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백제계 渡來⼈의 정체성을 백제 遺⺠과 연결을 지어 밝히려 한 본 연구는, 먼저 渡來⼈의 정체성의 양태를 백제 渡來⼈의 地名, 姓氏 등에서 찾았다. ‘⼤僧正舍利甁記’의 ‘百濟왕자’, 俗姓 ‘高志’씨의 분석, ⾏基 고향에 왕인 후예 성씨들이 많이 살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新撰姓氏錄』의 도래계 성씨 및 백강 전투에 참여한 인물들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渡來⼈이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밝혔다. 일본 고대문화의 鼻祖인왕인 후예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渡來⼈은 그들의 정체성을 수백 년 동안 지켰다. 渡來⼈을 위한 숙박 시설, 마한‧백제와 관련이 있는 말(馬) 사육 및 도요지 유적 등을 분석하여 河內,和泉 등 여러 곳에서 渡來⼈후예들은 동족집단을 이루었고, ⻄琳寺, 葛井寺, 野中寺 등 氏寺를 건립하였음을 살폈다. 이러한 요인들이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백제 遺⺠과 渡來⼈후예의 결합과정 및 정체성 이완 과정을 밝혔다. 皇子 시절부터 실권을 장악한 天武天皇은, 백강 전투 이후 백제 유민들의 지지를 받아내고자 그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에 유민들을 이주시키고 관직을 주었다. 이미 그곳의 토착 渡來⼈후예들은, 蘇我氏를 무너뜨린 天智天皇보다, 그들에게 우호적인 天武天皇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도래인 후예와 유민들의 도움을 받은 天武天皇은, 天智天皇 아들 ⼤友皇子와의 왕위계승 싸움에서 승리하였다. 天武天皇 집권 기간 도래인 후예와 유민들은 백제계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상황이 갖추어졌다. 백제 유민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는 渡來⼈후예와의 만남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天武天皇 때 실각하였으나 持統天皇 때 그의 딸을 왕비로 삼아 권력을 장악한 藤原不比等은, 渡來⼈후예와 유민들을 탄압하였다. 하지만 渡來⼈후예와 유민들의 강고한 정체성은 藤原不比等의 압력을 이겨내는 원동력이었다. 왕인 후예 ⼤僧正 행기가 이들의 구심점에 있었다.

백제계로서의 정체성은, ⾏基가 입적한 이후 급속히 약화되었다. 왕인 후예들이 漢系로 개변을 시도하는 사례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일본 정부는 백제 유민에게는 ‘百濟王氏’를, 渡來⼈후예에게는 『新撰姓氏錄』 등재를 통해 체제 내로 회유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백제계 渡來人 정체성에 대한 일 고찰 = A Study on the identity of Kudara Toraiins 박해현 p. 5-30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죽막동제사에 왜양식 제의가 포함된 배경 =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Wa-style religious services at the Baekje's Chungmakdong ritual site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우재병 p. 31-55

남원 교룡산성의 변천 과정과 고고학적 가치 = Transformation of Namwon Gyoryongsanseong fortress and its archaeological value 김세종 p. 57-93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최근 연구 경향 : A driving force of Balha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s and recent trends : focusing on 『The history of Balhae(渤海史)』 of Wei Guo-Zhong(魏國忠) / 웨이궈중의 『발해사』를 중심으로 권은주 p. 121-155

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 Trends and issues of Balhae archaeological research in Chinese academics : focusing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2010-2022 / 2010~2022년 발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김진광 p. 157-184

일본 고대국가와 예능 : The court entertainment in ancient Japan : based on the subordinate performing arts of the 8, 9th century / 8·9세기 복속의례형 예능을 중심으로 정진아 p. 185-207

정부의 동북공정 대응과 동북아역사재단 설립(2003~2006) = The government’s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2003~2006) 이정빈 p. 209-228

新出 墓誌자료를 통해 본 遼西 豪族의 존재 양상과 隋·唐의 懷遠鎭 鎭守 = A study on aspects of the existence of powerful clans(豪族) in the Liaoxi(遼西) region and Sui and Tang’s deploying forces in Hoewonjin(懷遠鎭) seen through Epitaph(墓誌) newly discovered 이성제 p. 95-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