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국 현당대문학 속에 담긴 차문화를 고찰하였다. 한국에서는 중국 차엽이나 차문화 본래에 대한 연구나 고대 다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 이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복건차엽』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였고, 라오서의 작품 속에 투영된 차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라오서의 『찻집』 속에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낸 차문화에 관한 인식, 즉 ‘라오서의 차문화 인식’, ‘베이징의 차문화’, ‘음차 장면’, ‘다객의 특징’ 등에서 독특한 중국 베이징의 차문화가 담겨져있음을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중국 차문화에 대한 깊은 인식은 현당대문학에 과학적 창작 이념을 건립해주고, 차문화의 전승 발전에도 추동적인 역할을 하였다. 차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것은 중국의 전통정신을 계승하고, 현당대문학에 대한 창작 사유를 확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aper examines the tea culture contained in the Chinese Modern Literature. In Korea, most of the studies on the original Chinese tea culture or ancient Tea Poem are conducted,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is requir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papers published in Fujian Tea were analyzed, and the specific appearance of Tea culture projected in Lao She’s Tea House was examined. Tea House contains the unique tea culture of Beijing, China, in the perception of tea culture created by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namely, ‘Beijing’s Tea Culture’, ‘Drinking Tea Scene’, and ‘Characteristics of Manzu tea guests’. The deep perception of Chinese tea culture established a scientific creative ideology in the Modern Literature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Recognizing the value of various elements of tea culture will help to inherit the traditional spirit of China and expand the creative thinking of Modern Liter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acculturation stress in marriage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김아영, 김가은 p. 3123-3135

30-50대 아버지의 다차원적 자아존중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분석 =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for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multi-dimensional self-esteem level of fathers : between the ages of 30-50 김예랑 p. 3137-3150

전통문화를 담은 전라남도 해안경관 가로시설물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reet facilities for coastal landscapes in Jeollanam-do containing traditional culture 정기석, 이규봉, 김용준 p. 3151-3165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olescent stres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욱, 박재완, 박지혜 p. 3167-3180

독일문제와 관련한 독일 폴란드간 역사 교과서 공동서술협력 = The cooperation on history textbooks between Germany and Poland related to the German question 김진호 p. 3181-3195

Cultural analysis : 문화 분석 : 연구 글쓰기 과제에서 자기주도감 확립하기 / establishing self-authorship in research writing projects Eonjoo Park p. 3197-3211

(The) mediating effects of religious problem-solv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mental health in marriage immigrant women =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의 매개효과 Changhoon Seog p. 3213-3227

한국의 이주민 건강정책의 제도화 및 쟁점에 관한 탐색적 고찰 = The health policy of migrants in Korea : institutionalization status and issues 선봉규 p. 3229-3242

문제기반학습법(PBL)을 활용한 대학 교양 통일교육 프로그램 = Universities liberal arts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성현영, 박균열 p. 3243-3254

은유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ion through metaphor analysis 송나리, 강보라 p. 3255-3270

(A) study on the mechanism influencing the learning stickiness of undergraduate musicology students in online video-based instruction = 음악학과 학부생에 대한 온라인 화상 수업의 학습 고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Jingyi Wang p. 3271-3285

평생교육 연구에서의 삶의 질 개념 활용에 관한 문헌 고찰 = A literature review of usage of quality of life concept in lifelong education 윤민주, 전하람 p. 3287-3302

부산지역 거점도서관의 고령자대상 문화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안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senio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윤유라 p. 3303-3312

외국인 불법체류 관리대책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llegal foreign residence management policy 윤정숙 p. 3313-3328

옹기문화의 새로운 지향점 = The new direction of Onggi culture 이강수 p. 3329-3344

코로나19 시대 노인의 우울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이소영, 최유진 p. 3345-3360

꿈 분석을 통한 내면 탐색과 자기 이해 = A study on inner 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dream analysis 이소정 p. 3361-3376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자기돌봄과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self-care behaviors and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연호 p. 3377-3390

시민학습의 과정으로서 지역공동체 기반 작은도서관 'P' 참여 경험 =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based small library 'P' as a process of civic learning 이예지, 허준 p. 3391-3405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 함양 멘토링 프로그램 = A program to improve the vocational ethics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이원봉, 이영, 박균열 p. 3407-3419

비수도권 대도시 환자의 수도권 입원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patient service use of the capital regions for patients from non-capital regions : focused on inpatients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 거주환자를 중심으로 이희원, 박종호, 김유리, 김예은 p. 3421-3434

브라질 민주주의의 위기 : The crisis of democracy in Brazil : focused on fact-checker / 펙트체커를 중심으로 임두빈 p. 3435-3445

(A) theoretical review on the way to improv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 코로나19 기간 대학생의 자아개념 제고에 관한 이론적 고찰 Han Zhang, Kyungyee Kim p. 3447-3462

한국어교육을 위한 CCM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CC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정지은, 이은혜, 임수정 p. 3463-3478

개인가치 성향에 따른 공정여행의 관광지 선택속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ir travel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personal value inclination 주재식, 김영우, 김현숙 p. 3479-3493

