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시대 변화를 이해하여 한국/고전/문학의 개념을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고전과 현대, 한국과 세계를 대화적으로 연결하는 교육과 연구의 큐레이션 개념을 제안하고, 소통적 고전문학의 연구와 교육이 창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한국고전문학이라는 학술적 명명과 제도적 영역은 1950년대 이후에 확립된 국어국문학이라는 분과학문의 세부전공의 일부로 제도화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과 디지털 시대에 문학 수용자의 초다양성이 활성화되고 (기계)번역을 통해 문화간 소통이 다양화되는 현재의 문학 현상을 아우르기에, 대략 70여 년 전에 제안되고 확립된 ‘(국어국)문학’ 개념으로 해당 현상을 포섭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문학, 또는 고전문학의 개념과 학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현대는 국적, 언어, 인종의 경계를 넘어선 엑소포니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문학과 문화, 예술 수용과 창작의 장르적 경계와 국경을 넘는 활동도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문학의 개념의 확장적 재구성이 필요하며, 언어, 장르, 국경이라는 경계를 이월하고 연결성을 실현하는 제도적, 실천적 모색이 필요하다. 변화하는 젠더 감수성과 인권 감수성을 고려한 고전의 향유와 교육 방안도 요청된다.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curation concept of education and research that interactively connects classics and modern times, Korea and the world, and a communicative I searched for ways to innovate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is, the viewpoints, perspectives, methods, and alternatives of research and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in the fields of humanities, Korean studies, and classical literature were sought.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part of the sub-major area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stablished since 1950s, and continues to this day. In the global environment and the digital age, the super-diversity of literature audiences is activated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diversified through (machine) translation, encompassing the current literary phenomenon, which was proposed and established about 70 years ago. There are parts that are inappropriate to cover the phenomenon with the concep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ek a direction for the deconstruct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s and disciplines of Korean literature or classical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exophony activities that transcend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language, and race are increasing. Activities that transcend genre boundaries and borders of literature, culture and art acceptance and creation are also activated. Accordingly, an expans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is required, and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earch is needed to carry over the boundaries of language, genre, and national border and realize connectivity.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