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18세기 영국사회의 변화와 위기의 시점에서 교회를 개혁하고 사회개혁운동을 전개한 요한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의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을 살펴보고자 한다. 당시 웨슬리의 사회적 행동이 이웃과 사회를 돌보는 사회적 책임으로 나아가게 했던 점을 주목하며 웨슬리의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의 추동요인을 살펴보고, 오늘날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요구받는 한국교회의 실천적 지향점과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기의 웨슬리의 주요 저널들과 설교를 검토하고, 웨슬리에 관한 2차 문헌을 참고하여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웨슬리의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의 추동 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웨슬리는 사회적 위기가 등장한 18세기 생활세계가 변화하는 영국사회에서 벼랑 끝에선 가난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고자 하였다. 그 사랑은 개인적인 연민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social empathy)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웨슬리는 영국의 공식적인 사회보호제도가 제한적으로 기능하였을 때 국가가 담당하지 못하는 사회적 보호에 대한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웨슬리는 이신론적 사조와 영국 국교회의 부패 등 당시 무기력했던 영국의 국교회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원론으로서 사회적 성화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오늘날 코로나 이후 건강과 생활의 위협, 빈곤 심화, 양극화, 생태적 위기, 정신건강의 문제 등 심화되어 가는 사회적 위험에 대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사회적으로 신뢰와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를 부여한다.

This study examine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by John Wesley (1703~1791), who reformed the church and developed a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when British society was going through changes and crises. Paying attention to Wesley's Social Sanctification movement at the time which did not cease at personal salvation and the external growth of the church, but also covered a social responsibility for neighbors and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driving force of Wesley'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sought the practical orient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which nowadays the society requires publicity.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goals, Wesley's major journals and sermons in the 18th century were checked; a literature review was also conducted focusing on secondary literature regarding Wesley. The main research contents, and the main drivers of Wesley'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are as follows. First, In British society, where the social crisis emerged, the changing world of life was trying to convey God's love to the poor at the brink. The love includes social empath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econd, when the British public social protection system limitedly functioned, Wesley emphasized the role of the church and the responsibility for social protection that the nation could not take care of. Third, to innovate helpless Christianity at the time which was going through deism and corruption, Wesley presented social holiness as soteriology and developed a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movement in a definite way.

Christianity is being asked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publicity in response to novel and continuous social risks emerging in a rapidly changing and diversified society, such as the COVID-19 crisis, inequality and poverty, ecological crisis, and family dis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Wesley'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is a task for today'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활절 철야의 말씀예전에 관한 연구 = Easter Vigil, the Liturgy of Word, Old Testament readings, Armenian lectionary, Jerusalem lectionary 김명실 p. 7-33

설교의 조명자로서 '말씀의 빛'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light of the word" as the illuminator of preaching centering on the reformed theology / 개혁주의 신학을 중심으로 최진봉 p. 35-57

초월의 상실과 신세속주의적 경향 속에서의 설교 = The loss of the transcendent and preaching in the neosecular tendencies 김양일 p. 59-83

올바른 이신칭의 설교의 체계화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correct preaching in salvation by faith 이수식 p. 85-111

일상기도로서의 주기도문 활용 : Use of the lord's prayer in daily life : thinking about the era of various forms of communities /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시대를 생각하며 김경은 p. 113-138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홉스(Thomas Hobbs, 許燁)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의식'과 '참 신자상' 관점 분석 : An analysis of Thomas Hobbs's views of 'Christian calling' and 'the image of true Christian'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1921) : focused on "a thorn in the fire" / "燃中叢"("불쇽에 가시덤불")을 중심으로 안수강 p. 139-170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의 소멸, 그리고 회복의 전망 = The death of the methodist movement and a way to revive it 장기영 p. 171-202

보호기관 수용 위기청소년과 용서의 의미 = Meanings of forgiveness for young offenders at juvenile classification and detention centers 김정선 p. 203-227

투사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 Pastoral counseling considerations on projection 이두경 p. 229-252

예비목회자 후보생(신학대학원생)의 성(性)의식 조사연구 = A study on the sexual consciousness of pre-pastoral candidates(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권미주 p. 253-285

목회자 사모가 신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대처방식과 기독교 상담적 제언 = The coping methods and Christian counseling suggestions for stress that pastors' wives experience in relationships with church members 남민영, 김준 p. 287-319

아리스토텔레스의 습관 이해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 Christian educational reflections on Aristotle's understanding of habits : focusing on its proficiency, willingness, practicality, and communality / 숙련성, 자발성, 실천성,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고원석, 이민화 p. 321-345

론 헌터 (Ron Hunter)의 D6 미니스트리를 통해 본 교회의 가정과 연계한 신앙전승교육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aith through ministry connected with the church's family : focusing on Ron Hunter's D6 ministry 황병준, 조천희 p. 347-376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 교양과목 = A study on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 to overcome climate crisis : 강남대학교 중심으로 윤성민 p. 377-400

건강한 교회개척을 위한 분립개척 연구 : A study on hiving off for healthy church planting : focusing on Good Shepherd Church, Disciples Church, and Church With You / 선한목자교회, 함께하는교회, 제자들교회를 중심으로 구병옥 p. 401-427

공간 공유교회의 선교적, 기독교 윤리적 분석과 의미 = Missiological, Christian ethical analysis and meanings of space sharing church 이승규, 이장형 p. 429-455

