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도의 재발견을 통하여 한국기독교가‘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번영의 복음에 휘둘리는 잘되는 영성은 공적 책임과 소통 및 공감과 환대 등의 사회적 영성에 무관심하는 경향을 낳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제국을 말하던 시대에, 잘되는 영성을 경계하는 제자됨을 강조하고 사회적 영성의 구현을 일깨워주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자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제자됨에 무관심했다고 단언하는 것은 섣부르다. 용어 문제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께 배우고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을 강조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리스도인의 훈련』(De Disciplina Christiana)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disciplina’를 반복하면서, 배움의 집에서 그리스도께 배우는 제자도를풀어내고 ‘잘사는 길’로서의 제자됨을 권한 것은 중요한 교훈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기사랑의 올바른 의의를 점검하도록 촉구하며 이웃 사랑을 사회적 영성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 영성은 사회적 사랑(amor socialis)의 실천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리스도를 본받음(mimesis of Christ)을 통하여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 영성을 구현하도록 일깨워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됨의 윤리는 한국기독교에 중요한 시사점이다. 급격한 하강곡선을 보이는 한국기독교에 요청되는 본질적 가치를 말해주었기 때문이다. 한국기독교는 번영의 복음으로 포장된 탐욕에 휘둘리는 잘되는 영성을 극복하고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한다. 무엇보다도, 한국기독교는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하며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영성’을 추구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외국어 교수와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분석모형 = A study on an analytical models of online tools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new n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권영숙, 최가연 p. 7-34
시진핑 시기 중국의 종교정책 변화를 통해 본 중국 교회의 2024년 제4차 로잔대회 참여 가능성 고찰 =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Chinese churches to participate in the 4th Lausanne Congress in 2024 through the changes in China's religious policies in the Xi Jinping period 김광성 p. 35-67
유대 땅 베들레헴인가? 유다 땅 베들레헴인가? = Is ‘Βηθλέεμ, γῆ Ἰούδα’ Bethlehem the Land of ‘Judea’ or ‘Judah’?(Matt 2:6) : 『개역개정』 마태복음 2:5-6의 번역에 관한 소고 김태섭 p. 69-96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의 선교전략 = A missional strategy in the post-corona era : royal priesthood for the entire creatures of the earth : 지구 피조물 전체의 왕 같은 제사장으로서의 교회 김회권 p. 97-134
목회역량 강화를 위한 신학교육 = Theological education to strengthen ministry competence : old tasks, but new directions : 오래된 과제, 새로운 방향 김효숙 p. 135-168
성육신 선교의 관점에서 본 방지일의 타문화권 선교 연구 = A study on Pang Ji Ihl’s cross cultural mi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carnational mission 남성현 p. 169-200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인의 훈련』에 나타난 제자도 = Augustine on discipleship in De Disciplina Christiana 문시영 p. 201-233

루터의 9월 성경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함의 = Martin Luther’s September bible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박경수 p. 235-263
이스라엘의 삼중 관계 = A holistic reading of Amos 2:6-3:8 : 이스라엘과 야훼, 열방, 예언자(암 2:6-3:8) 배희숙 p. 265-296
딤미 제도와 지즈야(jizyah)에 대한 상반된 평가 = Two conflicting views of the dhimmi system and jizyah : focusing on dhimmi documents from the 7th to the 14th centuries : 7세기-14세기 딤미 문서를 중심으로 변창욱 p. 297-331

청년의 불평등 상황에 대한 한국교회의 공공신학적 응답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theological response of Korean church to the inequality of young generation : for the practical structuring of ‘youth theology’ : '청년 신학'의 실천적 구성을 위해 성석환 p. 333-364
도나 해러웨이의 『트러블과 함께하기』와 예수의 '하나님 나라의 비유' 교차 읽기 = A study of the crossing of Haraway’s Staying with the Trouble and Jesus’ parable of the kingdom of God : a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on the climate crisis : 기후위기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 성신형 p. 365-388
새로운 선교 패러다임으로 부상하는 국내 이주민 선교 = Emerging immigrants mission in Korea as new mission paradigm : 패러다임 특징 분석과 이주민 선교 현황을 중심으로 신성임 p. 389-417

급진정통주의를 통해 본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진 중세로의 회귀(回歸)성 비판과 세계기독교의 포스트모더니즘과의 동행에 관한 하나의 반론과 제언 = A critique of postmodernism's returning to medieval Christendom by analysis of radical orthodoxy and a suggestion regarding world Christianity’s companion with postmodernism 유은혜 p. 419-462
에이전시 신학으로 본 선교 행위의 정당성과 진정성 = The justification and authenticity of missional behaviour : through the perspective of agency theology 이승규 p. 463-491

