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로봇활용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vention education using robo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민섭 ; 문성환 1

요약 1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2

1. 로봇활용교육 2

2. 발명교육 2

3.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2

Ⅲ. 연구 방법 3

1. 연구 대상 및 연구 설계 3

2. 연구 절차 3

3. 검사 도구 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

1. 로봇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

2. 로봇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7

Ⅴ. 결론 및 제언 10

1. 결론 10

2. 제언 10

참고문헌 10

ABSTRACT 1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체험학습 모형의 고찰을 통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operation of science experience learning through the review of the experience learning model 권난주 p. 1-9

보기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예비교사 관점의 STEAM 요소 분석 = Analysis of the STEAM el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books 김도욱 p. 11-24

보기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표현 영역의 신체활동 내용과 예시 탐색 = Explor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content and example in the expression area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이강순 p. 25-39

보기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지구환경 구성요소에 기반한 초등학교 ESD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hool ESD program based on the planet component of SDGs 전지인, 이상원 p. 41-64

보기
교육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programs on the science academic passio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최시내, 강훈식 p. 65-80

보기
학교장의 인권인식에 영향을 주는 인권교육 연수 요인 분석 =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training factors influencing the human rights perception of principals 구정화 p. 81-95

보기
누가 금융 지식을 과신하는가? = Who is overconfident in financial knowledge? 한진수 p. 97-108

보기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 나타난 주목하기(Noticing) 특성 분석 = Analysis of noticing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and peer evaluation on the science teaching 성승민, 여상인 p. 109-124

보기
로봇활용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vention education using robo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민섭, 문성환 p. 125-136

보기
COVID-19시기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사회적유능감이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happiness through the interpersona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백준형, 이제행 p. 137-149

보기
Birch와 Swinnerton-Dyer 추측에 대한 고찰 = Survey on the mathematical meaning, concept, and history of the Birch and Swinnerton-Dyer conjecture 류희수 p. 151-163

보기
Has low-income students' access to selective institutions change?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ccess from 2008 to 2016 Eom, Moonyoung, Lee, Jeong Youn, Son, Eunae p. 165-180

보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교과서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way to apply "aesthetic experience" to art textbook based o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김해경, 전수현 p. 181-197

보기
초등 예비교사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diagnostic test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박정, 장윤선, 김민조, 김정효, 김혜원, 김난옥 p. 199-220

보기
코로나19를 경험한 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활용 역량 변화 분석 = Analysis of the digital competency changes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COVID-19 이윤희, 김은영 p. 221-236

보기
델파이 연구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과목에서의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요소에 관한 연구 = Factors of competen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subjects using the Delphi technique 이순복, 정아름 p. 237-251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수지 (2018).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2 강영빈 (2018).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3 공복주 (2015). 프로젝트 기반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4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미소장
5 김경현 (2011).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몰입 향상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1-12. 미소장
6 김경현 (2012). 로봇활용수업에서의 학습활동 소요 변인 분석. 교육종합연구, 10(4), 35-52. 미소장
7 김민기, 김도희, 박정우 (2018). 발명교육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메타분석. 현장과학교육, 12(1), 139-150. 미소장
8 김민영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과학사 CPS 수업모형 개발과 유전영역 수업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9 김지인 (2011).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 유형에 따른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10 김 철( 2012). 로봇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교육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2), 233-243. 미소장
11 김형욱 (2020).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101-1122. 미소장
12 남기원, 이수연 (2020).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4(1), 119-142. 미소장
13 배영권 (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환경의 로봇프로그래밍 교육모형.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4 신문승, 문정표 (2018).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이초등영재의 창의성 신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479-496. 미소장
15 심혜진, 장신호 (2007).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532-547. 미소장
16 안효재, 이철현 (2014).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205-224. 미소장
17 윤태호 (2013). 동화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18 이은정, 류상희 (2019). 육색사고모 기법을 적용한 발명 아이디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총, 39(2), 73-93. 미소장
19 이은지 (2021).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원 수료생의 고등학생시기 발명활동 지속여부와 창의적 믄제해결력의 관계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1(3), 21-37. 미소장
20 이정민, 박현경, 최형신 (2018).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9-21. 미소장
21 장일훈 (2016). 교실환경 개선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성향과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22 정인기 (2013). 프로그래밍 패턴에 기반한 효율적인 로봇 기초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마인드스톰 로봇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47-355. 미소장
23 조석희, 장영숙, 정택희, 임희준 (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4 최은희 (2012). 발명교육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소장
25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2014). 국가수준 교육과정반영을위한 초⋅중⋅고 발명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구축 연구. 서울: 특허청.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