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다섯 금속의 어머니, 주석(朱錫) | 차와 문화 | p. 8-17 | ||
행위의 원칙이자 기준, 실질적인 선원청규차법 : 당두전점(堂頭煎點) | 글: 정동주 | p. 20-25 | ||
찻잎에 맺힌 밤이슬, 안차(安茶) | 글·사진: 진제형 | p. 26-35 | ||
아름다운 다원, 티 카페, 그리고 치유 : 고창 연다원 | 글: 이상균 ; 사진: 윤미연 | p. 36-39 | ||
강렬한 색, 단순하면서도 소박한 표면과 질감, 도예 컬렉터를 감동시키다 : 잭 도허티(Jack Doherty) [인터뷰] | [인터뷰이]: 잭 도허티 ; 정리: 차와 문화 편집부 | p. 40-45 | ||
남북조시대 불교와 만난 차, 하나의 문화가 되다 : 홍주요(洪州窯) 청자(靑瓷) | 글·사진: 김윤화 | p. 54-59 | ||
자신에게 맞는 향을 찾아 즐기는 것이 곧 향도 : 비슬산향연구소 성종스님 | 글: 이상균 ; 사진: 윤미연 | p. 60-65 | ||
끽차양생기(喫茶養生記) | 글·사진: 지헌영 | p. 66-71 | ||
'흠' 그 아름다움에 관하여 | 글·사진: 정다인 | p. 72-79 | ||
아름다움은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 Akira Satake | 글: 이상균 | p. 89-93[실은 88-93] | ||
점토와 광물의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흔적을 담다 : Mitch Iburg | 글: 이상균 | p. 94-101 | ||
인도네시아의 차 산업과 문화 | 차와 문화 | p. 102-107 | ||
조선시대의 다시(茶時) : 신라와 고려의 사헌부, 국가의 중대사를 처리할 때 다의례(茶儀禮)로 시행 | 이원종 | p. 118-125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