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의 시대이다.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은 종교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인공지능 시대에서 종교는 어떻게 표현될까?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와 문명을 어떻게 자극하고 변화시키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알파고 등장 이후,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은 강력한 기술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와 불확실성을 논의해야 하는 큰 도전과 과제로 각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시대는 여러 신학적 과제를 우리에게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급격하게 진화하는 인공지능 문명과 그 파장 속에서 종교의 핵심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인간과 인공지능, 신의 창조와 사물의 진화에 대한 재구성을 모색하여 인공지능 시대의 신학적 의미를 발굴할 것이다.

As society continues to witness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t is important to examine its potential impact on religion.

With the emergence of powerful AI technologies such as AlphaGo and Chat GPT, it has become evident that AI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that demand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and reconstruct the core issues of religion in the context of a rapidly evolving AI civilization.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AI era, including the reconstruction of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reation of the divine, and the evolution of things. This paper will help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AI technology stimulates and transforms society and civilization, as well as the theological challenges that arise in this age of A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평 융합을 통한 인식론적 전환 : Epistemological transition through fusion of horizons : a methodological reconsideration for reading the Old Testaments / 구약성서 읽기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조내연 p. 9-39

성령의 열매와 율법의 행위 : Fruit of the spirit and works of law in Galatians : Christian ethics reflected in the catalogue of virtues in Galatians 5 / 갈라디아서 5장의 미덕목록에 담긴 크리스천 윤리 유은걸 p. 41-70

빌립보서의 유오디아와 순두게에 대한 여성신학적 해석 = Feminist theological exegesis on Paul’s Injunction to Euodia and Syntyche 윤소정 p. 71-94

신, 인간, 사물 : God, human and things : divine creation and evolution of things / 신의 창조와 사물의 진화 전철 p. 95-113

자연과 대화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 Christian faith in dialogue with nature : a study of John Habgood’s theological perspective on nature / 존 햅구드(John Habgood)의 신학적 자연관 연구 이상은 p. 115-146

삼위일체와 평화 : The trinity and peace : a trinitarian inquiry into ‘just peace’ : focusing on Just Peace Compan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 '정의로운 평화'에 관한 삼위일체신학적 고찰 : 세계교회협의회의 『정의로운 평화 동행』을 중심으로 백충현 p. 147-170

『욥기』와 도덕적 상상력의 확장 : The Book of Job and the expansion of moral imagination : from non-naturalistic ethics to naturalistic ethics / 비자연주의 윤리에서 자연주의 윤리로 서명원 p. 171-206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인간의 창조』(De hominis opificio)에 나타난 기독교적 인간관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anthropology of Gregory of Nyssa in his On the Making of Man (De hominis opificio) 임형권 p. 207-233

그리스도교 국가 공격에 나타난 키에르케고어의 혁명성 = Kierkegaard’s revolutionaryness in the attack upon Christendom 오신택 p. 235-262

무아의 신학 : Theology of no-self : a meditative dialogue of the Christian Carthusian and early Buddhism / 기독교의 카르투시오와 초기불교의 명상적 대화 신은희 p. 263-290

레오나르도 보프의 ‘해방의 그리스도론’ 연구 = A study of Leonardo Boff’s liberation Christology 이정순 p. 291-321

해명과 포섭을 넘어서는 장애신학 : Disability theology beyond elucidation and embracement : a research on disability theology in the view of Minjung theology through accepting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studies / 장애학의 관점을 수용한 민중신학적 장애신학에 관한 연구 황용연 p. 323-358

민중 메시아론에서 농민의 위치 : The peasants’ position in Min Jung Messianism : based on the parable of the sower, the laborers in the vineyard, peasants and the rich farmer /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포도원 품꾼과 소작인, 그리고 부유한 농부의 비유를 중심으로 안재학 p. 359-397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분석한 한국 CCM의 정체성 = The identity of Korean CCM through data-mining analysis 김장생 p. 399-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