니제르 하우사족의 문화적 특성과 선교 고찰 =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ission of the Niger Hausa people 장훈태 p. 493-527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ermo De Disciplina Christiana http://www.augustinus.it/latino/disciplina_cristiana/index.htm [2022. 7. 28 접속]. 미소장
2 Regula ad Servos Dei. (Regula Santi Augustini) 번역본: Adolar Zumkeller. 이형우 역.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서』. 왜관: 분도출판사, 2006 참고. 미소장
3 De civitate Dei. 번역본: 성염 역주. 『신국론』. 왜관: 분도출판사, 2004 참고. 미소장
4 Confessiones. 번역본: 선한용. 『고백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9 참고. 미소장
5 In Epistolam Ioannis ad Parthos Tractatus.번역본: 최익철 역. 『요한서간 강해』. 왜관: 분도출판사, 2011 참고. 미소장
6 De Ordine. 번역본: 성염 역주. 『질서론』. 왜관: 분도출판사, 2017 참고. 미소장
7 De Genesi ad Litteram.번역본: 박승찬.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7 참고 미소장
8 Banner, William A. The Path of St. Augustine. Lanham: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1996. 미소장
9 Barclay, Katie. Caritas: Neighbourly Love & the Early Modern Self.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미소장
10 Clary, Ian H. God Crowns His Own Gifts: Augustine, Grace, and the Monks of Hadrumetum. Peterborough, Canada: H&E Academic, 2021. 미소장
11 Deane, Herbert A. The Political and Social Ideas of St. Augustine. Tacoma, WA: Anglico Press, 2013. 미소장
12 Fitzgerald, Allan D. ed. Augustine through the ages: an encyclopedia. Grand Rapids, MI: W. M. Eerdmans, 1999, 272. 미소장
13 Hauerwas, Stanley. After Christendom?. Nashville, TN: Abingdon Press, 1991. 미소장
14 Herdt, Jennifer A. Putting on Virtue: The Legacy of the Splendid Vic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미소장
15 Jesuit Centre for Faith and Justice eds. Windows on Social Spirituality. Dublin: Ireland, 2003. 미소장
16 Liederbach Mark D., and Evan Lenow. Ethics as Worship: The Pursuit of Moral Discipleship.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2021. 미소장
17 Ryan, Jonathan D. Love does not seek its own: Augustine, Economic Division, and the Foramtion of a Common Life. New York, NY: T&T Clark, 2021. 미소장
18 Stewart-Kroeker, Sarah. Pilgrimage as Moral and Aesthetic Formation in Augustine’s Though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미소장
19 Van Til, Kent A. The Moral Disciple: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thic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12. 미소장
20 Vessey, Mark, Karla Pollmann, eds. Augustine and the Disciplines: From Cassiciacum to Confessio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미소장
21 Wetzel, James. Augustine and the limits of virtue.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미소장
22 中山元. 『賢者と羊飼い』. 전혜리 역. 『현자와 목자: 푸코와 파레시아』. 서울: 그린비, 2016. 미소장
23 Avila, Charles. Ownership: Early Christian Teaching. 김유준 역. 『소유권:초대 교부들의 경제사상』, 서울: CLC, 2015. 미소장
24 Brown, Peter. Augustine of Hippo. 정기문 역. 『아우구스티누스』, 서울: 새물결, 2012. 미소장
25 Foucault, Michel Paul. Histoire de la sexualite 4: Les aveux de la chair. 오생근 역. 『성의 역사 4: 육체의 고백』. 서울: 나남출판사, 2019. 미소장
26 Fox, Robin Lane. Augustine: Conversions and Confessions. 박선령 역. 『아우구스티누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고백』. 서울: 21세기북스, 2020. 미소장
27 Sloterdijk, Peter. Du mußt dein Leben andern: Uber Anthropotechnik. 문순표 역.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 인간공학에 대하여』. 서울: 오월의봄, 2020. 미소장
28 김덕수. 『로마와 그리스도교』. 서울: 홍성사, 2017. 미소장
29 문시영. 『안으로 들어가라: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과 사회윤리』. 성남: 북코리아, 2021. 미소장
30 Syntetyczne, Omówienie. “Sermo De Disciplina Christiana, ŚW. Augustyna,” VOX PATRUM 28 (2008): 373-383. 미소장
31 Gross, Nicolaus. “로마의 덕(virtus): 개념 및 교육적 목표 Ⅰ.” 『서양고전학연구』 12 (1998): 1-30. 미소장
32 Gross, Nicolaus. “로마의 덕(virtus): 개념 및 교육적 목표 Ⅱ.” 『서양고전학연구』 13 (1999): 163-191. 미소장
33 김성우. “카리타스학(Caritaswissenschaft/Caritas Science) 관점에서 바라본가톨릭 사회복지의 방향.” 『가톨릭신학』 36 (2020): 261-288. 미소장
34 김정희. “토마스 아퀴나스의 카리타스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성찰.” 『가톨릭철학』 4 (2002): 86-122. 미소장
35 김주한. “어거스틴의 사랑론: 그의 Caritas와 Cupiditas의 개념을 중심으로.”『한국교회사학회지』 15 (2004): 101-128. 미소장
36 박승찬.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안에 나타난 행복과 치유.” 『범한철학』 79-5(2015): 219-258. 미소장
37 이창호. “자기사랑에 관한 현대 기독교윤리학계의 담론 탐색.” 『기독교사회윤리』 25 (2013): 121-164. 미소장
38 이창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관계성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탐구: 아웃카, 포우스트, 몰트만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48-1 (2016): 253-281. 미소장
39 임형권. “유목 공동체로서의 교회: 존 밀뱅크의 아우구스티누스적 교회론.”『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0 (2016): 41-64. 미소장
40 장욱. “에로스와 아가페: 인간적 사랑과 카리타스.” 『가톨릭철학』 4 (2002):7-42. 미소장
41 정승익. “Augustinus의 「요한서간강해」에 나타난 ‘무게(pondus)’ 개념에 관하여.” 『누리와 말씀』 29 (2011): 37-79. 미소장
42 최승락. “욕망의 개혁: 바울, 아우구스티누스, 칼빈을 딛고 라캉, 지젝과 대화하기.” 『성경과 신학』 85 (2018): 1-33. 미소장
43 최원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 에로스와 아가페.” 『가톨릭철학』 4 (2002):43-66. 미소장
44 황용연. “실천신학으로써 Caritas 신학의 가능성 연구.” 『복음과 문화』 12(2008): 57-9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