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테이블 오브 큐리어시티 : 디자이너 셰프 최민영의 파인 다이닝 / 김선영 1
[Title] 1
[머리글] 2
식탁 위에 올라온 주제어는 호기심 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생각하는 손으로 찾아내는 궁극의 맛은 '아름다움' : 온지음 맛공방 조은희 방장, 박성배 수석연구원 | 글: 장남미 ; 사진: 이정우, 이종근 | p. 6-15 |
|
보기 |
일상의 미식, 그 성실한 근력 : 도예가 김정옥 | 글: 장남미 ; 사진: 이눅희 | p. 16-23 |
|
보기 |
산책도, 식사도 진심으로 한다 : 금속공예가 포(包) | 글: 주리아 ; 사진: 김잔듸 | p. 24-31 |
|
보기 |
건강하게 잘 먹으면 건강하게 잘 살게 된다 : 바느질 작가 최희주 | 글: 정성갑 ; 사진: 김잔듸 | p. 32-39 |
|
보기 |
기억하고 떠올리게 하는 밥의 마법 : 유리공예가 양유완 | 글: 장남미 ; 사진: 이명수 | p. 40-49 |
|
보기 |
잘 먹자, 살면서 자연스럽게 정해진 공동의 가치관 : 김순영, 임정주 작가의 나무 식탁 | 글: 정성갑 ; 사진: 이명수 | p. 50-57 |
|
보기 |
밥상이 나라의 운명을 바꾼다 : 조태권 광주요 그룹 회장 | 글: 장남미 ; 사진: 준초이 | p. 60-73 |
|
보기 |
그곳에서 만나는 미식과 공예의 이중주 | 글: 김혜준 | p. 76-81 |
|
보기 |
포크와 나이프, 숟가락과 젓가락 디자인으로 살펴보는 음식 도구와 문화의 상관관계 | 글: 김신 | p. 82-89 |
|
보기 |
식탁을 위한 맥시멀리즘은 무죄 | 글: 정성갑 ; 사진: 김잔듸 | p. 90-97 |
|
보기 |
기억 저편의 풍경으로부터 : 사진가 강진주 | 글: 주리아 ; 사진: 강진주 | p. 98-107 |
|
보기 |
계절의 감각을 느끼고, 자연의 이치를 받아들이고 : 장수경 온보담 대표 | 글: 임나리 | p. 108-117 |
|
보기 |
19세기 프랑스 왕실 식탁을 지배한 빛 : 유럽 최초의 크리스털 공방, 생루이 | 글: 양윤정 | p. 124-129 |
|
보기 |
테이블 오브 큐리어시티 : 디자이너 셰프 최민영의 파인 다이닝 | 글: 김선영 | p. 130-133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