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상 첫 '행성 방위' 실험 성공 : NASA 탐사선이 소행성과 직접 부딪쳐 그 궤도를 변경시켰다 Newton p. 8-9
A/B 테스트와 AI 분석 : 사람을 사로잡는 테크놀로지 : 스마트폰 화면에 숨어 있는 기술 Newton p. 16-17
SNS는 뇌의 '보상계'를 자극한다 Newton p. 18-19
과의존일까 의심된다면 '스마트폰 의존도 테스트'를 해 보자 : 스마트폰 과의존 Newton p. 20-21
스마트폰 독서는 독해력을 저하시킨다. 해결의 열쇠는 '심호흡'에 있을지도 모른다 Newton p. 22-23
스마트폰은 '주머니 속에 있기만 해도' 집중력을 저하시킨다 : 스마트폰과 주의력 Newton p. 24-25
3년 동안의 추적 조사 결과, 스마트폰이 어린이의 뇌 발달을 늦추는 것이 밝혀졌다 : 스마트폰과 어린이 Newton p. 26-27
10대의 70%가 스마트폰 때문에 수면 시간 감소. 심각한 수면 장애나 우울증의 위험도 : 스마트폰과 수면 Newton p. 28-29
현대인이 겪는 '디지털 건망증'이란 무엇일까? Newton p. 30-31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테크노퍼런스'로 위협받는 자녀 양육 : 부모 자녀 관계와 스마트폰 Newton p. 32-33
누구나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방법 Newton p. 34-35
고령자가 걸으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특히 위험. 한편 재활과 노화 방지에 응용하기도 Newton p. 36-37
온라인 게임의 협력 플레이 중 타인과의 '뇌파 동기'가 일어난다 : 온라인 게임과 뇌 Newton p. 38-39
스마트폰을 사용할수록 뇌는 엄지손가락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 엄지손가락과 스마트폰 Newton p. 40-41
뇌와 스마트폰을 융합하는 기술도 등장 : 스마트폰의 진화는 계속된다 : 스마트폰과 미래 Newton p. 42-43
생물의 사인은 '수명' 또는 '사고'로 나뉜다 : 생물이 죽는 방식 Newton p. 46-47
연어는 번식이 끝나면 곧장 수명을 다한다 : 죽음=수명 Newton p. 48-49
사마귀 수컷에게 '번식'이란 '죽음' 그 자체 : 죽음=번식 Newton p. 50-51
'잡아먹히는' 죽음 방식으로 인해 다양한 진화가 이루어졌다 : 죽음=잡아먹힘 Newton p. 52-53
번식할 수 없는 일벌은 동료를 위해 죽음으로써 유전자를 남긴다 : 죽음=집단의 이익 Newton p. 54-55
문명이 가져다준 '노화와 질병'이라는 죽음 : 죽음=노화 Newton p. 56-57
다음 세대를 살리기 위해 생물은 죽는다. 죽음은 '생명의 연속성'의 원동력 : 죽음=생명의 연결 고리 Newton p. 58-59
생물의 대량 죽음=멸종이 생물의 다양화를 촉진한다 : 멸종=다양화 Newton p. 60-61
우리의 삶은 매일 죽어가는 세포에 의해 유지된다 : 세포의 삶과 죽음 Newton p. 62-63
과학 기술을 둘러싼 현대 철학의 논점 : 과학 기술의 과제에 현대 철학은 어떻게 마주하고 있을까? Newton p. 66-75
독을 다루는 생존 전략 : 공격·방어·조종에 독을 활용하는 생물들의 생태 Newton p. 76-85
기후를 조작해 온난화를 막을 수 있을까 : 'CO2 제거'와 '태양 복사 조정'의 현재와 과제 Newton p. 86-95
최신 은하 도감 : 최신 망원경의 관측으로 은하의 수수께끼는 어디까지 풀렸을까? Newton p. 98-107
최신형 여객기, 에어버스 A350 : 연비와 수송량을 향상시킨 중형기가 세계의 하늘을 바꾼다 Newton p. 108-119
화산이 만든 절경 : 솟아오르는 마그마와 뒤끓는 화구, 화산 활동이 만든 다채로운 지형 Newton p. 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