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로봇활용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vention education using robo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민섭 ; 문성환 1
요약 1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2
1. 로봇활용교육 2
2. 발명교육 2
3.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2
Ⅲ. 연구 방법 3
1. 연구 대상 및 연구 설계 3
2. 연구 절차 3
3. 검사 도구 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
1. 로봇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
2. 로봇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7
Ⅴ. 결론 및 제언 10
1. 결론 10
2. 제언 10
참고문헌 10
ABSTRACT 1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수지 (2018).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2 | 강영빈 (2018).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발명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3 | 공복주 (2015). 프로젝트 기반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4 |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 미소장 |
5 | 김경현 (2011).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몰입 향상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1-12. | 미소장 |
6 | 김경현 (2012). 로봇활용수업에서의 학습활동 소요 변인 분석. 교육종합연구, 10(4), 35-52. | 미소장 |
7 | 김민기, 김도희, 박정우 (2018). 발명교육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메타분석. 현장과학교육, 12(1), 139-150. | 미소장 |
8 | 김민영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과학사 CPS 수업모형 개발과 유전영역 수업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9 | 김지인 (2011).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 유형에 따른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10 | 김 철( 2012). 로봇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교육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2), 233-243. | 미소장 |
11 | 김형욱 (2020).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101-1122. | 미소장 |
12 | 남기원, 이수연 (2020).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4(1), 119-142. | 미소장 |
13 | 배영권 (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환경의 로봇프로그래밍 교육모형.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4 | 신문승, 문정표 (2018).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이초등영재의 창의성 신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479-496. | 미소장 |
15 | 심혜진, 장신호 (2007).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532-547. | 미소장 |
16 | 안효재, 이철현 (2014).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205-224. | 미소장 |
17 | 윤태호 (2013). 동화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18 | 이은정, 류상희 (2019). 육색사고모 기법을 적용한 발명 아이디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총, 39(2), 73-93. | 미소장 |
19 | 이은지 (2021).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원 수료생의 고등학생시기 발명활동 지속여부와 창의적 믄제해결력의 관계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1(3), 21-37. | 미소장 |
20 | 이정민, 박현경, 최형신 (2018).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9-21. | 미소장 |
21 | 장일훈 (2016). 교실환경 개선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성향과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22 | 정인기 (2013). 프로그래밍 패턴에 기반한 효율적인 로봇 기초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마인드스톰 로봇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47-355. | 미소장 |
23 | 조석희, 장영숙, 정택희, 임희준 (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4 | 최은희 (2012). 발명교육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미소장 |
25 |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2014). 국가수준 교육과정반영을위한 초⋅중⋅고 발명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구축 연구. 서울: 특허청.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