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항염증 및 항균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SLPI를 대상으로 치아이동 과정에서 치주조직내 발현 및 기능을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수컷 흰쥐에서 교정용 Ni-Ti 스프링을 상악 좌측 제1대구치와 절치 사이에 장치하고 50 cN 힘으로 근심 이동시켰다. 교정력을 가한 후 1일, 2일, 6일째에 희생하여 상악 좌측과 우측 치주인대와 치조골 조직을 채취한 후, 치아이동에 따른 SLPI 발현 위치 및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사람 치주인대세포에서 SLPI siRNA 처리 후, 기계적 압박과 장력을 가하여 시간에 따른 SLPI, IL-6, IL-8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Real time PCR 결과, 교정력 적용 후 1일, 2일, 6일 치아조직에서 SLPI mRNA 발현이 교정력을 가하지 않은 치주조직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Western blot에서 SLPI 단백질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면역형광염색에서 SLPI는 주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고, 교정력을 가한 후 더 강한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또한 시험관에 배양된 사람 치주인대세포에서 SLPI는 MAPK 경로를 조절하였다. SLPI siRNA처리와 함께 기계적 장력을 가했을 때, 시간에 따른 SLPI및 관련 염증 사이토카인 IL-6와 IL-8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기계적 압박을 가했을 때는 역으로 IL-8 발현이 감소되었다. 치주인대에서 SLPI 발현과 기계적 힘에 대한 염증조절성 cytokine 반응 차이는 SLPI가 교정적 치아 이동을 조절하는 작용 메커니즘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Multiple genes are involved in periodontal tissue remodeling in orthodontic tooth movement (OTM).

Studies have attempted to establish the precise mechanism of remodeling during OT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action and functional roles of secretory leukocyte peptidase inhibitor (SLPI), a molecule enhancing tissue repair during OTM. The upper first molars of rats were moved mesially by applying a Ni-Ti coil spring on the upper incisors as an anchor. Primary cultures were prepared from human periodontal ligament (HPDL) cells and subjected to tension and compression forces.

In vivo: The SLPI level increased at 1d, 2d, and 6d after OTM by real time-PCR and Western blot. Immunoreactivity against SLPI was mainly found in the PDL and enhanced in the tension and compression side. In vitro: SLPI worked by acting on MAPK pathways including ERK and p38. SLPI mRNA was upregulated by tension or compression. SLPI siRNA treatment induced upregulation of IL-6 and IL-8 in HPDL cells during the tension applications. However, SLPI siRNA treatment induced the downregulation of IL-8 during compression appl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PI in the PDL may be involved in inflammation control in OT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Role of mechanical force-induced secretory leukocyte peptidase inhibitor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치주인대세포에서 기계적 힘에 의한 Secretory Leukocyte Peptidase Inhibitor 발현과 기능 Hong-Il Yoo, Hyeon-Su Kim, Dong-Wook Yang, Su-Young Lee, Sun-Hun Kim p. 1-14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장착 시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악골의 변형률 변화 = Difference of strain in craniofacial skeleton according to retraction force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오현주, 임자경, 전윤식, 김민석 p. 15-32

치의학교육에서 예비의료인의 전문직업성 고취를 위한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논의 =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to promote professionalism in dental education 차승래, 김흥중, 양광열, 유선경 p. 33-48

Ursolic acid induced apoptosis in human osteosarcoma cell lines = 사람 골육종암세포에서 유솔릭산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 In-Soo Choi, Young-Jin Kim, Hae-Mi Kang, Odgerel Zunduijamts, In-Ryoung Kim, Bong-Soo Park p. 49-61

결찰 유도 치주염 마우스 모델에서 치조골 소실에 대한 노니의 효능 = Effect of Noni in alveolar bone loss in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mice model 홍혜린, 정보현, 유기연 p. 63-73

Heat-inactivated Weissella cibaria CMU downregulates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Porphyromonas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 LPS처리 치은 섬유아세포에 열불활성화 Weissella cibaria CMU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MMPs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Min-jeong Kim, Yong-Ouk You, Hyun-jin Kim p. 75-85

Implications of principles in successional teeth formation on tooth regeneration = 치아재생을 위한 계승치 형성 신호전달체계의 이해 Tae-Young Kim, Elina Pokharel, Seungjun Lee, Gun-Woo Ku, Soon-Gyu Kwon, Ji-Hyeon Kim, Jung-Hoon Lee, Seong-Uk Jeon, Min-Jae Chae, Youngkyun Lee, Chang-Hyeon An, Jae-Young Kim p. 87-95

초고속활성 탐색법을 활용한 신경보호 효능 천연물 소재 탐색 연구 = Discovery of a neuroprotective natural product by high throughput screening 이희수 p. 97-104

Expression patterns of high-mobility group genes during tooth development = 치아발생 중 Hmg 유전자의 발현 패턴 Minjae Kyeong, Dinuka Adasooriya, Jinsun Kim, Sung-Won Cho p. 105-116

(A) novel enhancer of Shh in tooth development = 치아발생 중 Shh의 새로운 인핸서 Dinuka Adasooriya, Minjae Kyeong, Jinsun Kim, Sung-Won Cho p. 117-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