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친화제도의 실제적 운영 형태와 여성의 장기근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 제도도입과 운영의 측면에서 일가정 양립과 분리의 형태로 가족친화제도를 구분하여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에서 실시한 여성과학기술 인력 활용실태조사 통합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 분리형태의 가족친화제도는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을 최소화하고 장기근속을 하게 하는 반면, 일가정 양립형태의 가족친화제도는 장기근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공급자의 시각이 아닌 수요자의 시각에서 제도 운영과 제도의 실제적 활용을 고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제도운영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일과 가정에서 장기근속이 가능한 입체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벤처캐피털 및 중소벤처기업 실태조사를 통한 지방 벤처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promoting venture investment in non-capital area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venture capital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최종민 p. 1-27

영국의 지방정부 성과평가제도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K's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 focus on institutional changes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에서의 제도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오준혁, 김정학 p. 29-72

주요국 주택재산세 산정방식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perty taxaxtion[실은 taxation] system of selected countries 조무상, 이종하 p. 73-99

지방자치제도 변천과 지방의회 발전과제 = Changes in local autonomy system and development tasks for local councils 안성수, 정세영 p. 101-132

지역별 건강불평등과 정책지원 : Regional health inequality and policy support : focusing on policy demand affecting designation of medically vulnerable area support program /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지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수요를 중심으로 전미선, 한승혜 p. 133-158

통합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재검토 = A review on the legitimacy of integrated education 차동욱 p. 159-189

특별지방자치단체 시민참여의 역할과 정책방향 = A study on the citizen participation of special local agencies 김용철 p. 191-207

가족친화제도 운영과 여성의 장기근속 영향요인 분석 = Operation of family-friendly system an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ong-term employment of women 손선화, 엄영호 p. 209-233

고용지위 변화와 소득감소 : Impact of occupational changes on income declines :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emergency relief packages / 긴급지원제도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강지원, 김주리 p. 235-267

서울시 스마트시티 상생협력정책에 관한 사례분석 = A case analysis on the policy of cooperation and co-prosperity for smart city in Seoul 강정묵 p. 269-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