com/watch?v=sna19QemE50&t=929s | 미소장 |
30 | Messick, S. (1989). Validity. In R. L. Linn (Ed.). Educational measurement (3rd ed., pp. 13-103). New York: Mcmillan Publishing. | 미소장 |
31 | Messick, S. (1995).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4(4), 5-8. | 미소장 |
32 | Muzychenko, O. (2008). Cross-cultural entrepreneurial competence in identifying international business opportunitie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6(6), 366-377. | 미소장 |
33 | Wilson, J., Ward, C., & Fischer, R. (2013). Beyond culture learning theory: What can personality tell us about cultural competenc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4(6), 900-927. | 미소장 |
34 | Wright, B. D., & Linacre, J. (1994).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 370-371. | 미소장 |
35 | Zwick, R., & Thayer, D. T. (1996). Evaluating the Magnitude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Polytomous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21(3), 187–20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