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신춘문예를 통해 바라보는 90년대 한국 문단의 경향성 연구 = A study of the trends in Korean literature in the 1990s through Shinchun Munye : 1990s Shinchun Munye Award winners and critiques on them : 1990년대 신춘문예 당선작과 심사평을 중심으로 김소륜 p. 5-36
한국 근대문학의 시기 구분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periodization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odern and postmodern times : 근대와 탈근대의 기술 전개를 중심으로 이용욱 p. 37-68
지하련 소설의 메타-정치성 연구 = A study on the meta-politics of Ji Ha-ryeon's novel : a narrative strategy to implode the myth of 'manhood-politics' : '남성됨-정치'의 신화를 내파(內破)하는 서사 전략 김정남 p. 69-99
손창섭 장편소설 『삼부녀』에 나타난 건강 담론과 계약 가족의 모순 = A study on governmentality and health/family discourse in the 1960s : focused on Son Chang-seop's 『Father and Two Daughters』 이진송 p. 101-131
소통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의 형식 =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 of possibility : focused on "The Greek Lecture" : 한강의 『희랍어 시간』을 중심으로 이하은 p. 133-160
이민진 소설 『파친코』에 나타난 공간적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 = A spatial narrative study in Min-Kim Lee's novel Pachinko 장희동 p. 161-198
전쟁 이후의 감정 교육 = Emotional education after the Korean War : the nation-state ideology reflected on orphan narratives of Saebeot in the 1950s : 1950년대 『새벗』의 고아 서사에 투영된 국민국가 이념 조윤정 p. 199-245
1960년대 서스펜스 스릴러의 유입과 신진 추리소설가의 등장 = The influx of suspense thrillers in the 1960s and the emergence of new mystery novelists : focused on the books of Heo Moon-nyeong, Cheon Bu-lan, and Cheon Se-wook : 허문녕, 천불란, 천세욱의 단행본을 중심으로 최애순 p. 247-285
'아픈 몸'과 계급 = The 'sick body' and class : reproduction of disease and disability in proletarian no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 식민지기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질병과 장애 재현 최은혜 p. 287-315

이인직 문학의 주변 = The surroundings of Lee In-jik's literature. 2. 2, 무라이 겐사이(村井弦斎)의 『피눈물』(血のなみだ)』과 관련하여 표세만 p. 317-348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천불란, 「지옥녀」, 상지사, 1965. 미소장
2 천불란, 「무덤에서 나온 복수귀」, 상지사, 1965 미소장
3 천세욱, 「월장석」 세계대로망전집 18권, 삼중당, 1962. 미소장
4 허문녕, 「번개쌍권총」, 한양출판사, 1965. 미소장
5 허문녕, 「협박장은 살아있다」, 청산문화사, 1962 미소장
6 허문녕, 「너를 노린다」, 한양출판사, 1965. 미소장
7 허문녕, 「검은 독수리」, 한양출판사, 1965. 미소장
8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9 이브 뢰테르, 김경현 역, 「추리소설」, 문학과지성사, 1993. 미소장
10 곽승숙, 「방인근의 탐정소설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34, 2016.8, 69-97면. 미소장
11 김종수, 「해방기 탐정소설 연구」, 「동양학」 48, 2010, 89-104면. 미소장
12 안혜연,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한국 추리소설 붐과 그 사회적 맥락」, 「인문과학」 85호, 2022, 193-234면 미소장
13 안혜연, 「1970~80년대 한국 추리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2022. 미소장
14 이정옥, 「1950~60년대 추리소설의 구조 분석」, 「현대문학이론연구」 15권 0호, 2001.6, 183-202면. 미소장
15 최애순, 「1945년 해방기부터 1950년대 전쟁기까지 방인근의 탐정소설」, 「현대소설연구」 78호, 2020.6, 317-363면. 미소장
16 최애순, 「1950년대의 어두운 뒷골목 이야기」, 「계간 미스테리아」 19, 2018.8·9, 27-34면. 미소장
17 최애순, 「「학원」의 해외 추리·과학소설의 수용 및 장르 분화 과정」, 「대중서사연구」 21권 3호, 2015.12, 275-320면. 미소장
18 최애순,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현대소설연구」 47호, 2011.8, 351-390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