요한 웨슬리의 기독교 사회복지실천의 추동(推動)요인과 시사점 = The influential factors of Johann Wesley'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implications 권행운 p. 457-486

스마트폰 중독 체계 원인에 따른 목회적 방안 = Pastoral plan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system 민장배, 이수환 p. 517-543

첨단기술과 한국교회 : Advanced technologies and Korean church : focusing on the metaverse case /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손화철 p. 545-569

도시 재생 사업과 도시교회의 공적 참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public participation of urban churches 김승환 p. 571-595

목회자 은퇴 연구 : A study on pastoral retirement from a perspective of the Catholic church / 공교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상덕 p. 597-622

개별자로서의 주체가 삶을 마주하는 방식에 대하여 : Methods of the subjects to achieve a life of individuality : a focus on the life history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고성휘 p. 623-653

목회자의 자기 성찰과 성숙을 위한 소고(小考) = Prolegomena to how to facilitate the self-examination of the pastor and his/her maturity 김회권 p. 487-516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제연구실. “포스트 코로나, 경제·사회변화에 대한 전망과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2020), 1-93. 미소장
2 권행운. “사회복지사의 특성과 공감유형.”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3 김동환. 『목사웨슬리에게 목회를 묻다』. 서울: 도서출판 kmc, 2004. 미소장
4 김승용, 오해춘. “18세기 요한 웨슬리의 사회복지 활동 연구.” 「교회와 사회복지」 3(2005), 223-274. 미소장
5 김승훈. 『사회복지발달사』. 서울: 나눔의집, 2010. 미소장
6 김연희. “영국 구빈법의 사상적 배경.” 「한국사회복지학」 6(1985), 23-44. 미소장
7 김용성. “코로나 19 바이러스 이후 교회공동체 회복을 위한 제언.”「제84회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4(2022), 164-165. 미소장
8 김태완.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및 사회정책 대응 방안.” 「보건복지 ISSUE and FOCUS」 385(2020), 113-123. 미소장
9 김홍기. 『존 웨슬리의 희년사상』.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1995. 미소장
10 김홍기. 『존 웨슬리의 성화론』. 서울: 한들출판사, 2008. 미소장
11 나인선. “근대 영국철학의 이신론과 영적 대각성 운동-이신론의 자연종교와 메소디스트예배 특성 비교 연구.” 「신학과 실천」 78(2022), 131-158. 미소장
12 류원렬. “교회의 사회적 참여와 행동을 위한 실천신학의 의미와 역할 성찰.” 「신학과 실천」82(2022), 825-849. 미소장
13 만프레드 마르쿠바르트, 조경철 역. 존 웨슬리의 사회 윤리: 그 실천과 원리들 . 대구: 보문출판사, 1992. 미소장
14 백광훈.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의 과제: 코로나19와 한국교회에 대한 연구–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55(2021), 95-125. 미소장
15 신문궤. “공감의 학제적 담론에서 공감신학의 실천으로.” 「신학과 실천」52(2016), 827-866. 미소장
16 알프레드 H. 버디, 장종철 역. 『존 웨슬리와 교육』.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 1989. 미소장
17 요한네스 휠스베르거, 강성위 역. 『서양철학사 하권: 근세와 현대』. 서울: 이문출판사, 2012. 미소장
18 우드 스케빙톤, 김선도 역. 존 웨슬리 偉大한 傳道者 . 서울: 한국기독교도서출판사, 1976. 미소장
19 이준우. “공공신학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 사회복지실천의 성격과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4(2017), 333-366. 미소장
20 전석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교회 선교의 과제와 전망.” 「선교신학」 68(2022), 208-235. 미소장
21 조성돈. “위드코로나 시대의 실천신학적 교회론.” 「신학과 실천」 78(2022), 715-738. 미소장
22 정병국. “계몽주의에서 아이작 뉴턴의 역할에 대한 비평.” 「인문과학연구」 41(2014), 225-244. 미소장
23 존 웨슬리, 마경일, 송흥국 역.『죤 웨슬리 총서』. 서울: 유니온 출판사, 1983. 미소장
24 테오도어 런연, 김고광 역. 『새로운 창조: 오늘의 웨슬리 신학』.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9. 미소장
25 조오지 크로프트 셀, 송흥국 역. 존 웨슬레의 재발견 .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8. 미소장
26 황병준, 김윤기. “17~18세기 유럽 디아코니아를 통해 본 한국교회 디아코니아 실천 방안 연구.” 「신학과 실천」 67(2019), 583-611. 미소장
27 Bready, J. W. England, Before and After Wesley: The Evangelical Revival and Social Reform. London: Hodder & Stoughton, 1938. 미소장
28 Meeks, M. Douglas. The Portion of the Poor. Nashville, TN: Kingswood Books, 1995. 미소장
29 Fitchett, W. H. Wesley and His Century. New York: Abingdon, 1908. 미소장
30 Wearmouth, Robert F. Methodist and Common People of the 18 Century. London: Epworth, 1945. 미소장
31 Wearmouth, Robert F. Methodism and The Working-Class Movements of England 1800-1850. London: Epworth, 1947. 미소장
32 Wesley, John. The Standard Sermons of John Wesley. Edited and Annotated by Edward H. Sugden. London: Epworth, 1968. 미소장
33 Wesley, John. The Letter of John Wesley. Edited by John Telford, London: Epworth, 1931. 미소장
34 Wesley, John. The Works of John Wesley, Vol 25, Letters I, 1721-1739. Edited by Frank Baker, Oxford: Clarendon, 198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