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남성들의 견고한 캔버스를 찢은 여성 화가들의 몸 / 신사빈 1
들어가는 말 1
금녀(禁女)의 영역에 도전한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2
이상의 몸에서 현실의 몸으로 : 수잔 발라동과 파울라 마더존 베커 6
아방가르드 언어로 표현된 여성의 몸 : 니키 드 상팔과 이불 9
나가는 말 1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나의 이야기를 통한 가부장제와 여성의 삶 | 유한나 | p. 48-56 |
|
보기 |
북한 이탈 여성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이해 : 생존의 모티브 하갈을 중심으로 | 구본경 | p. 57-77 |
|
보기 |
통일신학 주체로서의 '여성' : 박순경의 통일신학을 중심으로 | 신혜진 | p. 78-105 |
|
보기 |
플랫폼 되어 마을을 잇는 교회 : 독립문교회 이야기 | 김성희 | p. 113-123 |
|
보기 |
풀러 토리(Fuller Torrey)의 『뇌의 진화, 신의 출현』을 읽고 | 강현미 | p. 136-141 |
|
보기 |
캐럴 길리건·나오미 스나이더의 『가부장 무너뜨리기』를 읽고 | 채수지 | p. 142-146 |
|
보기 |
남성들의 견고한 캔버스를 찢은 여성 화가들의 몸 | 신사빈 | p. 147-158 |
|
보기 |
실증주의의 가면 : 여성이 과학을 대하는 자세 | 진미리 | p. 159-164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