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 사진에서의 여성 재현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유입 등 사회, 문화적 변화와 함께 1990년대부터 변화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함께 전개된 포스트페미니즘은 페미니즘의 패러다임을 ‘평등’에서 ‘차이’로 바꾸는데, 특히 한국 여성사진작가들은 이 ‘차이’를 구현함으로써 여성 재현 방식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는 포스트페미니즘의 주요 이론을 통해 1990년대 말부터 여성을 주제로 괄목할만한 작업을 해온 김옥선과 니키리의 작품을 분석하여 ‘차이’의 논의가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페미니즘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가 차이를 중심 담론으로 하는 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를 남녀의 차이에 주목한 ‘젠더 차이’, 여성들 간의 다양성에 따른 ‘여성들 간의 차이들’, 젠더를 넘어 문화, 인종, 계급, 성정체성 등 모든 차이가 ‘복합적으로 교차하는 차이들’이라는 3단계로 구분함에 따라 각각의 세 단계를 대표하는 뤼스 이리가레의 ‘반사경’,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벌탄 이론’,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분석의 틀로 삼아 김옥선과 니키리의 작품을 살펴보는 것이다. 두 작가 모두 ‘차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존의 여성 재현 방식과 구분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데, 김옥선은 개별 주체들의 삶이 지니는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이리가레가 그간 은폐되어 왔다고 주장한 개인 여성의 주체성을 인정하며, 그동안 소외되고 침묵해온 존재들의 삶이 시각적으로 유형화됐던 것과 달리 그들 간의 차이를 온전히 드러내어 스피박이 주장한 ‘진정한 말걸기’를 구현한다. 니키리는 각 프로젝트마다 스스로 연출한, 전혀 다른 정체성을 드러내는 모습을 통해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를 넘나들며 모든 차이를 해체하는 방식으로 버틀러가 주장한 고정되지 않은 정체성, 수행적 주체를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뇌성마비 장애 학생의 지속 가능한 상지 재활 운동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기반 동기부여 UX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mobile-based UX design for motivating sustainable upp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disorder 강예원, 유승헌 p. 1-24

크로모테라피를 적용한 살롱디자인의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salon design applying the chromotherap. : focusing on improving social relations : 사회적 관계향상을 중심으로 강현정, 이진민 p. 25-40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시각장애인의 의생활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lothing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 김경아 p. 41-56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응용한 제품 디자인 폼팩터 방향에 관한 연구 = Analysis on design form factor direction of stretchable display applications 김도경, 김흥렬 p. 57-68

스토리텔링마케팅이 시각예술가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storytelling marketing on the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visual artists 김수용, 정윤희, 권병웅 p. 69-83

가야 문화권 유물에 관한 문양과 장식의 시각언어와 수사적 표현 : Visual language and rhetorical expression of patterns and decorations on relics of Gaya culture : focusing on earthenware, iron weapons, and accessories / 토기, 철제 무기류, 장신구를 중심으로 김은주, 김현태, 김건 p. 85-98

팬데믹 시대의 드로잉 공동체의 출현 : The emergence of a drawing community in a pandemic era : centering around the researcher’s projects /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김지희 p. 99-110

공예 메타데이터 구축을 위한 공예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aft class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of craft metadata 나은경, 이현수, 김예원, 이지현 p. 111-128

메타버스 기반의 체험형 역사박물관 디자인 발전 방향 연구 = A research on the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of experiential history museum based on metaverse 동하오 p. 129-144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교육콘텐츠 디자인 : Educational content desig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focused on HAHAHA HANGEUL (AR TUTORIAL BOOK) development / 하하하 한글(AR TUTORIAL BOOK)개발을 중심으로 민재윤, 김민 p. 145-159

한글과 로마자 타이포그래피의 내리맞춤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downward arrangement of Hangeul and Roman typography 박수민, 박우혁 p. 161-176

국내 소규모 가구 스튜디오 연구 : The study of small furniture design studios : focused on the maker movement / 메이커 무브먼트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박지민, 김상규 p. 177-188

모더니즘 미술에서 수학의 역할에 관한 소고 = A note on roles of mathematics in modernist art 신실라 p. 189-201

현대사회 디자인 중심의 변천과 디자이너의 역할 : The transformation of design centers in modern society and the role of designers : centered on the other design of "non-anthropocentrism" / '비인류중심주의'의 타자 디자인을 중심으로 양양 p. 203-215

픽사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미지와 내러티브 기능 연구 : A study of the narrative function of character costumes in Pixar animation : centered on the semiotic analysis of the costume design of the animation Coco / 애니메이션 <코코> 의상 디자인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오벽랑 p. 217-230

중국에서 무빙 포스터 정보전달 수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delivery of AR moving posters in China : through 3 types of AR posters / 3종류의 증강현실(AR) 포스터를 통하여 온성이, 구자준 p. 231-245

전기자동차 센터 페시아 디자인 트렌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 of design for central fascia of electric vehicle 왕명비, 김진성 p. 247-262

모빌리티 실내 레이아웃 트렌드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ior layout trend by mobility concept 유계범, 구상 p. 263-276

한중 흉배에 나타난 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atterns on the rank badge of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crane rank badge / 학흉배문양을 중심으로 유덕천, 정지숙 p. 277-290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성과 공간연구 = Site-specificity of ‘art house project’ and space study 윤의향 p. 291-308

키네틱아트를 응용한 도자 표현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eramic expression applied kinetic art : focused on cases of kinetic art artists expressing playful movements / 유희적 움직임을 표현한 작가 사례를 중심으로 윤이담록, 박중원 p. 309-322

중국 인촨시 허란산 암각화 관광상품 개발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of Helan Mountain rock painting in Yinchuan, China 이려, 한상윤 p. 323-341

미술치료에서 차크라 색채상징의 치료적 관점과 적용 가능성 탐구 = A study of the therapeutic perspective and applicability of Chakra color symbol in art therapy 이은혜, 정여주 p. 343-354

일제강점기 담배포장디자인의 메타포적 표현 연구 : Metaphor expression analysis of tobacco packaging design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uth Korea and Japan tobacco packaging design / 한국과 일본의 담배포장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종임 p. 355-366

브루탈리즘 표현특성을 반영한 패션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fashion textile design based on brutalism expression characteristics 이채영 p. 367-382

캐릭터 유형 분류 요인과 효과 연구 : A study on factors and effects that affect characters type classification : focused on MZ generation consumers /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임아영 p. 383-394

1990년 이후 한국 현대사진의 여성 재현 방식 :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after 1990s : realization of ‘difference’ in postfemimism[실은 postfeminism] / 포스트페미니즘의 '차이' 구현 장순강, 박숙영 p. 395-409

RTD 컵 커피 패키지에 나타난 디자인 경향 분석 : The analysis of design trends in RTD cup coffee packages : focused on color harmony and sustainability / 색채 배색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혜진 p. 411-422

웨인 힉비의 작품 연구 : A study on Wayne Higby’s works : focused on ceramic mural works / 도자 벽화 작품을 중심으로 허이보, 전원원 p. 423-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