21세기 한국 주거정책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 = A historical and institutionalistic approach to Korean housing policy in the 21st century 허용창 p. 3495-3510

협동작품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복지시설 지도자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collaborative works on belonging and connectedness of leaders of youth welfare facilities 홍선미 p. 3511-3522

이야기심리학 기반의 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based on narrative psychology : the case of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depression due to family conflict / 가족 갈등으로 우울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단일 사례 홍지연, 김밀양 p. 3523-3537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career-interrupted women's employment support program 홍진주, 정세미, 조수민, 김은정 p. 3539-3554

북한 경제정책의 개혁과 반개혁에 관한 검토 = A review on the reform and anti-reform of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강경화 p. 3555-3570

영어 마을 체험이 중학생들의 발음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nglish village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pronunciation : focusing on English voiced sibilants / 영어 유성 치찰음을 중심으로 김무학, 김병선 p. 3571-3582

노인 사회참여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김준수, 장영은 p. 3583-3595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Korea and China nursing students =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연구 Hee Moon, Chunja Sun, Dongmei Li p. 3597-3611

말뭉치 분석을 활용한 '좋다'의 어휘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Jota' using corpus analysis 박건숙 p. 3613-3624

신학대학교 평생교육원의 확장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theological seminary : focused on organ class / 오르간 강좌를 중심으로 박은영 p. 3625-3634

좋은 죽음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consideration on signing advance medical directives for well-dying 방희명 p. 3635-3647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grit in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배미경(진우), 이영림 p. 3649-3662

온라인 플립러닝 학습경험이 예비교사의 과제가치와 학습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online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 변현정 p. 3663-3678

『언어와 매체』 내 문법 요소 단원의 '표현 효과' 학습 활동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activity of 'expression effect' in Language and Media's grammatical elements unit 신희성 p. 3679-3694

오오카 쇼헤이 『구름의 초상』에 나타난 '전후' 일본 텔레비전 전파 할당 양상 연구 = A study on Shohei Ooka's Portrait of Cloud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war' Japanese television frequency channel 우연희, 신인섭 p. 3695-3707

스마트폰 과의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이영숙 p. 3709-3724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self-efficacy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a disability :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knowledge / 양육지식의 조절효과 연구 이재구 p. 3725-374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술 표현 연구의 동향과 과제 = Trends and challenges in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xpression for academic purposes 이지영 p. 3741-3753

(The) effect of professor-learner and learner-learnerinterac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synchronous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 대학생의 온라인 Synchronous Learning에서 교수-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in Zhang, Heung Kou, Sukyoung Cho p. 3755-3768

지역사회를 활용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capstone design classes using local communities 장영은 p. 3769-3778

또래애착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on the depress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 stigma /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일영 p. 3779-3794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의 정서적 변화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 사례연구 = A single case study of the effect on depression of children's emotional changes in the process of sandplay therapy 정효정, 김밀양 p. 3795-3809

하박국 페셰르에 나타난 의(義)의 교사의 역할과 쿰란 공동체의 정체성 = The role of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and the identity of qumran community in Habakkuk Pesher (1QpHab) 조동욱, 권혁남 p. 3811-3823

'ESG'와 '기후'에 관한 뉴스 빅테이터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ws big data on 'ESG' and 'climate' 최신인 p. 3825-3835

타로카드의 심리학적 적용에 대한 제언적 고찰 = A proposal for the psychological application of tarot cards 최경희 p. 3837-3848

消費者對服裝可持續面料認識的信賴研究 : Research on consumers' trust in awareness of sustainable fabrics for clothing : center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Anhui Province / 以安徽省女大學生為中心 劉瑩, 李英淑 p. 3849-3860

감정노동자의 자기자비가 회복탄력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motional workers' self-compassion o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박유미, 조동혁 p. 3861-3876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internet gaming addiction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중국 대학생의 부모-자녀애착과 인터넷 게임 중독 관계 연구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Bochan Shi p. 3877-3892

지역아동센터의 돌봄 서비스 제공 전달체계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The delivery system for the provision of care services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is a service impact on quality 손명동 p. 3893-3905

효율적인 중국어 보어(補語) 교육방안 연구 = A study on efficient Chinese complement education method 손정일 p. 3907-3920

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family health i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family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ies with disabilities 신유선, 정갑주, 김우용, 백민소 p. 3921-3934

조선후기 가사의 대중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popularization patterns of Gasa in the late Chosun Dynasty : focusing on Lee Yun-young's Gasa / 이운영의 가사 작품을 중심으로 양정화 p. 3935-3950

(An) analysis of the stress relief effect of appreciation of oriental paintings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family expectations = 동양화 감상이 중국 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및 가족 기대에 대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Zhenzhen Yi, Heung Kou, Sukyoung Cho p. 3951-3965

Application of 'metaverse' teaching-learning method of university classes, problems and utilization plan = 대학수업의 '메타버스' 교수학습법 적용, 문제점 및 활용방안 Woohong Cho p. 3967-3977

대졸자의 취업준비활동 경험이 취업성공기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ge graduates' job preparation activities on the duration of employment success 최대훈 p. 3979-3992

