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소랑・문상호. (2013). 기초노령연금제도가 고령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4), 59-85. | 미소장 |
2 | 국토교통부. (2020).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세종: 국토교통부. | 미소장 |
3 | 국토교통부. (2021).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세종: 국토교통부. | 미소장 |
4 | 김단야. (2021). 산업구조 다양성이 지역의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패널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GRI 연구논총, 23(2), 55-74. | 미소장 |
5 | 김대중・경종수・정성훈. (2014).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창출 및 지역경쟁력간 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786-800. | 미소장 |
6 | 김선명・송창식. (2017). 지방산업도시의 경제성장 영향요인 연구: 산업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7, 1-45. | 미소장 |
7 | 김성진・홍종의・김한국. (2019). 산업단지 위기지수 도출을 위한 방법론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0), 250-258. | 미소장 |
8 | 김지나・노승한. (2019).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주변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25(2), 51-66. | 미소장 |
9 | 문재흥・김종진. (2018). 중소도시 도시재생 지역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시 도시재생 TB 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6(2), 141-157. | 미소장 |
10 | 박범종. (2022). 도시재생과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한계와 과제. 한국지방정치학회보, 12(1), 1-26. | 미소장 |
11 | 박성익. (2012). 지역별 고용격차 결정요인: 산업구조의 비대칭적 특화를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18(2), 119-143. | 미소장 |
12 | 박소영 외. (2020). 산업위기지역의 종합적 도시재생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 연구보고서. 기본19-34. | 미소장 |
13 | 이대웅・권기헌・문상호. (2015). 근로장려세제 (EITC) 의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4 | 이두희 외. (2019). 지역산업위기 유형분석과 위기대응방안 및 산업전환전략.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15 | 이용백. (2021). 이중차분법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신・ 숭인, 해방촌, 창동・상계, 가리봉 지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6 | 임상연 외. (2020).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1-8. | 미소장 |
17 | 이재득・윤진영. (2018). 부산지역 신성장산업의 특화와 다양성 및 고급화 지수 분석: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31(6), 1967-1993. | 미소장 |
18 | 이재삼. (2017). 도시재생법상 도시재생 사업에 관련된 문제점 및 효율성 제고방안. 토지공법연구, 79, 31-61. | 미소장 |
19 | 이진희 외. (2020). 도시재생뉴딜 정책평가와 지속가능한 추진 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 연구과제. 기본 20-09. | 미소장 |
20 | 장선아・박승훈・고동원. (2020).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가로환경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대구광역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273-283. | 미소장 |
21 | 정일환. (2018). 지방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의 정책효과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4), 1-21. | 미소장 |
22 | 조재욱. (2016). 제조업의 구조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이 도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3 | 「한국일보」. (2021). 쇠퇴하던 산업도시 군산? "잊어라...이젠 500만 관광도시“.11.03: 19. | 미소장 |
24 | 홍사흠. (2016).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지역산업구조 다양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549), 1-6. | 미소장 |
25 | Boschma, R. (2005). Proximity and innovation: a critical assessment. Regional studies, 39(1), 61-74. | 미소장 |
26 | Boschma, R., Coenen, L., Frenken, K., & Truffer, B. (2017). Towards a theory of regional diversification: Combining insights from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and transition studies. Regional studies, 51(1), 31-45. | 미소장 |
27 | Content, J., & Frenken, K. (2016). Related variety and economic development: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Planning Studies, 24(12), 2097-2112. | 미소장 |
28 | Frenken, K., & Boschma, R. A. (2007).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Industrial dynamics and urban growth as a branching proces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7, 635–649. | 미소장 |
29 | Grillitsch, M., & Asheim, B. (2017). Cluster policy: Renewal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stitutional variety. In The Life Cycle of Clusters (pp. 76-94). Edward Elgar Publishing. | 미소장 |
30 | Grillitsch, M., & Asheim, B. (2018). Place-based innovation policy for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regions. European Planning Studies, 26(8), 1638-1662. | 미소장 |
31 | Martin, R. (2009). Rethinking Regional Path Dependence: Beyond Lock-in to Evolution Papers in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09.10. Utrecht University, Utrecht. | 미소장 |
32 | Martin, R., & Sunley, P. (2011). Conceptualizing cluster evolution: beyond the life cycle model?. Regional studies, 45(10), 1299-1318. | 미소장 |
33 | McCabe, B. J., & Ellen, I. G. (2016). Does preservation accelerate neighborhood change? Examining the impact of historic preservation in New York C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82(2), 134-146. | 미소장 |
34 | Menzel, M. P., & Fornahl, D. (2010). Cluster life cycles—dimensions and rationales of cluster evolutio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9(1), 205-238. | 미소장 |
35 | Rosenbaum, P. R., &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1), 41-5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