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17세기 왕정복고기 잉글랜드 국교회의 설교문화를 당시 정치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자 한 시도의 일환이다. 이제껏 설교에 관한 연구는 세속화 담론의 측면에서 볼 때 ‘비본질적’ 주제로 여겨졌으나, 설교에 관한 최근 연구들은 17세기 잉글랜드 공적 담론에서 세속적 언어의 중요성 못지않게 종교적 언어의 영향력이 여전히 컸다는 점을 보여주어 종교적 담론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준다.

왕정복고 직후 국교도 설교는 왕의 권위를 신성화하는 작업에 지대한 노력을 기울였다. 1660년대 국교회는 일련의 정치적 이변을 신의 섭리로 이해하려 노력했다. 이러한 흐름은 1670년대 반가톨릭 혐오론이 확산하여 제임스 2세에 대한 의구심이 피어오르는 가운데서도 이어졌다. 왕정복고기 설교정치의 목적과 관심사는 시기별 주요 정치적 사건의 흐름에 따라 달랐으나, 17세기 후반 내내 설교문화가 잉글랜드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강했고, 설교의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다. 17세기 후반 국교회 설교는 종교적 통일성 유지를 공고히 함으로써 왕권의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한 국교회 차원의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