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번 논문에서는 교육철학 연구의 심화를 위해 검토해야 할 주제로 철학 개념의 확장을 모색해보았다. 동아시아철학, 인도철학, 이슬람철학은 각각 서양철학과 대면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철학의 발전과 성숙을 모색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아시아철학은 서양철학의 번역과 수용 과정에서 기존의 치밀한 형이상학적 성과를 계승하고 철학사 서술의 혁신을 도모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인도철학은 그리스 로마 고전을 앞세운 영국 식민지배의 문화적 침공 속에서 『바가바드기타』와 『우파니샤드』 등 산스크리트 경전을 중심으로 적절한 대응에 성공하면서 서양철학에 종속되지 않은 철학체계의 정립에 성과를 거두었다. 이슬람철학은 초기에는 헬레니즘 학자들의 수용을 통해 형성된 팔사파흐가 지배적이었으나 수피의 각성을 철학의 영역에 포함시킨 히크마흐가 강조되며 보편적 정신세계의 구축에 성공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지만 여전히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는 한국의 교육학계와 학계 전반에서 철학에 대한 이해 변화를 통한 새로운 철학하기가 요구된다. 각 문명권의 대응방식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한국 교육철학의 연구 방향과 과제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성용(2015).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 대하여 I: Tattva의 두 의미. 철학논집, 43, 195-229. 미소장
2 고준석・조동열(2008). 예이츠와 우파니샤드. 한국 예이츠저널, 30, 5-25. 미소장
3 길희성 역주(2014). 바가바드 기타. 서울: 서울대학교 춢판문화원. 미소장
4 김성근(2013). '철학'이라는 일본어 어휘의 조선 전래와 정착. 동서철학연구, 69, 1-18. 미소장
5 김아영(2020). 이슬람의 신비적 측면: 수피즘의 현대적 이해. Muslim-Christian Encounter, 13(1), 7-51. 미소장
6 김용선(1986). 아랍 문화사.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7 김자중(2022). 경성제국대학 교육학 교수 마쓰즈키 히데오(松月秀雄)의 개성교육론: 그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6(1), 1-32. 미소장
8 김재현(2016). 중국에서의 ‘哲學’ 개념의 번역과 수용. 시대와 철학, 27(2), 39-68. 미소장
9 김정명(2005). 이븐 루쉬드의 해석학과 알 가잘리 비판.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5(1). 107-132. 미소장
10 신규섭(2013). 중세 종교용어의 한국어 번역과 분석: 『신비의 혀』 읽기. 세계문학비교연구, 43, 5-30. 미소장
11 우정길(2021). 한국의 교육철학 연구 동향(2011-2020): 『교육철학연구』, 『교육사상연구』,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5(4), 147-170. 미소장
12 윤성우・이향(2018). 번역윤리 담론의 패러다임 변화. 번역학연구, 19(5), 77-95. 미소장
13 장지원(2014). 개념사와 형태론을 통해 본 교육적의 의미 분석. 교육사상연구, 28(1). 277-298. 미소장
14 전광식(2008). Φιλοσοφία Arabica: 초기 아랍철학의 발전과 철학의 정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45, 317-340. 미소장
15 정병윤(2021). 『복락지혜』에 나타난 수피즘(Sufism)의 수용 연구. 중국연구, 89, 87-112. 미소장
16 정승현・이승현(2016). 수피즘의 동향연구: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복음과 설교, 33, 213-245. 미소장
17 조동일(1996). 우리 학문의 길. 서울: 지식산업사. 미소장
18 조동일(1999). 공동문어문학과 민족어문학. 서울: 지식산업사. 미소장
19 조동일(2008). 세계, 지방화시대의 한국학 9: 학자의 생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0 조동일(2021). 우리 옛글의 놀라움. 서울: 지식산업사. 미소장
21 한국가톨릭대사전 편찬위원회 편(2005). 가톨릭대사전. 서울; 한국교회사연구소. 미소장
22 황호덕・이상현(2012).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서울: 박문사. 미소장
23 황희정(2017).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회전춤의 역사와 발전: 호선무(胡旋舞), 수피춤(sufi dance), 사마춤(sama). 우리춤과 과학기술, 13(1), 41-66. 미소장
24 柳父章(1980). 飜譯語成立事情. 김옥희 역(2003). 번역어의 성립. 서울: 마음산책. 미소장
25 Benveniste, É.(1969). Le Vocabulaire des Institutions Indo-Europeens. 김현권 역(2016).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어휘 연구. 서울: 그린비. 미소장
26 Daneshfard, B., Naseri, M. & Ghaffari, F.(2022). Medical education in the first university of the world, the Jundishapur Academy. Journal of Family Medicine and Primary Care, 11(8), 4267-4272. 미소장
27 Lapidus. I. M.(2002).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신연성 역(2008). 이슬람의 세계사. 서울: 이산. 미소장
28 Plato. Epistolai . 김주일 역주(2010). 편지들. 서울: 이제이북스. 미소장
29 Platon. Nomoi. 박종현 역주(2009). 법률. 경기: 서광사. 미소장
30 Platon. Politeia. 천병희 역주(2010). 국가. 서울: 숲. 미소장
31 Pluquet. M.(1784), 김경용 역주(2018). 계몽시대 유럽사회 개혁론과 유교.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32 Radhakrishnan. S.(1923). Indian Philosophy 1. 이거룡 역주(1999). 인도철학사 1. 서울:한길사. 미소장
33 Strauss. L.(1987). What is Political Philosophy. 양승태 역(2002). 정치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아카넷. 미소장
34 Zuber. H. Martin. C. H. 유소연 역(2010). 프랑스 군인 쥐베르가 기록한 병인양요. 서울:살림. 미소장
35 동경대 문학부 대학원 홈페이지https://www.l.u-tokyo.ac.jp/korean/graduate/overview.html 미소장
36 알 가잘리 아카이브 http://ghazali.org/ihya/english/ihya-vol1-sl.html 미소장
37 http://ghazali.org/ihya/english/ihya-vol1-sl.htm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