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호르몬 마이오카인이 파킨슨병을 호전시킨다
|
글: 배진건
|
p. 16-19
|
|
|
|
길(道)
|
글: 김선진
|
p. 20-21
|
|
|
|
인공지능(AI)으로 암의 특성을 파악한다 : 디지털 병리 검사
|
글: 조상래
|
p. 22-31
|
|
|
|
다시 불어오는 치료 백신의 바람, 예방을 넘어 치료의 영역으로
|
글: 정헌
|
p. 32-35
|
|
|
|
'First-in-Indication' 공략의 정석 : 도스탈리맙
|
글: 윤나리
|
p. 36-39
|
|
|
|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와 그림자
|
글: 최윤라
|
p. 42-45
|
|
|
|
면역관문 외에 면역세포를 저해하는 것들
|
글: 하상준
|
p. 46-49
|
|
|
|
종양연관대식세포(TAM), 아군인가 적군인가
|
글: 표경호
|
p. 50-55
|
|
|
|
점점 핫해지는 항암표적 'MDSC'
|
글: 연제인
|
p. 56-59
|
|
|
|
때론 '잡초' 같은, 또는 '집사' 같은 암연관섬유아세포(CAF)
|
글: 김석형
|
p. 60-63
|
|
|
|
쉽지 않은 표적, 조절T세포
|
글: 김정호
|
p. 64-67
|
|
|
|
TAM, MDSC, Treg 최근 임상 동향
|
글: 이우상
|
p. 68-69
|
|
|
|
대장암 임상 3상 올해 안으로 시작, 메드팩토
|
글: 이우상 ; 사진: 김병언
|
p. 70-71
|
|
|
|
콜드 튜머를 핫 튜머로… 항암 ADC 개발 뛰어든 삼진제약
|
글: 이우상 ; 사진: 임대철
|
p. 72-73
|
|
|
|
조절T세포(Treg)로 항암치료 효능 개선 노리는 굳티셀
|
글: 이우상 ; 사진: 임대철
|
p. 74-75
|
|
|
|
MDSC 막는 '퍼스트 인 클래스' 신약 개발, 부스트이뮨
|
글: 이우상 ; 사진: 김범준
|
p. 76-77
|
|
|
|
TAM 정조준해 항암 항체 신약 개발 나선 셀러스
|
글: 이우상 ; 사진: 이솔
|
p. 78-79
|
|
|
|
'천의 얼굴' HMGB1 공략 나선 스파크바이오파마
|
글: 이우상 ; 사진: 김병언
|
p. 80-81
|
|
|
|
국내 유일 CAF 저해제 개발 나선 아론티어
|
글: 이우상 ; 사진: 이솔
|
p. 82-83
|
|
|
|
판 커지는 글로벌 CDMO 시장… 연평균 10% 고성장 예상
|
글: 김예나
|
p. 86-89
|
|
|
|
'돌아온 신라젠'의 재도전 [대담]
|
[대담]: 김재경, 허혜민 ; 글: 한재영 ; 사진: 김병언
|
p. 90-93
|
|
|
|
코로나19부터 혈액검사까지, 제3시장 공략하는 피씨엘
|
글: 남정민 ; 사진: 허문진
|
p. 94-95
|
|
|
|
위바이옴, "개별인정형 원료·유통역량 갖춘 건기식 기업 될 것"
|
글: 박인혁 ; 사진: 김기남
|
p. 96-97
|
|
|
|
디티앤씨알오, 국내 유일의 비임상·임상 통합 CRO
|
글: 이도희 ; 사진: 김기남
|
p. 98-99
|
|
|
|
美 기술과 韓 자본 힘 합친 코애귤런트 "급성 출혈 잡는 글로벌 기업 될 것"
|
글: 이지현
|
p. 100-101
|
|
|
|
2세대 전립선암 치료제 탄생 노리는 퓨쳐켐의 'FC705' : 길희섭 최고기술책임자(CTO) [인터뷰]
|
[인터뷰이]: 길희섭 ; 글: 남정민 ; 사진: 김범준
|
p. 102-103
|
|
|
|
초거대 AI 활용해 진단판독·항체신약 진출한다 : 카카오브레인
|
글: 이지현 ; 사진: 김병언
|
p. 104-105
|
|
|
|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도입된 식도암 치료 '한 줄기 빛' : 박숙련 서울아산병원 교수 [인터뷰]
|
[인터뷰이]: 박숙련 ; 글·사진: 김정은
|
p. 106-107
|
|
|
|
세계적 모바일 심혈관 텔레메트리(MCT) 기업 꿈꾸는 메쥬 [대담]
|
[대담]: 안정란, 박정환 ; 글: 한채영 ; 사진: 김병준
|
p. 108-111
|
|
|
|
오송바이오클러스터
|
글: 김예나
|
p. 112-113
|
|
|
|
"CDMO 역량으로 해외진출 박차… 올해 美 진출 원년 될 것" : 씨드모젠
|
글: 김예나 ; 사진: 김기남
|
p. 114-115
|
|
|
|
2023년 대예측, 금리와 환율은 어떻게 흘러가나
|
글: 한상춘
|
p. 118-121
|
|
|
|
바이오텍의 가치 회복 이뤄질 2023년
|
글: 이동건
|
p. 122-125
|
|
|
|
민간 구매력 약화 우려 완화될 것 : 의료기기
|
글: 원재희
|
p. 126-127
|
|
|
|
2023년, 벤처투자시장 변곡점 올까
|
글: 김태호
|
p. 128-129
|
|
|
|
툴젠, mRNA와 LNP 기술로 만성질환까지 간다
|
글: 엄민용
|
p. 134-135
|
|
|
|
하나제약, 본업의 견조한 성장 및 마취제 신약에 대한 기대감
|
글: 신효섭
|
p. 136-137
|
|
|
|
"겨울잠이 필요한 시기… 그래도 앞으로 간다" : 이재영 신한벤처투자 팀장의 전망
|
글: 이우상 ; 사진: 이솔
|
p. 138-141
|
|
|
|
호라이즌 품은 암젠
|
글: 이지현
|
p. 142-143
|
|
|
|
길리어드, BCMA 표적 CAR-T 확보
|
글: 한민수
|
p. 144-145
|
|
|
|
'최초' 타이틀 놓쳤지만, 기대는 더 큰 세레스테라퓨틱스
|
글: 정재원
|
p. 146-147
|
|
|
|
선택과 집중의 좋은 예, 버텍스파마슈티컬스
|
글: 위해주
|
p. 148-149
|
|
|
|
빅파마가 탐낸 희귀질환 강자, 호라이즌테라퓨틱스
|
글: 이지현
|
p. 150-151
|
|
|
|
기립박수 받은 '엔허투', 이후 HER2 시장은 어떻게 재편됐나
|
글: 최지원
|
p. 152-155
|
|
|
|
비만 치료제 연구의 최신 동향
|
글: 남궁석
|
p. 156-159
|
|
|
|
디지털 in 바이오 분석기술
|
글: 이지연
|
p. 160-161
|
|
|
|
디지털 헬스케어와 법률. 2, 가명정보 활용
|
글: 이여원
|
p. 162-163
|
|
|
|
새해에 바뀌는 회계기준과 제도
|
글: 노원
|
p. 164-165
|
|
|
|
미디어커머스에서 배우다
|
글: 권진숙
|
p. 166-16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