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각 국가는 보호하는 지식재산권의 종류 및 그 보호의 요건, 침해 시 구제 수단 등을 개별적, 독자적으로 정하고 있다. 그리고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 지식재산권의 성립·변동·소멸 및 내용은 그 지식재산권을 권리로서 인정하고 이를 부여한 당해 국가의 법률에 의하여만 결정되며, 그 효력은 이를 부여한 국가의 영토주권이 미치는 영역 안으로 한정된다. 최근 세계화와 디지털화 및 손쉬운 전파수단의 발달로 국경을 넘는 지식재산권 계약이나 침해행위가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외국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분쟁에서 지식재산권에 대한 보호를 구하거나 그와 관련된 계약을 근거로 이행을 구하는 소송에서 지식재산권에 대한 성립, 유효성, 소멸 등이 선결문제로서 종종 쟁점이 되고, 국내 법원이 이를 심리함에 있어 국제재판관할권, 준거법과 같은 국제사법적 쟁점이 선결적으로 문제 된다.

최근 전부 개정된 국제사법은 헤이그관할합의협약 등 국제규범을 참작하여 지식재산권 분쟁을 규율하는 여러 국제재판관할 규정을 새로이 도입하였다. 즉 국제사법은 이제 지식재산권 분쟁과 관련하여 합의관할(제8조), 전속관할(제10조), 지식재산권 계약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8조), 지식재산권 침해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9조) 등에 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게 되었고, 반면 준거법과 관련해서는 보호국법주의를 선언한 규정(제24조)이 조문의 위치만 바뀌어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 규정(제40조)되었다. 이제 실무에서 국내 법원이 국제적 지식재산권 분쟁을 처리함에 있어 개정된 국제사법에 따라 위 각 규정을 충실히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와 관련된 여러 국내외 판례와 이론을 ① 당사자 간의 합의가 있는 경우, ② 지식재산권의 성립, 유효성과 소멸이 쟁점인 경우, ③ 지식재산권 이용 등의 계약이 있는 경우, ④ 지식재산권 침해가 쟁점인 경우로 나누어 각 재판관할권과 준거법에 대하여 해당 조문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지식재산권 가처분 소송이나 영업비밀 침해 사건, 직무발명보상금 사건, 도메인이름 분쟁 등에 대하여도 관련 내용을 정리하였다.

Each country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defines the typ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ereinafter “IP rights”) to be protected, the requirements for protection, and the remedy in case of infringement. Under the territoriality principle, the establishment, assignment, and extinction, and the content of IP rights are regulated only by the laws of the country which grants them, and the effect of IP rights is limited within the territorial boundaries of each sovereign country. With globalization, digi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asy means of propagation, cross-border intellectual property contracts or infringements are recent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issues of the establishment, validity, and extinction of IP rights often arise as a prerequisite question in lawsuits with foreign elements seeking protection of the rights or in disputes based on IP related contracts. Thus, domestic courts often encounter the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choice of law in the litigation.

The recently revised Private International Law has introduced several new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that govern IP disputes by taking into account international norms, such as the Convention on Choice of Court Agreement. Specifically,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explicitly stipulates jurisdiction by agreement (Article 8), exclusive jurisdiction (Article 10), special jurisdiction over lawsuit regarding contract for IP rights (Article 38), special jurisdiction over lawsuit regarding infringement of IP rights (Article 39), etc.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governing law, the provision declaring of the principle of lex protectionis (Article 24) was regulated with almost the same content in the other article (Article 40).

From now on, in practice,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courts to correctly interpret and apply each of the above new provisions in the amended Private International Law when dealing with international IP disputes. To this end, this thesis has mainly analyzed the relevant provisions regarding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 by separating precedents and theori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into each circumstance as follows: ① when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 suit; ② when the establishment, validity and extinction of IP rights are on the issue; ③ when there is a license agreement for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④ when the infringement of IP rights is on the issue. This thesis further has covered related subject matters on intellectual property preliminary injunction cases, trade secret infringement cases, employee invention compensation cases, and domain name disput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결과적 가중범의 불법비례적인 양형기준 정립 = Sentencing guidelines proportional to illegality of the consequently aggravated crime 김혜경 p. 3-42

전과와 양형 = Previous conviction & sentencing 박용철 p. 43-63

공소제기되지 않은 범죄사실을 핵심적 양형조건으로 삼은 양형의 위법성 : Illegality of sentencing with unprosecuted criminal facts as a key sentencing factors : subject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20Do8358 decided on September 3, 2020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9. 3. 선고 2020도8358 판결 이도행 p. 65-96

민법의 기초자 가인 김병로 = Kim Byeong-Ro, the framer of the Korean civil code 김재형 p. 99-155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의 효력 : The effect of judgments in lawsuits for revocation of fraudulent acts : regarding the rights granted to creditors / 채권자들의 권리구제를 중심으로 송방아 p. 157-202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이 상호 교차하는 경우에 관한 규율 : Handling clashes between creditor's revocation and trustee's avoidance : with a focus on the exercise of avoidance power against the creditors having exercised the right of revocation / 취소채권자에 대한 부인권 행사를 중심으로 임선지 p. 203-242

인공지능에 대한 법인격 부여에 관한 소고(小考) : A study on the legal person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civil law and human-centered perspective / 민사법적·인간 중심적 관점에 국한하여 장호준 p. 243-285

이사의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의무의 대상 위험과 이익 기준 검토 : A study on the scope of risk and interest standard that fall under the directors' obligation to establish an internal control system : focusing on ESG risk and stakeholder interests / ESG 위험과 이해관계자 이익을 중심으로 이현균 p. 287-326

산업기술 및 영업비밀 유출범죄 피해자의 실효적 피해회복을 위한 대응방안 = Countermeasures for effective damage recovery for victims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trade secret divulgence crimes 신상현, 신상민 p. 327-355

기술자료 유용행위의 개수와 과징금 부과 : The number of violations of act of misusing technical data and the imposition of penalty surcharge : focused on supreme court decision 2020Du47021 decided September 16, 2022 / 대법원 2022. 9. 16. 선고 2020두47021 판결을 중심으로 강정희 p. 357-393

미국 행정쟁송체계가 우리에게 가지는 함의 = Implications of the US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for us 박병규 p. 395-431

당사자소송의 심리에 관한 연구 = Eine Studie zur Verfahren der Parteistreitigkeit 정선균 p. 433-468

국제적 지식재산권 분쟁에 있어 국제사법의 해석과 적용 =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김영기 p. 469-521

후출원 등록 권리 항변의 허용 여부 : Whether a defense of the right registered by a subsequent application is allowed : subject cas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8Da253444 decided March 18, 2021 / 대법원 2021. 3. 18. 선고 2018다253444 전원합의체 판결 박태일 p. 523-550

조세조약상 지급보증수수료의 법적 성격과 이중과세조정의 가능성 = Legal nature of guarantee fees under the tax treaty and the possibility of double taxation adjustment 황남석 p. 551-582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원청의 사용자성 = Whether the prime contractor is recognized as an employer under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 단체교섭 의무 인정 여부를 중심으로 (부산고등법원 2018. 11. 14. 선고 2018나53149 판결) 최정은 p. 583-630

강행규범과 시제법(時際法) : Jus Cogens and intertemporal law in relation to forced labor and comfort women issues / 강제징용·위안부 사안을 중심으로 신우정 p. 631-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