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표준어와 방언 관련 교육내용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표준어의 제정과정을 살펴보고 오늘날 언중들에게 깊이 인식된 표준어와 방언의 대립적 관계에 대한 이유를 선행 연구물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제1차부터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까지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준어와 방언 관련 교육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언중들이 가지고 있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인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표준어와 방언을 대립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 표준어와 서울말이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교육내용으로 삼지 않은 점, 방언을 언중의 국어생활에 활용되는 ‘언어’로서 다루지 않는다는 점 등을 비판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방언 역시 화자의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언어이므로 화자가 어떠한 목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표준어나 방언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국어교육의 주요한 교육내용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국어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과 지향점 탐구 = Critical considera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content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and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강동훈 p. 7-31

리토르넬로와 독자의 텍스트 이해 : Ritornello and readers’ text understanding : focusing on 11 chapters of Deleuze and Guattari’s Mille Plateaux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1장을 중심으로 김도남 p. 33-63

독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실천성 고찰 : A study on the practicality for self-understanding of the reader : focus on Paul Ricoeur’s text hermeneutics / 폴 리쾨르의 해석학 이론을 토대로 김예진 p. 65-86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 소양 함양을 위한 국어 교과서 구성 방안 = The composition of Korean textbooks to cultivate the literac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김윤옥 p. 87-109

들뢰즈의 배치 개념과 쓰기 교육 방향 : Deleuse’s agencement theory and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 focusing on cross-curricular writing education / 범교과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은지, 전제응 p. 111-133

미국 국어 교과서의 문식성 학습 활동 분석 = Analysis of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in American Korean textbooks 박혜림 p. 135-157

초등문학교육에서 동아시아 아동문학의 위상과 역할 = The status and role of East Asian children’s literature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서사문학 작품 수록 현황을 중심으로 방은수 p. 159-179

온라인 문식 환경에서 독자의 편향성에 관한 읽기 교육적 고찰 =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on the readers’ bias in an online literacy environment 백희정 p. 181-212

교과 융합을 통한 '초등국어교육 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through subject convergence 서현석 p. 213-235

온라인 원격수업 시나리오 기반 읽기 평가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 A study on the design model for online remote class scenario-based reading assessment 신윤경 p. 237-262

표준어와 방언 관련 교육내용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related to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안부영 p. 263-289

예비교사의 교과 통합 수업 능력 함양을 위한 국어과 강좌 운영 사례 = A case study of Korean education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curriculum-integrated teaching competence 염은열 p. 291-322

국어과 교재에서 평가의 개선 방향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ed on reading area /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이경남 p. 323-345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eacher education for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이준호 p. 347-369

문장 지도의 양상과 문제점 분석 = Problems of sentence teaching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창근 p. 371-394

국어과 성취 기준의 교과서 반영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reflec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subjects in textbooks : focusing on connection and integration / 연계와 통합을 중심으로 임천택 p. 395-420

아동용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identity of children’s graphic novels : focusing on works published in Korea after 2010 / 2010년 이후 국내에 출간된 작품을 중심으로 천효정 p. 421-439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핵심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r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based o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time change in the grammar area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최규홍 p. 441-461

백워드 교육과정 2.0 템플릿 기반 초등 저학년 교과 융합형 국어과 수업 개발 및 적용 : Exploring an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as convergence for elementary’s lower grades by applying the backward design 2.0 template : focusing on the grammatical field /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한수현 p. 463-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