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통계적 소양이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접하는 많은 통계의 형태는 결과 자료이므로 통계적문제해결의 과정 중 결과 해석 단계는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사교육에 관한 데이터를제공하여 모평균 추정을 활용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이 결과 해석 단계에서 보인 특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교사교육에서의 통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많은 예비 수학교사들이 자료를 기반으로 결과를 해석하였으나 그 추론이 합리적이지 못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많은 예비 수학교사들은 공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의사결정을 하면서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의사결정을 했으나 그 내용은 교사로서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의사결정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예비 수학교사들은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세 단계에 대해서는 반성적 사고를 하고 있었으나, 결과 해석 단계에 대한 반성적 사고는 아무도 안 한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current society, where statistical litera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bility, statistical education utilizing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performing statistics, is required.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many forms of statistics we encounter in our daily lives are the inform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data on private education were provided to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a project was carried out i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a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the population mean estim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uring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First, man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terpreted results based on the data, but the inference was found to be a level of 2 which is not reasonable. Seco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made various kinds of decisions related to public education, such as improving classes and after-school classes. In additi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seem to have made decision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but they made general decisions that teachers could make, rather than specifically. Third,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f this study were reflective about the question formulation stage, organizing & reducing data stage, and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but no one was reflective about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 자리 수의 불규칙 배열 대상에 대한 초등학교 2학년의 수 세기 분석 = Analysis of second graders' counting an irregular arrangement of three-digit objects 장혜원 p. 469-486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Liu Wenting p. 487-509

CARE 모델 기반 수학학습 코칭 모델 개발 연구 = CARE model-based math learning coaching model development study 김정현, 고호경 p. 511-533

예비 수학교사들의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분석 : Analysis o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focus on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 결과 해석 단계를 중심으로 김소형, 한선영 p. 535-558

Veprtskii의 방법을 활용한 각의 삼등분 도구 제작 = A fabrication of an angle trisection tool using Veprtskii's method 한인기 p. 627-644

고등학교 수학과 <경제 수학>, 사회과 <경제> 교과서에 나타난 경제 용어, 함수 기호 및 함수 그래프의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terms & function notations and function graphs in high school <mathematics for economics>, <economics> textbooks 이경원, 권오남 p. 559-587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원주율의 지도방안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pi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최은아, 강향임 p. 589-610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college calculus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ding 이재화, 이상구, 함윤미 p. 61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