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광고 카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브랜드가치)×3(카피유형) 요인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독백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권유형 카피가 가장 광고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매스 브랜드의 경우 대화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카피를 유형을 차별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화장품 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카피 전략에 활용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부대학생들의 직업평가기준과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 Occupational evaluation criteria and dental hygienists of som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perception analysis study 윤성욱 p. 1-8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협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eam collaboration affecting team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team shared cognition, team transactive memory, team knowledge integration, and team efficacy with focus on consulting projects / 컨설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팀공유인지, 팀정보교류, 팀지식통합,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채상, 홍정완 p. 9-31

브랜드 가치 유형과 카피 유형에 따른 광고제작 전략 : Ad production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value and copy type : focusing on cosmetic brands /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유승엽 p. 33-42

(The) influence of voice endorsement on outcomes for the workers in China : 채택된 발언행동이 중국 기업의 직원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ng-hang Cui, Hyeok-gi Kwon p. 43-53

초임 유소년 축구지도자의 교수경험 탐색 = Exploring beginning youth football coach’s experience in teaching 윤주석, 이상행 p. 55-65

효율적인 감염병 검사 예약을 위해 클라우드에 기반한 예약 및 알림 시스템 = Cloud-based reserv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for efficient testing of infectious diseases 황보제성, 김호윤, 신승수 p. 67-76

정신장애인 동료지원활동의 고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employment for peer support activities of people with mentally disabled 최희철, 박동진 p. 77-86

Research on determine buying and selling timing of US stocks based on fear & greed index = Fear & Greed Index 기반 미국 주식 단기 매수와 매도 결정 시점 연구 Sunghyuck Hong p. 87-93

UTAUT를 이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us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using UTAUT 김태희 p. 95-102

성숙도 모델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 준비도 평가 = Evaluation of 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readiness of domestic SMEs according to maturity model 김경일 p. 103-110

비재무정보를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social enterprises using non-financial information 김혁, 이동명, 남기정 p. 111-122

컴퓨팅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대학 교양 SW 기초 교육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SW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노지예 p. 123-135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th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최동원 p. 137-145

AI 융합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solving task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최숙영 p. 147-157

통계분석 기법과 머신러닝 기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물의 지진취약도 공간분석 = A spatial analysis of seismic vulnerability of buildings using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omparative analysis 김성훈, 김상빈, 김대현 p. 159-165

LDA와 LSTM를 응용한 뉴스 기사 기반 선물가격 예측 = Futures price prediction based on news articles using LDA and LSTM 주진현, 박근덕 p. 167-173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스마트 고령자지원 시스템의 연구 = A study on the smart elderly support system in response to the new virus disease 조면균 p. 175-185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과 CONCOR 기법을 이용한 ICT 교육 동향 분석 = Analysis of ICT education trends using keyword 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and CONCOR technique 이영석 p. 187-19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Korean = 한국인 중·장년층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Jung-Hoon An, Chae-Mun Lee p. 193-200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orea Health Industry Research Institute (2017). 2017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 미소장
2 Ji Young Lee & Yong Sook Kim (2004).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Analy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ement Imag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Forms of Domestic Make-up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loth Industry, 6 (5), 575-584. 미소장
3 Seon-ui, Kim, Eun-eun, Park, Soo-kyung, Park, Mi-hyeon, Lee, Sun-joo, Choi, Sook-ja, Im (1997). A study on the ideal self-image of modern women expressed in cosmetic advertis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loth Industry , 21 (2), 277-285. 미소장
4 Byung-hee, Kim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advertising headlines. Advertising research . 75 , 9-34. 미소장
5 Cutler, B. D., & Javalgi, R. G. (1992). A cross-cultural analysis of the visual components of print advertising: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Communi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2, 71-80. 미소장
6 Campbell, C. (1987). The romantic ethic and the spirit of modern consumerism. Oxford, England:Blackwell. 미소장
7 Kotler, P. (1991). Marketing management: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7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미소장
8 Joo-Young Lee (1994). Analysis of cosmetic advertisements in Korean women's magazines in the early 1990s.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미소장
9 Hyo-Seong Kim (2002).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advertising effectiveness by advertising appeal type of functional cosmetics advertising.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미소장
10 Kyung-ho, Shin (1999). A study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headlin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word use: focusing on attention rate and preference. Korea University. 미소장
11 Young-kyung, Oh (1988). A Study on ‘Recall’ and ‘Attention’ According to Message Content Variables of Advertisement Headlines. Ewha Women University. 미소장
12 Jang Jeong-jeong (2009). Analysis of differences in cosmetic advertisement expression and brand imag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Korean/Chinese Laneige and Mamonde magazine advertisements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미소장
13 Yoon, Kim (2002). A Study on the Changes in Consumption Value of Cosmetic Advertisements Appearing in Women's Magazine: Focusing on Appeal Types and Consumption Value of Cosmetic Advertis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8 (1), 49-60. 미소장
14 Ma Xiaotong, Hyo Jung Kim, & Sungwook Hwang (2017). Content Analysis on Cosmetic Advertisements from Chinese versus Korean Magazines:Examining the Use of Rational/Emotional Appeals and Extrinsic Cues. Media, Gender, & Culture , 32 (4), 191-239. 미소장
15 Wan-seok, Kim & Yun-suk, Kwon, (1997). The effect of brand familiarity on the process of advertising attitude affecting brand attitude formation.. Advertising research, 34 , 31-49. 미소장
16 Yoon, K. (1992). Involvement level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In L. N. Reid (Ed.), Processing oh the 1992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pp. 46-54.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