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독립 보증(On Demand Guarantee)의 법리와 적용 사례 = Jurisprudence of on demand guarantee and its application / 노주희 ; 김진섭 1

논문요약 1

목차 2

I. 서론 4

II. 독립 보증(On Demand)의 성질과 원칙 6

1. 용어의 정립 6

2. URDG 758(청구 보증에 관한 통일 규칙 758) 6

가. URDG 758의 발전 6

나. URDG 758의 법적 성격과 그 적용 7

다. URDG 758상 독립 보증의 원칙 10

1) 제5조 보증 및 구상보증의 독립성 11

2) 제7조 비서류 요건 배제 원칙 11

라. 독립 보증 협약상 독립의 원칙 12

3. 독립 보증과 유사법률관계와의 차이 13

가. 통상 보증과의 구별 13

나. 손해보전약정(Indemnity 조항)과의 구별 13

다. 신용장 및 유통증권(Negotiable Instrument)과의 구별 14

4. 한국 판례의 태도 15

가. 독립 보증의 의의 15

나. 독립 보증 자급청구권의 내재적 한계 - 권리남용 15

1) 명백한 권리남용 15

2) 명백한 권리남용여부 판단 기준 16

5. 소결 17

III. 국내보증기관 발급 독립 보증 - 사례연구 17

1. 통상 보증과 독립 보증의 구별 - 광주은행/서울보증보험 사례(WS Tankship II BV v The Kwangju Bank Ltd & Anor England and Wales High Court(Commercial Court) Nov 25, 2011 사건) 17

가. 사실관계 17

나. 피고들의 주장 18

다. 법원의 판단 19

라. 검토 19

2. 실무상 사례 20

가. 불가항력 면책 20

나. 보증기간 21

다. 국내 보증기관의 보증금 자급 특별약관의 성격 21

IV. 부당청구의 법률관계 22

1. 부당청구(Unfair Demand)의 의의 22

가. 보증인이 인수한 위험이 의심할 여지 없이 아직 실현되지 않은 경우 24

나. 원인관계상 채무부존재가 법원 또는 중재판정부를 통하여 확인된 경우 24

다. 원인관계에 따른 채무가 의심할 여지없이 수익자의 이견 없이 완전히 실현된 경우 24

라. 원인관계에 따른 채무의 실현이 명백히 수익자의 고의로 방지된 경우 24

마. 복보증의 수익자가 복보증과 연계된 보증에서 신의칙에 위반하여 자급을 한 경우 25

2. 부당 청구와 관련된 각 당사자의 의무 및 구제 수단 25

가. 사전적 규제 25

1) 수익자의 채무불이행 진술 25

2) 상호 상충되는 지급 청구 거절 의무(URDG 758 Article 19, 30) 27

3) 의뢰인에 대한 통지(URDG 758 Article 16) 28

나. 부당 청구의 구제 수단 30

1) 보증금지급청구권의 가압류 31

2) 지급금지가처분 32

3) 청구금지가처분 34

V. 결론 35

참고문헌 37

Abstract 3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층간소음 분쟁 해결 방안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inter-floor noise disputes through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이현욱 p. 11-39

보기
강행규정의 국제적 적용 = International application of mandatory rules 손경한 p. 43-89

보기
'최고'의 소멸시효 잠정중단효에 대한 입법론 고찰 : The consideration of legislative theory about the suspension of prescription of 'notice of demand' : ba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9Da223723 decided February 6, 2020 /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다223723 판결에 기초하여 신성민 p. 93-116

보기
민사집행법에서의 간접강제와 채무자의 구제 = Remedy for debtor at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in civil compulsory performance 장재형 p. 117-145

보기
독립 보증(On Demand Guarantee)의 법리와 적용 사례 = Jurisprudence of on demand guarantee and its application 노주희, 김진섭 p. 149-187

보기
산업표준화법상 단체표준의 제정 기준에 관한 고찰 : Review on the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collective standards under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consensus of interested party' / '이해관계인의 합의'의 해석을 중심으로 신상민, 정은지 p. 191-219

보기
유기 아동의 가정보호 = Family preservation for children who cannot be fostered by biological parents : 2019년 감사원 지적 사항에 관한 개선 여부를 중심으로 박성민 p. 221-246

보기
임금피크제와 정년법제화와의 관계 : Co[r]relation between the salary peak program and the mandatory extension of retirement age : focused on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 최근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윤배경 p. 247-283

보기
상표 유사성 판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rademark similarity : about the judgment of 2018Huh7347 / 특허법원 2019. 2. 19. 선고 2018허7347 판결을 중심으로 박성태 p. 287-318

보기
뉴미디어 시대 영상저작권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rights to cinematographic works in the era of new media 한상훈 p. 321-350

보기
온라인 리뷰 분쟁에 관한 플랫폼 규제 방안 연구 = A study on platform governance on regulating online consumer reviews : focusing on the conflict between freedom of expression and personality rights in cyberspace :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의 충돌을 중심으로 박진석 p. 353-398

보기
자동차 운송사업에서 플랫폼의 도입과 기존 법 질서와의 관계 = Introduction of the platform in the automobile transportation business and its impact on the existing legal system 양우창 p. 399-427

보기
개성공단 사업자에 대한 사업 중단조치와 공용제한 문제 = Suspension of business and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y for public interest at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 헌법재판소 2022. 5. 26. 선고 2016헌마95 사건 평석 권은민 p. 431-459

보기
이른바 「일본판(日本版) 플리바게닝(Plea Bargaining)」인 일본 형사소송법상의 합의제도(合意制度)가 적용된 사례 = Cases in which settlement system, so called plea bargaining, is applied under Japanese criminal procedure code 박종순 p. 463-503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