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국 현당대문학 속에 담긴 차문화를 고찰하였다. 한국에서는 중국 차엽이나 차문화 본래에 대한 연구나 고대 다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 이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복건차엽』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였고, 라오서의 작품 속에 투영된 차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라오서의 『찻집』 속에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낸 차문화에 관한 인식, 즉 ‘라오서의 차문화 인식’, ‘베이징의 차문화’, ‘음차 장면’, ‘다객의 특징’ 등에서 독특한 중국 베이징의 차문화가 담겨져있음을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중국 차문화에 대한 깊은 인식은 현당대문학에 과학적 창작 이념을 건립해주고, 차문화의 전승 발전에도 추동적인 역할을 하였다. 차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것은 중국의 전통정신을 계승하고, 현당대문학에 대한 창작 사유를 확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상우(2003), “初探⽼舍的『茶館』”, 『中國⼈⽂科學』, (26): 50-60. | 미소장 |
2 | 윤병상(2007), 『다도고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 | 짱유화(2013), 『茶經講說』, 서울: 도서출판 삼녕당. | 미소장 |
4 | 陳⽂華(2002), “论中国茶道的形成历史及其主要特征与儒释道的关系”, 『农业考古』, (2): 46. | 미소장 |
5 | 何桃(2018),“我國⽂學作品中的茶⽂化賞析”,『福建茶葉』, 40(3): 273. | 미소장 |
6 | 胡絜⾭(1982), 『⽼舍⽣活與創作⾃述』,北京: ⼈民⽂學出版社. | 미소장 |
7 | ⿈秋瑩(2018), “我國現代⽂學作品中的“茶語”探析”, 『福建茶葉』, 40(4): 396. | 미소장 |
8 | 剋瑩・李穎編(1982), 『⽼舍的話劇藝術』, ⽂化藝術出版社. | 미소장 |
9 | 孔祥娟(2017),“解讀⽼舍『茶館』中北京茶⽂化的特⾊”, 『福建茶葉』, (6): 330-331. | 미소장 |
10 | ⽼舍(1995a), 『⽼舍⽂集』(第7卷),北京: ⼈民⽂學出版社. | 미소장 |
11 | ⽼舍(1995b), 『⽼舍⽂集』(第11卷),北京: ⼈民⽂學出版社. | 미소장 |
12 | ⽼舍(1995c), 『⽼舍⽂集』(第14卷),北京: ⼈民⽂學出版社. | 미소장 |
13 | ⽼舍(1995d), 『⽼舍⽂集』(總16卷),北京: ⼈民⽂學出版社. | 미소장 |
14 | 李煥英(2018),“現當代⽂學作品與茶⽂化的融合”,『福建茶葉』,40(9): 292. | 미소장 |
15 | 连建峰(2018),“⽼舍作品中茶⽂化的⽂学性解读”,『福建茶葉』,40(3): 422. | 미소장 |
16 | 滕永⽂(2018),“現代⽂學中的茶⽂化研究”, 『福建茶葉』, 40(10): 414. | 미소장 |
17 | 王海燕(2015), “⽼舍作品中的茶⽂化”, 『名作欣賞』, (14): 155-156+170. | 미소장 |
18 | 王利榮(2018), “茶⽂化背景下現當代⽂學批評發展”, 『福建茶葉』, 40(12): 424. | 미소장 |
19 | 王玲(2007), “北京茶⽂化”, 『北京紀事』, (1): 49-51. | 미소장 |
20 | 王紫星(2017), “⽼舍作品中的茶⽂化探源”, 『福建茶葉』, 39(11): 325. | 미소장 |
21 | 熊庆元・陈⼦善(2014), “⼈间·名家经典散⽂书系:茶”, ⼭东⽂艺出版社. | 미소장 |
22 | 燕秀麗(2017), “中國現代⽂學中的茶⽂化考察”, 『福建茶葉』, 39(10): 409-410. | 미소장 |
23 | 于欣⼒・傅泊寒编(2008), “中国茶诗研究”, 云南⼤学出版社. | 미소장 |
24 | 袁丁(2016), “⽼舍⽂學作品裏的茶⽂化”, 『福建茶葉』, 38(9): 387-388. | 미소장 |
25 | 張寧(2018),“傳統茶⽂化對中國現當代⽂學資源思潮的影響”, 『福建茶葉』, 40(6): 431. | 미소장 |
26 | 朱郁华(2002),“⽼舍与北京茶馆⽂化”, 『农业考古』, (12): 140-14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