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은 허균(許筠, 1569~1618)이 동지 겸 진주사행(冬至兼陳奏使行)의 부사(副使)로서 광해군 7년(1615) 9월 6일 압록강을 건너 북경으로 향했다가 이듬해 3월 1일에 의주로 귀환하여 3월 중 평양에 이르기까지 지은 시들을 모은 시집이다. 그 가운데 독후시는 『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수록의 제자백가 독후기와 함께 허균의 사유양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즉, 허균은 무지망(武之望)의 『거업치언(擧業巵言)』, 이지(李贄)의 『분서(焚書)』, 원굉도(袁宏道)의 『상정(觴政)』 부록, 당나라 설조(薛調)의 「무쌍전(無雙傳)」, 왕세정(王世貞)의 『검협전(劍俠傳)』, 후한서(後漢書) 일민전(逸民傳), 용우기(龍遇奇)의 『성학계관(聖學啓關)』, 장황(章潢, 1527~1608)의 「심성설(心性說)」, 진강(陳絳, 1513~1587)의 『신각비점금뇌자(新刻批點金罍子)』 수록 「월침서시어강(越沉西施於江)」을 읽고 독후시들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을병조천록』 수록 독후시의 내용을 검토하여 향후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8·19세기 별본(別本) 『곤여외기(坤輿外記)』의 독서 양상과 그 의미 = Aspects and meaning of the new edition of Kunyu waiji and reading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박혜민 p. 15-47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의 허균(許筠) 독후시(讀後詩)에 대하여 = The book-reading poetry in Hŏ Kyun’s Ŭlbyŏng Choch'ŏllok 심경호 p. 49-86

최치원 서예의 기본 성격 = The basic nature of Choi Chi-Won's calligraphy 박금숙 p. 87-121

한시(漢詩)의 표절에 관한 법학적 논의 : Legal discussion on plagiaris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 focusing on Huh Nanseolheon case / 허난설헌을 중심으로 남형두 p. 123-181

김소운의 아동잡지 발간과 조선 설화의 수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Kim So-Un's children's magazines and the aspects of the recording of the Korean narrative 김광식 p. 183-207

허버트 앨런 자일스의 『중국동화집(Chinese Fairy Tales)』(1911)을 통해 본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중국문화 이해의 양상 = Aspects of westerners'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in the early modern age through Herbert Allen Giles's Chinese Fairy Tales (1911) 구현아, 권혁래 p. 209-247

한·중 우렁각시 설화 속 각시의 신적(神的) 기능 재고(再考) : Reconsidering the divine function of Ureonggaksi in the tales of Ureonggaksi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agricultural and water gods / 농신(農神)과 수신(水神) 기능 중심으로 김창명 p. 249-274

万历抗倭援朝战争中的宣大将士相关问题概说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중의 선대장병(宣大將兵) 문제 연구 : 선대(宣大) 지역 장병의 개별사례에 대한 새로운 논의 / 兼论宣大籍将领研究个案的新进展 徐成 p. 275-314

17-18世纪朝日文人笔下的儒学论争 = 17-18세기 조선과 일본 문인들의 필담에 나타난 유학(儒學) 관련 논쟁 金鏞鎭 p. 315-338

『남환박물(南宦博物)』의 가치와 그 시선 = Namwhanpakmul : its values and viewpoints 김새미오 p. 339-368

근대신문 소재 명소고적과 기담 : Myeongsogojeok and bizarre anecdotes in modern newspapers : focused on the Hwangseong shinmun /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반재유 p. 369-401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許筠, 『惺所覆瓿藁』, 民族文化推進會, 1982. 미소장
2 許筠, 『許筠全書』, 亞細亞文化社, 1983. 미소장
3 許筠, 崔康賢譯註, 『乙丙朝天錄』, 國立中央圖書館, 2005. 미소장
4 許筠, 沈慶昊譯註, 『乙丙朝天錄』, 보고사, 2023. 미소장
5 金中淸, 『苟全先生文集』, 苟全先生文集國譯重刊推進委員會, 奉化, 1999. 미소장
6 崔應虛, 『조천일기』, 모덕사 소장 초서본과 정리본 2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www.nrich.go.kr). 미소장
7 王世貞, 『弇州四部稿』, 影印本, 四庫明人文集叢刊 全七冊(弇州四部稿: 外六種), 上海古籍出版社, 1993. 미소장
8 王世貞, 『劍俠傳』, 標點本, 上海古籍出版社, 2017.6. 미소장
9 黃宗羲, 『明儒學案』, 標點本, 中華書局, 1970. 미소장
10 永瑢, 『四庫全書総目提要』, 影印本 1-4, 商務印書館, 1968. 미소장
11 袁宏道 著, 沈慶昊 外 譯, 『역주 원중랑전집』 제9책(원서 제48권), 소명출판, 2004.12. 미소장
12 강명관, 「허균과 명대문학: 허균문학 연구에 대한 반성적 고찰」, 『민족문학사연구』 13권 1호, 민족문학사학회, 1998. 미소장
13 강명관, 「조선 후기 양명좌파의 수용」, 『오늘의 동양 사상』 16, 동양사상연구원, 2007. 미소장
14 남은경, 「鄭斗卿 俠客詩의 內容과 意味」, 『한국한문학연구』 제15집, 한국한문학연구회, 1992. 미소장
15 박현규, 「金中淸의 『朝天錄』과 부정적인 許筠 모습」, 『洌上古典硏究』 22, 洌上古典硏究會, 2005. 미소장
16 박현규, 「千秋 사행시기 허균의 문헌 관련 활동」, 『東方學志』 124,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2006. 미소장
17 박현규, 「許筠이 도입한 李贄 저서」, 『中國語文學』 46, 嶺南中國語文學會, 2005. 미소장
18 박현규, 「북경(北京)에서의 허균(許筠) 족적(足跡) 고찰」, 『동방한문학』 53, 동방한문학회, 2012, 83-108면. 미소장
19 박현규, 「『乙丙朝天錄』에 드러난 許筠의 모습과 작품 세계」, 『대동한문학』 32, 대동한문학회, 2010, 231-260면. 미소장
20 신향림, 「허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再論)-『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68, 한국한문학회, 2017, 363-403면. 미소장
21 심경호,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특히 『管子』와 『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한국실학연구』 제13호, 한국실학학회, 2007, 365-405면. 미소장
22 심경호, 「허균의 기행시집 『을병조천록』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 69, 열상고전연구회, 2019, 69-117면. 미소장
23 우강식, 「『劍俠傳』에 나타난 古典俠의 형상과 주제의식에 관한 연구」, 『중국소설논총』 50,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1-21면. 미소장
24 전염순, 「허균(許筠)과 왕세정(王世貞) 시론 비교연구」, 『어문논집』 80권, 민족어문학회, 2017, 37-68면. 미소장
25 정길수, 「허균의 사상 전환-『을병조천록』에 담긴 허균 만년의 생각」, 『한국문화』 64,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287-313면. 미소장
26 정길수, 「허균 문학론의 모순과 일관(一貫)-왕세정(王世貞) 혹은 의고문파(擬古文派) 문학론과의 연관」, 『한국한문학연구』 51, 한국한문학회, 2013, 267-301면. 미소장
27 최강현, 「허하곡의 조천록을 살핌-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22, 한국사상문화학회, 2003, 147-167면. 미소장
28 許建平, 『王世貞書目類纂』(上下), 鳳凰, 2012.7. 미소장
29 謝文華, 「好古博雅之實踐─論陸深與叢刻小說『古今說海』」, 『成大中文學報』 第六十三期, 國立成功大學中文系, 2018.12. 미소장