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범모(2014)『양화와 복수의 의미론』, 한국문화사, pp.136-137, 149-150. | 미소장 |
2 | 고영근·구본관(2008)『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p.84, 90. | 미소장 |
3 | 김찬곤(2017)「복수 접미사 ‘-들’과 서양 문법의 ‘수 범주’ 연구 –대학생 글에 보이는 복수접미사 ‘-들’ 사례를 중심으로」『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권 2호, 우리말교육현장학회, pp.423-443. | 미소장 |
4 | 남기심·고영근·유현경·최형용(2019)『표준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p.67. | 미소장 |
5 | 신미경(2013)「중국어 ‘们’과 한국어 ‘들’의 복수표현 대조 연구 -한국인 학습자의 ‘们’ 첨가현상을 중심으로」『중국학연구』제63집, 중국학연구회, pp.27-45. | 미소장 |
6 | 이훈성(2022)「한국어와 일본어의 복수 표지의 특징 -‘-들’과 ‘-たち’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석사 학위 논문, pp.1-95. | 미소장 |
7 | 大島一(2018)「大阪泉州方言における「ら」の複数性」『日本言語学会第157回大会予稿集』、日本言語学会、pp.136-141. | 미소장 |
8 | 小田勝(2020)『古代日本語文法』、筑摩書房、pp.279-280. | 미소장 |
9 | 上林葵(2017)「関西方言における接尾辞「ラ」」『阪大社会言語学研究ノート』第15号、大阪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社会言語学研究室、pp.59-71. (DOI: https://doi.org/10.18910/67212) | 미소장 |
10 | 金田一春彦(1988a)『日本語 新版 上』、岩波書店、p.84. | 미소장 |
11 | 金田一春彦(1988b)『日本語 新版 下』、岩波書店、p.69. | 미소장 |
12 | 佐竹秀雄(1999)「複数を示す「ら」」『日本語学』Vol.18、No.14、明治書院、pp.19-22. | 미소장 |
13 | 高井昌史(2014)『本の力』、PHP研究所、p.137. | 미소장 |
14 | 武井一巳(2013)『Kindle 新・読書術』、翔泳社、p.227. | 미소장 |
15 | 中島敦(1942)『狼疾記』、青空文庫. | 미소장 |
16 | 仁田義雄(1997)『日本語文法硏究序說』、くろしお出版、pp.118-119. | 미소장 |
17 | 平塚雄亮(2021)「日本語歴史コーパスを用いた複数接尾辞ドモの言語変化研究」『日本語学会2021年度春季大会予稿集』、日本語学会、pp.115-120. | 미소장 |
18 | 藤井淑禎(2009)『高度成長期に愛された本たち』、岩波書店. | 미소장 |
19 | 文化庁(1979)『言葉に関する問答集5』、文化庁、pp.49-50. | 미소장 |
20 | 牧野成一(2007)「認知世界の窓としての日本語の複数標示-タチ」久野暲·牧野成一·スーザン・G・ストラウス(編)、『言語学の諸相』、くろしお出版、pp.121-130. | 미소장 |
21 | 松尾聰(2000)『日本語遊覧』、笠間書院、pp.100, 199-200. | 미소장 |
22 | 村端佳子(2019)「日本語の複数標識に見られる英語の影響−「–たち」が表象する個別化の観点から−」『宮崎国際大学教育学部紀要 教育科学論集』第6号、宮崎国際大学教育学部、pp.15-27. | 미소장 |
23 | 渡辺実(1996)『日本語概説』、岩波書店、p.162. | 미소장 |
24 | 贺阳(2008)『现代汉语欧化语法现象研究』、商务印书馆、pp.188-192. | 미소장 |
25 | Shimoji, Michinori(2022) "Number in Japonic family" Daniel, M. and Acquaviva, P. (eds.), Number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 De Gruyte r Mouton, pp.505-528. | 미소장 |
26 | Kaiser, Stefan and Ichikawa, Yasuko and Kobayashi, Noriko and Yamamoto, Hilofumi(2001)J apanese: A Comprehensive Grammar : Routledge, pp.465-467. | 미소장 |
27 | 西尾実·岩淵悦太郎·水谷静夫(編)(2011)『岩波国語辞典』第七版、岩波書店. | 미소장 |
28 | 山田忠雄·柴田武·酒井憲二·倉持保男·山田明雄·上野善道·井島正博·笹原宏之(編)(2017)『新明解国語辞典』第七版 特装青版、三省堂. | 미소장 |
29 | 国立国語研究所(2022)『日本語歴史コーパス』https://clrd.ninjal.ac.jp/chj/(2023年1月25日確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