스포츠 클럽 시스템 도입을 위한 독일 사례 분석 = German case study for sports club system implementation 최주현 p. 3993-4006

Исследование идиоматических выражений со словом 'речь/язык' в русском, корейском и английском языках = A study on the contents of 'speech' : focusing on idiomatic expressions in Russian, Korean, and English Хо Сон Тэ p. 4007-4020

중국 현당대문학 속 차문화 고찰 : A study on the tea culture in Chinese modern literature : focusing on Laoshe's Tea House / 라오서(老舍)의 『찻집(茶馆)』을 중심으로 황지유 p. 4021-4036

사진 기반 vs. 동영상 기반 SNS 광고 유형이 광고 수용자의 공감 및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Photo-based vs. video-based social media ad types effects on ad recipients' empathy and intention to share :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dynamic level in photos and videos / 사진 및 동영상內 동적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yu Bu, 최은경 p. 4037-4048

基于格雷马斯符号学谈电影《独行月球》的叙事 = A study of the film narration of the film Moon Man by Graymas Semiotics 刘晓峰 p. 4049-4064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이진아, 박서진 p. 4065-4080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work agility : mediation effect of job challenge /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아, 탁진국 p. 4081-4096

국내 유아교육기관의 공중관계성(PR) 활동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and necessity of public relations (PR) activities of domest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김현정, 권종애 p. 4097-4122

IPA기법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using IPA technique 허송연, 김정희 p. 4113-4128

한국판 올덴버그소진척도(K-OLBI)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Oldenburg burnout inventory (K-OLBI) 강종수 p. 4129-4143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이용한 조직문화 핵심가치 분석 : A core value analy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 case of "A" company / A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영 p. 4145-4160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상우(2003), “初探⽼舍的『茶館』”, 『中國⼈⽂科學』, (26): 50-60. 미소장
2 윤병상(2007), 『다도고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3 짱유화(2013), 『茶經講說』, 서울: 도서출판 삼녕당. 미소장
4 陳⽂華(2002), “论中国茶道的形成历史及其主要特征与儒释道的关系”, 『农业考古』, (2): 46. 미소장
5 何桃(2018),“我國⽂學作品中的茶⽂化賞析”,『福建茶葉』, 40(3): 273. 미소장
6 胡絜⾭(1982), 『⽼舍⽣活與創作⾃述』,北京: ⼈民⽂學出版社. 미소장
7 ⿈秋瑩(2018), “我國現代⽂學作品中的“茶語”探析”, 『福建茶葉』, 40(4): 396. 미소장
8 剋瑩・李穎編(1982), 『⽼舍的話劇藝術』, ⽂化藝術出版社. 미소장
9 孔祥娟(2017),“解讀⽼舍『茶館』中北京茶⽂化的特⾊”, 『福建茶葉』, (6): 330-331. 미소장
10 ⽼舍(1995a), 『⽼舍⽂集』(第7卷),北京: ⼈民⽂學出版社. 미소장
11 ⽼舍(1995b), 『⽼舍⽂集』(第11卷),北京: ⼈民⽂學出版社. 미소장
12 ⽼舍(1995c), 『⽼舍⽂集』(第14卷),北京: ⼈民⽂學出版社. 미소장
13 ⽼舍(1995d), 『⽼舍⽂集』(總16卷),北京: ⼈民⽂學出版社. 미소장
14 李煥英(2018),“現當代⽂學作品與茶⽂化的融合”,『福建茶葉』,40(9): 292. 미소장
15 连建峰(2018),“⽼舍作品中茶⽂化的⽂学性解读”,『福建茶葉』,40(3): 422. 미소장
16 滕永⽂(2018),“現代⽂學中的茶⽂化研究”, 『福建茶葉』, 40(10): 414. 미소장
17 王海燕(2015), “⽼舍作品中的茶⽂化”, 『名作欣賞』, (14): 155-156+170. 미소장
18 王利榮(2018), “茶⽂化背景下現當代⽂學批評發展”, 『福建茶葉』, 40(12): 424. 미소장
19 王玲(2007), “北京茶⽂化”, 『北京紀事』, (1): 49-51. 미소장
20 王紫星(2017), “⽼舍作品中的茶⽂化探源”, 『福建茶葉』, 39(11): 325. 미소장
21 熊庆元・陈⼦善(2014), “⼈间·名家经典散⽂书系:茶”, ⼭东⽂艺出版社. 미소장
22 燕秀麗(2017), “中國現代⽂學中的茶⽂化考察”, 『福建茶葉』, 39(10): 409-410. 미소장
23 于欣⼒・傅泊寒编(2008), “中国茶诗研究”, 云南⼤学出版社. 미소장
24 袁丁(2016), “⽼舍⽂學作品裏的茶⽂化”, 『福建茶葉』, 38(9): 387-388. 미소장
25 張寧(2018),“傳統茶⽂化對中國現當代⽂學資源思潮的影響”, 『福建茶葉』, 40(6): 431. 미소장
26 朱郁华(2002),“⽼舍与北京茶馆⽂化”, 『农业考古』, (12): 140-14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